도서관이 제공하는 공공 컴퓨터와 인터넷 서비스의 영향 ①
  • 작성부서 국제교류홍보팀
  • 등록일 2022-12-26
  • 조회 1185
글자크기

보고서는 ‘인터넷 거버넌스 포럼(Internet Governance Forum, IGF)’의 ‘도서관에서의 공적 접근성에 관한 다이내믹 연합(Dynamic Coalition on Public Access in Libraries, DC-PAL)’ 프레임워크 내에서 작성되었다. 2021년 4월에 DC-PAL 네트워크 자문회의가 개최되었는데, 이 회의에서 2021-2022년도 DC-PAL의 의제 중 도서관이 제공하는 공공 컴퓨터와 인터넷 서비스의 평가가 우선과제로 선정되었다. 따라서 본 보고서는 공적 접근성 영향 평가와 관련한 최근 자료, 우수 사례, 방법론을 도서관과 기타 관계자들이 이용하기 쉬운 방식으로 제공할 것이다. 본 보고서의 초안은 2021년 12월 9일에 열린 2021년도 IGF DC-PAL 세션에서 발표되었고, 광범위한 인터넷 거버넌스 공동체와 도서관, 그리고 인터넷에 대한 공적 접근성과 공공 컴퓨터 및 인터넷을 제공하는 도서관의 역할에 관심 있는 관계자들에게 공유하여 피드백과 의견을 수집했다. 피드백과 의견, 제안사항을 내주신 모든 분들께 이 자리를 빌어 감사드린다.


DC-PAL은 IGF 내에서 도서관이나 그와 비슷한 기관이 저렴하게 또는 무상으로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을 제공하는 공적 접근성을 이용하여 디지털을 추진하는 정책 대화와 행동을 증진한다. DC-PAL의 메일링리스트에 가입하면 우리의 활동과 논의에 관한 소식을 받아볼 수 있다(http://lists.apc.org/mailman/listinfo/pal-dc).

들어가는 말

정책결정자들과 도서관 당국, 그리고 도서관이 제공하는 컴퓨터와 인터넷의 공적 접근성(이하 ‘공적 접근성’)에 관심있는 많은 사람들은 도서관에서의 정보통신기술 이용 그리고 공적 접근성이 디지털 포용에 끼치는 영향에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이들은 노인이나 농어촌 주민, 저소득층과 같은 취약계층이나 디지털 소외계층이 컴퓨터와 인터넷을 사용하는 정도에 관심이 많을 것이다. 또한 공적 접근성이 이용자들과, 더 나아가 사회 전반에 가져오는 사회적, 경제적 효용을 보다 잘 이해하고자 할 것이다.

이와 동시에, 도서관 운영자와 같은 공적 접근성 제공자들은 도서관의 공적 접근성 인프라가 얼마나 잘 작동하는지, 그것이 어떻게 이용되는지, 직원들의 역량과 정보통신기술 교육 능력은 어떠한지, 지역사회의 디지털 기술은 어느 정도인지, 디지털 콘텐츠 및 서비스에 대한 도서관 이용자들의 욕구와 기대는 무엇인지에 대해 보다 많은 데이터를 원할 수 있다. 도서관에 대한 투자를 독려하기 위해서 이들은 도서관 디지털 인프라와 서비스에 대한 수요 그리고 그것이 지역 주민들에게 끼치는 영향에 관한 확실한 증거를 필요로 할 것이다. 따라서 도서관이 제공하는 컴퓨터와 인터넷의 공적 접근성이 갖는 효과와 가치를 철저히 평가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본 보고서는 최근 연구를 검토하여 공적 접근성의 영향에 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개별 도서관(그리고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공적 접근성을 제공하는 다른 기관)이 제공하는 공적 접근성 서비스의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것이다. 본 보고서는 이 분야에서 발표된 최근 보고서와 출판물, 그리고 널리 이용되는 공적 접근성 영향 평가법을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본 보고서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제1장은 여러 국가의 연구와 보고서를 바탕으로 도서관이 제공하는 공적 접근성의 영향에 관한 최근 자료를 검토한다. 도서관에서 누가 어떻게 공적 접근성을 이용하는지, 도서관의 정보통신기술 인프라는 어떠한 부가가치 서비스를 가능케 하는지, 그리고 공적 접근성이 이용자와 사회 전반에 가져다주는 다른 이득은 무엇인지와 같은 주요 사안들에 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한다.
  • 제2장은 도서관이 제공하는 컴퓨터와 인터넷의 공적 접근성이 끼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에서 활용된 양적 및 질적 연구방법을 검토한다. 이 장은 도서관 등의 공간(예: 사이버카페, 텔레센터, 교육센터)에서 제공하는 공적 접근성의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도구상자’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용어 정의

  • 도서관이 제공하는 컴퓨터와 인터넷의 공적 접근성(‘공적 접근성’)은 도서관이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모든 컴퓨터와 인터넷 연결, 기타 인터넷 이용 기기를 지칭한다. 참고: 본 보고서에서 말하는 ‘공적 접근성’은 별도로 명시하지 않는 한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컴퓨터와 인터넷의 공적 접근성을 의미한다.
  • 공적 접근성 평가 도구는 이용 빈도, 이용 동기, 이용 목적, 이용으로 얻은 결과 등 도서관에서의 공적 접근성이 갖는 다양한 측면들을 측정하고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기법이나 방법을 말한다.
  • 공적 접근성에 따른 결과와 영향은 도서관에서 공적 접근성 시설과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얻은 구체적인 이득을 말한다. 일례로, 지식이나 기술의 향상, 태도나 행동 변화, 삶의 질 개선 등이 있을 수 있다.
  • 공적 접근성 목록은 특정 국가, 지역 또는 기관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공적 접근성 시설(예: 도서관, 사이버카페, 텔레센터, 교육센터)의 목록을 말한다.
  • 공적 접근성 시설에 관한 데이터는 다양한 유형의 공적 접근성 시설(예: 도서관, 사이버카페, 텔레센터, 교육센터)에 관한 데이터를 말하는데, 여기에는 그러한 시설의 특징(유형, 기능, 근무시간) 등이 포함된다.

