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라이브러리
사서칼럼
- 작성부서 국제교류홍보팀
- 등록일 2025-01-23
- 조회 574
글_ 앤헬 포베다 폴로(Angel Poveda Polo) 살라망카대학교(Universidad de Salamanca) 생물학부 도서관장 |
사진 1. 2024 IFLA 시상식 (출처: 앤헬 포베다 폴로)
“큰 것이 항상 더 나은 것은 아니다.” 이 같은 전제 아래, 국제도서관협회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IFLA)은 스페인 살라망카대학교(Universidad de Salamanca) 생물학부 도서관을 2024년 세계 최고의 녹색 도서관 3위로 선정했다.
연간 8,000유로 예산에 직원은 5명, 면적은 570제곱미터에 불과한 작은 도서관임에도, 다양하고 혁신적이며 영향력 있는 서비스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스페인 환경부(Ministerio para la Transición Ecológica y el Reto Demográfico, MITECO)는 ‘환경 정보 및 문서 기관과 자연보호 공간 네트워크(Red de Centros de Información y Documentación Ambiental y Espacios Naturales Protegidos, RECIDA)’를 통해 이번 공모전에 우리 도서관을 초대했다. 현재 스페인에는 다양한 기관에 소속된 150개 이상의 환경 관련 문서 센터와 도서관이 운영되고 있다.
설립 초기부터 우리는 대중이 도서관을 바라보는 전통적인 개념을 넘어, 이용자 커뮤니티의 실제 요구에 부합하는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학생, 교사, 학장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서비스 대상, 부족한 점, 원하는 콘텐츠, 활용 가능한 도구, 필요한 인력, 그리고 서비스 시행 기간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도서관은 이용자 유입을 회복하는 데 성공했으며, 대학 커뮤니티 내에서 위상을 한층 높일 수 있었다. 또한, 학부의 일상 활동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맡아 새로운 정보 서비스 제공, 미디어와 콘텐츠 생산 등으로 도서관의 개념을 확장했고, 우리 도시의 비전문 사회에 지식을 전달하며 혁신적인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한정된 자원으로 이 모든 성과를 이루기 위해 우리는 운영 과정을 체계화하고 자동화했으며, 다양한 단체와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단독으로는 실현하기 어려웠던 프로젝트들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지식뿐만 아니라 인적, 기술적, 경제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사진 2. 생물학 도서관 직원들 (출처: 앤헬 포베다 폴로)
1. 다양한 자료 대여
정보와 문서가 주로 디지털 형태로 존재하는 시대에, 도서관이 단순히 장서를 대여하는 공간으로만 머물러서는 한계가 있다. 이에 우리는 불필요한 구매를 줄이고 재사용 문화를 촉진하기 위해 쌍안경, 전자 돋보기, 리넨 테스터, 카메라, 비디오카메라, 전문 보드게임, 노트북 등 다양한 장비의 대여 서비스를 시작했다. 도서의 회전율이 0.01인 데 반해, 이러한 새로운 자료의 회전율은 2.6으로, 도서보다 약 260배 더 높은 대출 잠재력을 드러냈다. 이는 새로운 자료가 도서관에 신규 이용자를 유치하는 데 효과적인 선택지임을 보여준다.