제1장. 도서관이 제공하는 공적 접근성의 영향: 최근 연구결과 요약

이 장에서는 다양한 지역에서 발표된 주요 연구 및 보고서를 바탕으로 도서관이 제공하는 공적 접근성의 이용과 영향에 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한다. 인터넷에 공개된 연구들을 활용하며, 독자들을 위해 그러한 연구 보고서에 대한 링크를 제공할 것이다.

이 장은 공적 접근성 제공자와 기타 관계자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질문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 도서관이 제공하는 공적 접근성은 누가 이용하는가? 도서관에서 공적 접근성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특징을 설명하고, 어느 집단이 공적 접근성을 가장 많이 이용하며 컴퓨터와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장소의 선택권이 가장 제한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 도서관에서의 공적 접근성 이용은 어떻게 변화해왔는가? 공적 접근성의 변화 동향을 보여준다.
  • 사람들은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공적 접근성을 어떻게 이용하는가? 일례로, 사람들이 학업이나 평생학습, 취업 능력 개선, 구직 활동, 온라인 업무 능력 강화, 경제적 문해성 증진,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일환으로 뉴스나 기타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 어떻게 공적 접근성을 이용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공적 접근성을 이용함으로써 얻는 결과는 무엇인가?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 취업, 학업, 공동체 구축, 사회적 응집력, 시간과 비용 절감 등 도서관이 제공하는 공적 접근성을 이용함으로써 이용자들이 얻는 결과가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 공적 접근성은 도서관 서비스를 어떻게 바꾸는가? 기초 및 고급 디지털 교육, 이용자 집단별 맞춤형 프로그램, 다양한 평생학습 프로그램, 전자정부 서비스의 이용, 지역의 필요에 맞는 디지털 콘텐츠 생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등 공적 접근성이 어떻게 도서관 서비스를 확장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위한 기반을 제공하는지를 보여준다.
  •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공적 접근성의 경제적 가치는 무엇인가? 공적 접근성에 대한 투자와 이용자들이 얻는 경제적 이득 간의 관계를 보여준다.

이러한 질문을 다룬 연구들이 이 장의 여러 부분에 언급되어 있다.

1.1. 도서관이 제공하는 공적 접근성은 누가 이용하는가?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공적 접근성이 끼치는 영향에 관한 국제연구(Global Impact Study of Public Access to ICTs)’ 등 여러 연구에서 누가 공적 접근성을 이용하는지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에 포함된 다양한 공적 접근성 제공시설(텔레센터, 사이버카페, 도서관 등)에서 이용자들은 대체로 젊고(조사 대상 이용자의 68% 이상이 25세 미만), 중저소득층이었다(그러나 빈곤선 이하인 이용자 수는 적었다). 대다수는 중등 또는 고등교육을 받았고, 많은 이용자들(33%)에게 공적 접근성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다. 15%는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없었고, 15%는 집/직장에 있는 것보다 공적 접근성 시설의 기기가 더 좋다고 답했다(Sey et al., 2013).

보다 최근에 캐나다와 리투아니아, 영국, 나미비아, 미국에서 수행된 연구에서도 실업자, 저소득층, 노인 또는 농어촌 거주자 등 취약계층이 도서관의 공적 접근성 시설을 빈번히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노르디시티(Nordicity, 2018)의 ‘공공도서관에서의 테크놀로지 이용: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지역사회에 끼친 영향(Technology Access in Public Libraries: Outcomes and Impacts for Ontario Communities)’ 에서는 이용자의 56%가 공적으로 제공되는 정보통신기술로부터 도움을 받았고 공적 접근성 외에는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이 비율은 55세 이상 이용자와 저소득층 이용자 집단에서 각각 68%와 63%로 높게 나타났다.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없는 이 56%의 이용자들 중에서 젊은층과 소수집단이 도서관 와이파이 외의 다른 수단이 없다고 보고한 비율이 높았고(78%), 54세 이상의 이용자들은 도서관 컴퓨터 외에 다른 방법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다(Nordicity, 2018).
  • 리투아니아에서 진행된 연구 ‘도서관이 제공하는 공적 접근성을 이용하는 사람들에 관한 연구(The study of Users of Public Access in Libraries, 2019)’ 에서는 도서관의 공공 인터넷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 중 44%가 45-64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58%는 직업이 있었고, 39%는 중소득층이었다. 이용자 중 다수가 여성(69%)과 농어촌 거주자(62%)였다(Cantar, 2019).
  • 영국 옥스포드셔 디지털 포용 프로젝트에 관한 연구(The study of the Oxfordshire (UK) Digital Inclusion Project, 2021)’에 의하면, 50-77세의 노년층 주민들이 도서관 컴퓨터를 매우 적극적으로 이용했다(도서관 컴퓨터 이용자의 66%가 이 그룹에 속했다). 또한 영국 인구 전체와 비교했을 때 도서관 컴퓨터 이용자들의 소득이 낮았다(이용자의 58.4%가 20,000파운드 이하의 소득을 보고했다). 전체 인구에 비해 도서관 컴퓨터 이용자들은 휴대폰이 없는 사람들의 비중이 높았으며(11.6% vs. 7.6%), 휴대폰이 있으나 스마트폰이 아닌 사람들의 비중도 훨씬 높았다(31.1% vs. 20.8%)(Allmann et al., 2021).
  • 지역연구자원센터 활동평가 최종보고서(The Final Report of the Regional Study and Resource Centers (RSRC) Activity Evaluation, 2020)’에 의하면, 나미비아의 지역도서관들에서는 학생들의 무료 와이파이 이용율이 매우 높았는데, 대다수가 30세 미만이었다. 이 집단 내에서, 조사에 참여한 도서관 이용자의 90% 가량이 공공 인터넷 시설을 이용했다. 인터넷 접근성은 또한 도서관의 비즈니스 구역 이용자들(구직자, 자영업자, 근로소득자)에게 인기가 있었는데, 이 이용자들의 약 95%가 도서관에서 인터넷을 이용했다. 조사에 참여한 이용자 중 중고등학생들은 나이가 더 많은 학생들보다 집에 컴퓨터와 인터넷 서비스가 없는 비율이 높았다(예: 집에 컴퓨터가 있는 학생의 비율 28% vs 44%). 근로 소득자 중에서는 52%가 집에 컴퓨터가 있고 16%는 인터넷 서비스가 있었으나, 구직자와 자영업자 중에서는 그 비율이 더 낮았다(집에 컴퓨터가 있는 비율은 각각 30%와 35%였으며, 인터넷 서비스가 있는 비율은 3%와 9%였다)(Coward et al., 2020).
  • 공공도서관과 코로나19 사태에 관한 연구(The Public Libraries and the Pandemic study, 2021)'는 미국의 상황을 조사했다. 이 연구는 참가자들에게 코로나19 사태가 공공도서관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도서관이 제공하는 온라인 자료들에 대해 알고 있었으며 그러한 자료를 이용할 수 있었는지, 도서관이 문을 닫았을 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다른 장소가 있었는지 등을 물었다. 15% 는 도서관이 문을 닫았을 때 인터넷을 이용하는 주된 장소를 잃었다고 답했다. 이 15%의 이용자 중 남성, 도시 거주자, 가정에서 영어 외의 외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약간 더 높았다(Guernsey et al., 2021).

흥미롭게도, (집에서와 같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는 사람들도 여전히 도서관에서 공적 접근성을 이용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았다.

  • 리투아니아에서는 도서관 직원들의 도움(이용자의 6%)과 스캐너, 프린터와 같은 주변기기의 이용(54%)이라는 두 가지 이유가 두드러졌다(Cantar, 2019).
  • 영국 옥스포드셔에서는 이용자의 50% 이상이 편리하기 때문에 도서관의 컴퓨터를 이용하고, 37%는 무료이기 때문에 이용한다고 답했다. 이용자의 30% 이상이 또한 도서관이 조용하고 안전한 공간이기 때문이라고 답했다(Allmann et al., 2021).
  • 캐나다의 온타리오에서는 이용자의 59%가 작업 환경을 바꾸기 위해 그리고 38%는 도서관의 다른 서비스나 자원을 이용하기 위해 도서관의 공적 접근성 시설을 이용했다고 답했다(Nordicity, 2018).

도서관에서의 공적 접근성은 두 가지 목표를 지원한다. 먼저, 특히 가정내 인터넷 보급율이 낮은 지역에서는 공적 접근성이 무료로 또는 저렴하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며, 특히 중고등학생이나 대학생과 같이 활발한 도서관 이용자 집단에서 수요가 높을 수 있다.

둘째, 비교적 인터넷 보급율이 높은 지역에서는 여성, 저소득층, 노인, 소수집단, 농어촌 거주자 등 디지털 소외계층에게 중요한 접근성 옵션으로 작용한다. 디지털 소외계층에게는 공공도서관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인 경우가 많다.

여러 연구에 의하면 또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는 경우에도 사람들은 도서관 직원들의 도움, 주변기기의 이용, 무료로 제공되는 편리한 접근성, 연결 품질, ‘공적인 장소에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있기 때문에’와 같은 이유로 계속해서 도서관에서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다.

1.2. 도서관에서의 공적 접근성 이용은 어떻게 변화해왔는가?

여러 연구에서 공적 접근성의 이용 패턴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보기 위해 장기간에 걸쳐 공적 접근성의 이용 행태를 조사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디지털 정책 및 도서관의 정보통신기술과 관련한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이 되는 동향을 보여준다.

  • 캐나다의 ‘뉴펀들랜드와 래브라도 공공도서관시스템의 조직 및 서비스 리뷰(The Organizational and Service Review of the Newfoundland and Labrador Public Library System)’ 보고서에 의하면, 2012년부터 2016년 사이에 공적 접근성 컴퓨터의 이용이 26% 하락한 반면, 공공 와이파이의 이용은 125% 증가했다. 이러한 동향은 개인 기기를 이용하는 도서관 이용자들이 증가한 것에 어느 정도 원인이 있었다(EY, 2017).
  • 리투아니아에서는 8년에 걸친 조사기간 동안 공적 접근성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의 수가 거의 절반 가량 하락했다. 2011년에는 이용자의 70%가 도서관에서 매주 공적 접근성을 이용한 반면, 2019년에는 그 비율이 38%에 불과했다. 그러나 2019년에 조사에 참여한 도서관 인터넷 이용자의 98%가 앞으로도 계속해서 도서관의 공적 접근성 시설을 이용할 것이라고 답했다(Cantar, 2019).
  • 나미비아에서는 2016년과 2018년 사이에 3곳의 지역 도서관에서 컴퓨터 이용이 하루 265건에서 192건으로 26% 감소했다. 지역 도서관 2곳에서 평균 이용률이 감소하고 한 곳에서는 증가했는데, 이용률 감소의 원인은 인터넷 속도가 느리고 도서관의 정보통신 기기가 적시에 관리, 수리, 교체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보였다(Coward et al., 2020).
  • 영국의 경우, 2017년도의 ‘로렌스버그 공공도서관 이용자 설문조사(Lorensbergs Public Library Customer Survey)’에서 도서관의 약 70%가 2016-2017년도에 공공 컴퓨터 이용률이 증가하거나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고 답했다. 이용률 증가 원인으로는 정보통신시설 업그레이드와 전자정부 서비스의 증가가 지목되었다(Netloan, 2018).

이러한 연구들은 투자를 통해 도서관의 공적 접근성 시설을 새로 설치하거나 확대하고 인프라를 업데이트하는 경우 이용률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반대로, 장비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거나, 속도가 느리거나, 연결 품질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이용률이 하락했다. 또한 개인용 기기 소지자가 늘어나면서 도서관의 와이파이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어떤 사람들은 도서관 컴퓨터를 예전처럼 많이 이용하지 않게 된 것으로 드러났다.

1.3. 사람들은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공적 접근성을 어떻게 이용하는가?

공적 접근성의 영향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 몇몇 연구와 보고서에서는 사람들이 도서관에서 인터넷과 기기를 이용하는 방식과 목적을 조사했다. 이용자들이 공적 접근성 시설을 이용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식은 다음과 같았다.

온라인에서 뉴스나 기타 정보 습득. 리투아니아의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은 뉴스(53%), 건강(48%), 문화/유산(40%), 온라인 백과사전(53%) 등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검색한다고 보고했다(Cantar, 2019).

또 다른 이용방식은 공식 학업이나 다른 학습 기회를 추구하는 등 학습 및 교육과 관련되었다. 굿씽스재단(Good Things Foundation, 2018)이 1년에 걸쳐 실시한 ‘디지털 라이프: 케냐국립도서관의 ‘런 마이 웨이(Learn My Way)’ 이용 시범 프로젝트(Digital Life: Kenya project, piloting the use of Learn My Way by the Kenya National Library Service)’ 에 의하면, 케냐의 공공도서관은 학생들이 공식 교육과정에서 도움을 받기 위해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Good Things Foundation, 2018). 네팔의 ‘리드 커뮤니티 도서관 및 자원센터(READ Community Libraries and Resource Centers, ‘리드센터’)’가 실시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 ‘리드 글로벌 테크놀로지 프로그램 개요(READ Global Technology Programme overview)’ 데이터에서는 거의 절반에 달하는 이용자(47%)가 학교 수업에 도움을 받기 위해 컴퓨터를 이용한다고 답했다(READ Global, 2018). 캐나다 온타리오주에서는 응답자의 64%가 교육 목적으로 도서관의 공적 접근성 시설을 이용한다고 답했는데, 젊은층과 소수집단 또는 이민자 집단에서는 그 비율이 더 높았다. 이 연구에 의하면, 그러한 교육 활동은 온라인 수업 청취, 정보 검색, 교육 프로그램이나 장학금, 학자금 대출 신청 등을 포함했다(Nordicity, 2018).

구직 및 취업 역량 강화도 중요한 이유였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유형의 활동이 포함되었다.

  • 구직 정보를 검색하여 입사 지원서 제출 – 일례로, 나미비아에 있는 지역 도서관 3곳에서는 현재 실업 상태이거나 구직 중인 이용자의 61%가 지난 4주간 도서관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입사 지원서를 제출하거나 구직 활동을 했다고 답했다(Coward et al., 2020). 인도에서는 연구에 참여한 리드센터 이용자의 47%가 센터의 정보통신기술 자원을 이용해서 구직 활동을 했다고 보고했다(READ Global, 2018).
  • 취업 역량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한 기술 습득 –캐나다 온타리오공공도서관(Ontario Public Library) 이용자의 45%는 취업 역량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해 관리, 행정, 마케팅 기술 등을 습득하고자 공적 접근성 시설을 이용했는데, 35세 미만과 소수집단에서는 그 비율이 더 높았다. 캐나다 원주민 응답자들도 이러한 목적으로 공적 접근성 시설을 이용하는 비율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다(48%). 이용자의 45%는 구인 정보를 검색하고 이력서를 작성하는 등 구인 정보 검색 기술을 쌓기 위해 도서관의 정보통신기술 시설을 이용한다고 답했다(이 비율은 위에 언급된 집단과 저소득층에서 더 높았다)(Nordicity, 2018).

도서관이 제공하는 공적 접근성은 또한 온라인 근무, 부업 활동, 기타 금융 거래의 목적으로 이용되었다. 일례로, 케냐에서 일부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은 전사작업과 같은 작은 일거리들을 얻기 위해 공적 접근성 시설을 이용한다고 답했다(Good Things Foundation, 2018). 리투아니아의 도서관 이용자들은 14%가 물건을 사거나 팔기 위해 공적 접근성을 이용했다(Cantar, 2019). 남아시아 지역에 있는 리드센터들에서는 연구에 참여한 이용자의 38%가 부업 활동과 관련한 정보를 검색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READ Global, 2018). 온타리오공공도서관 이용자의 14%는 도서관의 정보통신기술 시설을 이용하여 사업을 관리했고, 또 다른 14%는 사업 관련 자료를 조사했다(Nordicity, 2018).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도 공적 접근성 시설을 이용하는 주된 이유로 지목되었다. 케냐(Good Things Foundation, 2018)와 캐나다(Nordicity, 2018), 리투아니아(Cantar, 2019)의 연구에서는 이용자들이 도서관에서 혼자 또는 사서의 도움을 받거나 전자정부와 관련한 도움을 제공하는 전문 서비스를 통해 전자정부 서비스를 이용했다고 보고했다. 일례로, 온타리오공공도서관 이용자의 34%는 공적 접근성 시설을 통해서 전자정부 서비스를 이용했다고 보고했다. 이 비율은 55세 이상, 저소득층, 소수집단 이용자들에게서 4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Nordicity, 2018).

이용자들은 또한 개인적인 커뮤니케이션, 친목, 여가 등의 목적으로 공적 접근성 시설을 이용했다. 나미비아의 지역 도서관들에서는 학생 이용자들 사이에서 사적인 목적으로 컴퓨터를 이용하는 비율이 증가했다(Coward et al., 2020). 리투아니아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목적으로 이용한다는 응답자의 비율이 57%로 가장 높았다(Cantar, 2019). 부탄에서는 연구에 참여한 리드센터 이용자 10명 중 1명이 센터에 있는 정보통신기술 시설을 이용해서 외국에 있는 친인척과 연락했다고 답했다(READ Global, 2018).

이러한 이유들은 여러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공적 접근성 시설을 이용하는 주된 이유로 확인되었다. 그 외의 이유로는 콘텐츠 제작 및 공유, 금융 거래, 컴퓨터 게임 등이 있다.

도서관이 제공하는 공적 접근성은 뉴스나 기타 정보를 습득하는 것에서부터 구직, 수입 활동, 교육, 전자정부 서비스의 이용, 개인적인 커뮤니케이션과 여가에 이르는 다양한 활동을 가능케 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해외에 있는 친인척과 연락하거나 온라인 학습의 목적으로 이용하는 등) 이 중 몇 가지는 노인, 소수집단, 기타 취약계층 이용자들에게서 응답 비율이 높았다.

1.4.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공적 접근성을 이용함으로써 얻는 결과는 무엇인가?

여러 연구에서는 또한 사람들이 공적 접근성을 다양하게 이용함으로써 얻는 결과를 조사했다.

그 중 이용자의 디지털 기술 향상이 공적 접근성 이용으로 얻어지는 가장 보편적인 결과인 것으로 보인다. (섹션 1.5에서 보다 자세히 논의한 바와 같이) 컴퓨터와 인터넷 연결성을 갖춘 도서관에서는 또한 다양한 유형의 디지털 문해성 교육을 제공하지만, 아래의 사례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인터넷을 제공하는 것만으로도 이용자들이 보다 자신있게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는 방법을 배우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남아시아 지역에서 컴퓨터와 인터넷이 있는 리드센터들에서는 이용자의 50% 이상이 센터 덕분에 컴퓨터를 더 잘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고 답했다(READ Global, 2018).
  • ‘단순히 이용만 하는 것’이 디지털 기술에 끼치는 영향은 미국의 뉴욕, 브룩클린, 퀸즈 공공도서관이 실시한 핫스폿 기기의 대여에 관한 연구에서도 볼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에 어느 정도 디지털 기술이 있었다고 답했으나, 핫스폿 기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더 자신있게 인터넷을 이용하게 되었다고 보고했다(Strover, 2019).
  • 나미비아의 연구에서도 정도는 다양하지만 다양한 이용자 집단에서 디지털 기술이 증진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일례로, 학생과 학습자 집단에서 성인 여성과 여아들은 디지털 기술이 증진되었다고 보고한 비율이 성인 남성과 남아들에 비해 낮았으나(45% vs. 58%), 비즈니스 섹션의 도서관 이용자들(근로 소득자, 구직자, 자영업자)에서는 반대로 여성이 67%, 남성이 56%를 기록했다(Coward et al, 2020).

고용과 관련해서는 공적 접근성 이용에 따른 결과를 구직이라는 보다 구체적인 결과와 기술 역량 강화로 폭넓게 구분해볼 수 있다.

  • 나미비아 지역 도서관의 이용자 중 구직 활동을 하는 이용자의 60%가 취업 활동과 관련한 기술이 증진되었다고 답했으며, 자영업자의 61%와 근로 소득자의 59%는 업무 능력이 개선되었다고 답했다. 그러한 결과는 공적 접근성과 기타 도서관 서비스에 기인한 것이긴 하지만, 비즈니스 범주에서 여러 이용자들은 와이파이와 컴퓨터를 가장 중요한 자원으로 손꼽았다. 나미비아의 연구에서, 자영업자의 61%와 근로 소득자의 52%는 업무를 완료할 수 있었던 것, 그리고 각각 39%와 16%는 수입 증가를 구체적인 결과로 지적했다(Coward et al., 2020).
  • 온타리오공공도서관 이용자들 중에서 취업 역량을 높이기 위해 도서관의 정보통신기술 자원을 이용한 응답자의 43%가 취업에 성공했다고 답했다. 이들은 관심 직업에 대한 정보를 찾고, 구인 정보 목록을 평가하고, 이력서를 작성하거나 인터뷰 기술을 쌓는 것과 같은 활동을 통해 취업에 성공했다. 특히 이민자 출신의 이용자들은 이러한 활동을 위해 공적 접근성 시설을 이용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Nordicity, 2018).

교육과 관련하여 공적 접근성을 이용한 이용자들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고했다.

  • 나미비아의 연구에서는 과제를 완료하거나 학업 성취도가 올라가는 것과 같은 결과를 보고했다(Coward et al., 2020).
  • 가나에서는 EIFL과 가나도서관사무국(Ghana Library Authority, 2015-2019)이 공동 진행한 ‘가나의 아동 1,800명을 대상으로 한 컴퓨터 수업(Hands on computer classes for 1,800 Ghana children)’ 프로젝트에서 참여 학교 학생들의 정보통신기술 시험 통과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4년간 태양광 충전식 노트북을 갖춘 이동도서관이 농어촌과 교외지역의 고등학교들을 방문하여 컴퓨터 수업을 제공했다. 연간 평가에 의하면, 이 프로젝트로 인해 기본교육인증시험(Basic Education Certificate Exam)에서 학생들의 정보통신기술 시험 통과율이 2015년 45%에서 2019년 84%로 크게 증가했다.

또 다른 결과 범주로는 -비록 정량화하기가 더 어렵기는 하지만- 공동체 구축, 참여, 사회적 응집력을 들 수 있다. 일례로,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도서관 이용자들은 (시민단체나 지역사회 모임, 자원봉사, 정치 활동에 관한 정보나 참여 등) 공동체 참여를 위해 공적 접근성 시설을 이용한다고 보고했다. 전체적으로 연구에 참여한 응답자의 80%가 공적 접근성과 정보통신기술 서비스가 다른 사람들과 연결하고 사회 활동에 참여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답했다. 특히, 소수집단 이용자들이 그러한 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Nordicity, 2018).

마지막으로, 공적 접근성을 이용함으로써 얻어지는 긍정적인 결과로 시간과 비용 절감을 들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섹션 1.6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연구에 의하면, 도서관이 제공하는 공적 접근성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디지털 기술의 증진, 정보통신기술 사용과 관련한 자신감 향상, 취업 역량과 구직 기술 향상, 업무 능력 향상, 학업 능력 증진, 사회적 응집력과 시민 참여 증진 등 잠재적으로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영역들에서 도움을 받았다.

1.5. 공적 접근성은 도서관 서비스를 어떻게 바꾸는가?

공적 접근성 시설을 통해 도서관은 학습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 서비스를 확장시킬 수 있다. 그러한 프로그램 중 다수는 지역 주민들의 디지털 기술 역량을 높임으로써 도서관이나 다른 곳에서 컴퓨터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디지털 포용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공공도서관이 제공하는 디지털 문해성 교육 프로그램은 기본적인 컴퓨터 사용법에서부터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프로그램, 어도비 등)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 코딩, 로보틱스, 동영상 편집, 그리고 컴퓨터 문해성과 디지털 창의성 및 비판적 사고력 증진에 이르기까지 ‘시민들을 위한 디지털 역량 프레임워크(Digital Competence Framework for Citizens)’의 전 영역을 포괄하는 기술들을 다룬다(Vuorikari et al., 2022).

이러한 활동은 매우 광범위할 수 있다. 일례로, 케냐의 공공도서관들에서는 일련의 공적 접근성 업그레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한 후 4년간 170,000명이 넘는 도서관 이용자들이 정보통신기술 기초 교육을 받았다(Muchai, 2018). 미국도서관협회(American Library Association)의 ‘미국의 도서관들: 브로드밴드 인터넷 서비스의 채택과 접근성 및 이용(America’s libraries: Powering broadband adoption, access and use)’ 연구에서는 미국 도서관1 의 약 90%가 디지털 문해성 교육을 제공하고 있으며, 다수의 도서관에서 다양한 테크놀로지 기기의 이용, 인터넷 안전성, 소셜미디어 등 실질적인 인터넷 이용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16).

영국에서는 서포크(Suffolk) 도서관의 와이파이와 시설을 이용하여 지역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새로운 컴퓨터 교육을 제공했다. 이러한 수업은 (사용법만이 아니라) 기계어 명령에서의 논리적 추론, 간단한 프로그래밍, 3D 프린팅과 같은 주제를 다루어 학생들이 정보기술의 작동과 생성 방식을 이해하도록 돕는데 초점을 맞추었다(Shared Intelligence, 2016).

도서관은 또한 특정 이용자 집단을 대상으로 한 교육을 기획할 수 있다. 일례로, 호주 뉴사우스웨일즈주의 도서관들이 제공하는 노인 대상 기술교육 프로그램(Tech Savvy Seniors)은 언어와 문화적 배경이 다양한 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다. 이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사회적 영향은 독립성과 자존감 및 자신감 향상에서부터 온라인 서비스 이용률 증가, 정보통신기술의 도움으로 취미와 관심사를 즐기는 역량의 증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Telstra Corporation Limited and New South Wales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Services, 2018). 호주의 레드랜드도서관서비스(Redlands Library Services)아동 및 노인을 대상으로 한 로보틱스 캠프를 진행한다(Hind, 2020).

또 다른 공적 접근성 서비스로는 컴퓨터 및 인터넷 사용과 관련하여 일대일 지원이나 개별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있다.

  • 2017년도 영국 공공도서관 설문조사에 의하면, 이러한 도움에 대한 수요가 상당히 높았다. 설문에 참여한 도서관의 46%에서 그러한 요청이 증가하고 있었으며, 35%는 기존과 동일했다(Netloan, 2018).
  • 뉴질랜드에서는 설문에 참여한 공공도서관 직원의 50% 이상이 디지털 관련 문의로 주 평균 11-50명의 이용자들을 지원한다고 보고했다. 응답자의 3분의 1 이상이 업무 시간의 25-50%를 그러한 방식으로 이용자들을 지원하는데 사용한다고 답했다(Hartnett et al., 2020).
  • 영국 옥스포드셔 도서관에서는 직원들이 받는 이용자 문의사항의 50-70%가 디지털 기술 또는 디지털 서비스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했다. 이러한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도서관들은 자원봉사자로 구성된 ‘디지털 도우미(Digital Helpers)’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데, 2019년 1월부터 2020년 1월까지의 평가 자료에 의하면 디지털과 관련하여 개인 이용자들을 지원하는데 800시간 이상이 사용되었다(Allmann et al., 2021).

디지털 기술 교육을 제공하고 정보통신기술 이용과 관련하여 개별 이용자들을 지원하는 것에 더하여, 도서관들은 또한 다른 영역에서도 광범위한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일례로,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공적 접근성을 이용하여 온라인 수업을 듣는 지역 주민들의 오프라인 스터디 그룹과 같은 학습 모임을 지원하는 것이다. 케냐에서는 공공 컴퓨터와 인터넷을 갖춘 도서관에서 학습 모임을 시범적으로 운영했는데, 그로 인해 온라인 과정 이수율이 크게 증가했다. 전세계적으로 온라인 수업을 중도 포기하는 비율이 높은데 반해, 케냐의 이 시범 프로젝트에서는 학습 모임 참가자의 90% 이상이 과정을 이수했다. 우간다와 잠비아를 비롯한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의 도서관에서도 비슷한 프로젝트들이 진행되었다(Fairbairn, 2019).

도서관이 제공하는 또 다른 학습 영역은 경제적 문해성이다. 그 한 예로, 폴란드의 도서관과 지역사회 200여 곳에서는 성인들에게 재정 및 경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도서관에서 배우는 재무와 경제(About finances... in the library)’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이 프로그램은 구조화된 온라인 학습 프로그램과 온라인 자원 및 도서관 시설을 이용하며, 사전에 교육을 받은 사서들이 진행한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소도시와 농어촌 마을의 50세 이상 주민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뱅킹, 가계 예산 편성, 금리 등의 주제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다(Bon et al., 2020).

도서관들은 또한 지역 주민들에게 전자정부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을 가르치고 있다. 일례로, 네덜란드의 공공도서관은 이용자들에게 보조금 신청과 같은 다양한 정부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신청 방법을 알려주는 ‘디지털정부 정보서비스(igital Government Information Points)’를 제공한다(The Dutch Digitalization Strategy, 2021). 루마니아의 공공도서관은 정부기관과 협력하여 인터넷에서 농업 보조금 지원신청서를 작성하는 방법을 농민 이용자들에게 알려준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이 사업으로 116,000명 이상의 농민들이 신청서를 제출했는데, 보조금 규모로는 미화 2억5백만 달러에 이른다(IFLA, 2017).

지역과 연관된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 및 제작은 공적 접근성 시설을 바탕으로 한 도서관의 부가가치 서비스에서 또 하나의 중요한 범주이다. 일례로, 콜롬비아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정보통신기술(ICT in Public Libraries)’ 프로젝트가 지역 주민들이 지역의 사진 기록물을 복원하고 디지털화하여 공유하는 ‘사진과 기억(Photography and Memory)’ 사업으로 이어졌다. 2016년 3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된 1차 프로젝트의 관찰 및 평가 기간에 50,000명 이상이 참가했다(Biblioteca Nacional de Colombia, 2017)

마찬가지로, 영국 도서관의 와이파이 서비스를 이용한 혁신적인 서비스와 활동에 대한 일련의 사례연구들은 디지털 콘텐츠를 둘러싼 부가가치 서비스의 예를 잘 보여준다. 여기에는 온라인 콘텐츠의 제작과 재구성(예: 맨체스터의 한 도서관에서 진행한 성소수자를 주제로 한 위키피디아 정보 편집대회)에서부터 콘텐츠 발견과 탐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지역 주민들에게 인터넷에 있는 지역 사료를 이용하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노포크 지역 도서관의 초보자를 위한 가계도 조사 수업은 콘텐츠 발견과 탐색 프로그램의 한 예이다.

영국 로테르담의 도서관은 지역 주민들의 테크놀로지와 디지털 자료 이용을 돕기 위해 진행한 한 프로젝트에서 기존의 독서모임을 디지털 독서모임으로 바꾸어 종이책 대신 전자책을 읽었다. 이 사업은 특히 노인과 시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활동은 또한 디지털 자료 이용과 관련한 이용자들의 자신감을 높이고 비공식 학습을 증진하는데 기여했다(Shared Intelligence, 2016).

도서관이 제공하는 공적 접근성 시설을 통해 사서들은 이용자들의 디지털 기술 역량을 높이고, 컴퓨터와 인터넷 이용에 대한 자신감을 높여주는 다양한 디지털 기술 교육을 제공할 수 있었다. 이러한 프로그램 중에는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한 코딩, 로보틱스와 같은 고급 기술 교육이 포함된다. 또한, 이용자들의 디지털 관련 문의에 대해 사서들이 현장에서 제공하는 비공식적인 지원은 그 수요가 높을 뿐 아니라, (저소득층과 같이) 디지털 소외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 이용자 집단에 특히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도서관들은 또한 공적 접근성 시설을 이용하여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 온라인 강의 등록 및 이수,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과 제작 지원 등 다양한 부가가치 서비스를 제공했다

1.6.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공적 접근성의 경제적 가치는 무엇인가?

공공도서관은 무료로 또는 서비스의 실비용에 훨씬 못미치는 저렴한 비용으로 공적 접근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그 가치와 영향을 경제적인 기준으로 평가하기가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서관 서비스와 특히 도서관이 제공하는 공적 접근성의 비용 대비 경제적 이득을 추산하고자 시도한 경제적 및 사회적 가치 연구가 다수 있었다.

일례로, 스페인의 ‘도서관 정보서비스의 경제적 및 사회적 가치에 관한 연구(Economic and Social Value of Information Services in Libraries)’에서는 사이버카페 등의 이용과 비교할 때 도서관에서 무료로 제공되는 컴퓨터와 인터넷을 이용하는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이 1년에 1,140만 유로를 절약한다고 결론지었다(Gomez, 2014).

콜롬비아의 ‘메데인 공공도서관시스템의 경제적 및 사회적 가치 연구(The Economic and Social Value Study of the public library system of Medellin)’에서는 공공도서관의 비용 대비 이득을 1:7.24 콜롬비아 페소로 추정했다. 다시 말해, 공공도서관에 1,000페소를 투자하면 7,240페소가 사회에 환원된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8가지 서비스를 조사했는데, 그 중 인터넷 접근성 제공의 비용 대비 이득이 1:33.86페소로 가장 높았다(Sistema de Bibliotecas publicas de Medellin, 2021).

라트비아에서 진행된 ‘공공도서관의 경제적 가치와 영향 연구(Economic value and impact of public libraries)’도 마찬가지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 연구에서도 조사 대상에 포함된 모든 도서관 서비스 중 공적 접근성의 비용 대비 이득이 가장 높았다. 공공도서관의 전체적인 비용 대비 이득이 1:1.37인 반면, 컴퓨터 및 인터넷에 대한 공적 접근성은 그 비율이 1:3.04였다(Strode, 2012).

경제적 및 사회적 가치 연구에 따르면, 도서관이 제공하는 공적 접근성 덕분에 이용자와 지역사회가 상당한 비용을 절감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도서관의 공적 접근성에 대한 투자는 투자에 비해 이득이 훨씬 높기 때문에 비용 효율적이라는 사실이 여러 연구에서 입증되었다.

참고문헌

1. Al, U., Andrade Blanco, P., Chiranov, M., Cruz Silva, L.M., Devetakova, L.N., Dewata, Y., Dryžaite, I., Farquharson, F., Kochanowicz, M., Liubyva, T., López Naranjo, A., Phan, Q.T., Ralebipi-Simela, R., Soydal, I., Streatfield, D., Taolo, R., Trần, T.T.T. and Tkachuk, Y. (2015). Global Libraries impact planning and assessment progress. Performance Measurement and Metrics, Vol. 16 No. 2, pp. 109-131. Available at: https://doi.org/10.1108/PMM-05-2015-0015

2. Allmann, K., Blank, G., Wong, A. (2021). Libraries on the Front Lines of the Digital Divide: The Oxfordshire Digital Inclusion Project Report. Centre for Socio-Legal Studies. University of Oxford. Available at: https://www.law.ox.ac.uk/research-and-subject-groups/oxfordshire-digital- inclusion-project

3.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16). America’s Libraries: Powering Broadband Adoption, Access, And Use. Available at: https://www.ala.org/news/sites/ala.org.news/files/content/Broadband_11-08- 16_0.pdf

4. Biblioteca Nacional de Colombia, 2017. Fomento de servicios innovadores con el uso de las TIC. Available at: https://bibliotecanacional.gov.co/es- co/Footer/red-nacional-de-bibliotecas-publicas/proyecto-tic-en-bibliotecas- publicas/componentes/fomento-de-servicios-innovadores-con-el-uso-de-las- tic

5. Bon, M., Dervarič, M., Kavčič Čolić, A., Marian, M., Marian, T., Morawska, K., Tarnowska, B., Vartonick, R., and Zlateva, E. (2020). Project Finlit Financial Literacy Through Public Libraries (Erasmus+) Mapping Report. Available at: https://finlit.eu/edu/pluginfile.php/424/mod_resource/content/4/2020_03_30_ Finlit_MappingIO1.pdf

6. Cantar (2019). Lietuvos viešųjų bibliotekų interneto vartotojų tyrimas.Available at: https://lnb.lt/informacijos-mokslu-specialistams/atlikti-tyrimai

7. Coward, C., Fellows, M., Rothschild, C., Yim, M. (2020). Namibia’s RegionalLibraries.Final Report of the Regional Study and Resource Center (RSRC) Activity Evaluation. Seattle: Technology & Social Change Group, University of Washington Information School. Available at: https://digital.lib.washington.edu/researchworks/bitstream/handle/1773/4622 8/Namibia_LibraryEvaluation_FinalReport.pdf?sequence=1&isAllowed=y

8. EIFL (2020). Changing Children’s Lives in Ghana. Available at: https://www.eifl.net/system/files/resources/202005/eifl_ar_2019_ghanafeatur e_web.pdf

9. Ernst & Young (2017). Organizational and Service Review of the Newfoundland and Labrador Public Library System. Available at: https://nlpl.ca/phocadownload/NLPL-Review-EY-Report-Final-May-5- 2017.pdf

10. Fairbairn, J. (2019). Learning circles a hit in African public libraries. EIFL. Available at: https://eifl.org/blogs/learning-circles-hit-african-public-libraries

11. FRSI –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Foundation. O finansach… w bibliotece. Available at: https://frsi.org.pl/en/project/o-finansach-w- bibliotece-2/

12. Gomez, J. A. (2014) The Economic and Social Value of. Information Services: Libraries. FESABID Study. Available at: https://napleblog.files.wordpress.com/2014/05/the-economic-and-social- value-of-information-services-libraries.pdf

13. Good Things Foundation (2018). Testing Digital Inclusion in Kenya. Available at: https://www.goodthingsfoundation.org/insights/digital- inclusion-kenya/

14. Guernsey, L., Prescott, S., Park, C. (2021). Public Libraries and the Pandemic. Digital Shifts and Disparities to Overcome. New America. Available at: https://www.newamerica.org/education-policy/reports/public- libraries-and-the-pandemic/

15. Hartnett, M., Butler, P., Mentis, M., Carvalho, L., and Kearney, A. (2020) Public Libraries as Spaces for Digital Inclusion. Connecting Communities Through Technology. Institute of Education, Massey University, New Zealand. Available at: https://www.librariesaotearoa.org.nz/uploads/2/4/6/4/24640423/public_librari es_and_digital_inclusion_research_report.pdf

16. Hartnett, M., Butler, P., Mentis, M., Carvalho, L., and Kearney, A. (2020) Public Libraries as Spaces for Digital Inclusion. Connecting Communities Through Technology. Institute of Education, Massey University, New Zealand. Available at: https://www.librariesaotearoa.org.nz/uploads/2/4/6/4/24640423/public_librari es_and_digital_inclusion_research_report.pdf

17. Hind, K. (2020). Redlands Libraries great success with Senior’s Robotics. Public Libraries Connect. Available at: https://plconnect.slq.qld.gov.au/blog/redlands-libraries-great-success- seniors-robotics

18. Hoffman, J., Bertot, J. C., Davis, D. M., and Clark, L. (2011). Libraries Connect Communities: Public Library Funding & Technology Access Study 2010-2011.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Available at: https://www.ala.org/tools/research/initiatives/plftas/2010_2011#final%20repo rt

19. IFLA (2017). Public libraries in Romania facilitate access to agricultural subsidies. Available at: https://librarymap.ifla.org/stories/Romania/PUBLIC- LIBRARIES-IN-ROMANIA-FACILITATE-ACCESS-TO-AGRICULTURAL- SUBSIDIES/21

20. Muchai, J. (2018). Transforming Public Libraries in Kenya through Technology. Available at: https://www.scecsal.org/publications/papers2018/004_muchai_2018.pdf

21. Netloan (2018). Netloan Public Library Customer Survey Results 2017. Available at: https://www.lorensbergs.co.uk/casestudiesandresearch/public- libraries-2018-netloan-customer-survey-results/

22. Nordicity (2018). Technology Access in Public Libraries: Outcomes and Impacts for Ontario Communities. Nordicity for Toronto Public Library. Available at: https://www.torontopubliclibrary.ca/content/bridge/pdfs/nordicity-full- report.pdf

23. Quick, S., Prior, G., Toombs, B., Taylor, L., Currenti, R. (2013) Cross- European survey to measure users’ perceptions of the benefits of ICT in public libraries. Final report. Available at: https://digital.lib.washington.edu/researchworks/bitstream/handle/1773/2271 8/Final%20Report%20-%20Cross- European%20Library%20Impact.pdf?sequence=1

24. READ Global (2018). Technology Program Overview. Available at: http://www.readglobal.org/wp- content/uploads/2018/11/readglobaltechnologyoverview.pdf

25. Sey, A., Coward, C., Bar, F., Sciadas, G., Rothschild, C., and Koepke, L. (2013). Connecting people for development: Why public access ICTs matter. Global Impact Study of Public Access to ICTs. Final research report. Seattle: Technology & Social Change Group, University of Washington Information School. Available at: https://digital.lib.washington.edu/researchworks/bitstream/handle/1773/2275 3/Global_Impact_Study_2013.pdf?sequence=1&isAllowed=y

26. Shared Intelligence (2016). Making the Most of Wi-fi. National learning and case studies. A report to Arts Council England by Shared Intelligence. Available at: https://www.artscouncil.org.uk/sites/default/files/download- file/Making%20_The_Most_of_Wi-fi.pdf

27. Sistema de bibliotecas públicas de Medellin (2021). Estudio de Valor Economico y Social. Available at: https://bibliotecasmedellin.gov.co/estudio- de-valor/productos/#

28. Strode, I., Vanags, A., Strazdina, R., Dirveiks, J., Dombrovska, J., Pakalna, D., and Paberza, K. (2012). Economic value and impact of public libraries in Latvia: Study report. Culture Information Systems. Available at: https://culturelablv.files.wordpress.com/2009/04/economic-value-and- impact-of-public-libraries-in-latvia.pdf

29. Strover, S. (2019). Public libraries and 21st century digital equity goals. Communication Research and Practice, vol. 5. Available at: https://www.tandfonline.com/eprint/A9HZwYFunPdnaW3WhMSm/full?targe t=10.1080%2F22041451.2019.1601487&utm_campaign=Newsletters&utm_so urce=sendgrid&utm_medium=email&

30. Telstra Corporation Limited and New South Wales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Services (2018). Social Return on Investment Tech Savvy Seniors NSW CALD. Available at: https://www.sl.nsw.gov.au/sites/default/files/tss_nsw_cald_sroi_report_may_ 2018.pdf

31. The Dutch Digitalisation Strategy 2021. Available at: https://www.nederlanddigitaal.nl/binaries/nederlanddigitaal- nl/documenten/publicaties/2021/06/22/the-dutch-digitalisation-strategy- 2021-eng/210621-min-ezk-digitaliseringstrategie-en-v03.pdf

32. Vuorikari, R., Kluzer, S. and Punie, Y. (2022). DigComp 2.2: The Digital Competence Framework for Citizens - With new example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EUR 31006 EN,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Luxembourg. Available at: https://publications.jrc.ec.europa.eu/repository/handle/JRC128415

다음 호에 계속...


(원문보기)

https://repository.ifla.org/bitstream/123456789/2289/1/Impacts%20of%20Public%20Access%20-%20DC%20PAL%20Study.pdf

1참고: 미국 내의 전체 도서관. 이 보고서에서는 120,000개소로 추정함.

담당부서 : 국제교류홍보팀 (02-590-0797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