2. 정보의 배포
사진 3. 비오노티시아스: 과학과 환경에 관한 최신 뉴스를 제공하는 인터랙티브 주간 잡지 (출처: 앤헬 포베다 폴로)
학부와 교수진, 대학, 외부 기관에서 생산되는 방대한 정보의 흐름을 고려할 때, 도서관은 구성원 모두가 소통할 수 있는 중심지로, 편집자, 조정자, 배포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콘텐츠 유형은 학습이나 연구를 위한 텍스트뿐만 아니라 뉴스, 취업 정보, 장학금, 교육, 자원봉사, 자연 활동, 연구 세미나, 콘퍼런스, 공지사항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도서관은 다양한 정보 제공처와 계약을 체결해 알림 및 뉴스 전송을 체계화했다. 또한, 사용자가 정보 제공자로 참여해 자료 활용도를 높이고 대학 커뮤니티와의 연계를 강화할 수 있었다.방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우리는 초간편배급(Really Simple Syndication, RSS) 리더 프리들리(Feedly)를 도입해 이용자가 인터넷에서 즐겨 찾는 웹사이트, 블로그, 뉴스, 유튜브 채널 등을 한 곳에서 관리하고 읽을 수 있도록 지원했다. 이 시스템은 정보 수집 과정을 자동화하고 표준화하며, 브라우저의 ‘즐겨찾기’ 폴더에 추가된 출처들, 자동화된 알림 및 구독 시스템, 계약을 맺은 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통합해 완성된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는 다양한 매체로 가공되어 여러 채널을 통해 배포된다.
그중 하나로 뉴스레터가 있다. 매달 장학금, 교육, 환경 자원봉사, 자연 활동과 관련된 다채로운 정보와 신간 도서 소식을 전하며, 모든 뉴스레터는 워드 템플릿을 사용해 내용을 업데이트한다. 이후 PDF 형식으로 변환된 파일을 구글 드라이브에 올려 온라인으로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도록 하고, 생성된 링크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배포한다.
정보 배포를 위한 또 다른 매체로는 이슈(Issuu) 플랫폼에서 플립 페이지 형식으로 제공되는 주간 전자 잡지 비오노티시아스(Bionoticias)가 있다. 비오노티시아스는 이미 600호 넘게 발행되었으며, 각호는 50페이지 분량으로 구성된다. 잡지에는 전체 뉴스의 하이퍼링크 역할을 하는 헤드라인과 이에 대한 간략한 요약이 게재된다.
+ 더 많은 정보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 가능:
https://issuu.com/bibliotecabiologia
이러한 모든 콘텐츠는 다음과 같은 채널을 통해 배포된다.
먼저, 생물학부 도서관 웹사이트를 통해 매주 디지털 잡지와 기타 배포 채널에 대한 액세스 권한이 제공된다.
2개의 이메일 배포 채널이 있는데, 4,000명 이상의 구독자를 보유한 학생 및 졸업생용 비오엠플레오(Bioempleo)와 교사용 ‘비블리오테카 데 비올로히아(Biblioteca de Biología)’로 구분한다. 또한, 도서관은 팔로워 4,000명 이상의 페이스북 페이지와 인스타그램 계정도 보유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을 통해서도 졸업생들이 회사에서 수행하는 업무의 유형과 채용 과정에서 중요하게 평가되는 요건에 대해 설명하는 동영상을 제공한다. 이는 재학생들에게 진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보완 교육의 역할을 한다.
+ 더 많은 정보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 가능:
www.youtube.com/channel/UCS1zKe2ZuBWhLce0CUGH6lw/videos
마지막으로, 소프트웨어 없이도 원활하게 작동하는 게시판과 브로슈어 진열대도 준비되어 있다.
3. 과학 알리기
우리 도서관의 또 다른 주요 활동은 연구원들이 수행한 연구 결과를 쉽고 흥미로운 언어로 사회에 전달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일반 대중의 기초 과학 문화를 증진하고, 과학적 열정을 키우며, 새로운 학생들을 우리 학위 과정에 유치할 수 있게 되었다.
3.1. 보도자료
이러한 서비스의 일환으로 우리는 연구원들의 활동 결과를 비전문가인 대중에게 알리기 위해 보도자료를 작성해 SNS에 배포한다. 또한, 인쇄 매체와 디지털 매체를 불문하고 전국의 모든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국 등 언론과 기관에 보냄으로써 연구의 가시성을 높이고, 대중에게 그 연구가 일상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릴 수 있었다. 이러한 보도자료 중 일부는 페이스북에서만 25,000명의 독자에게 도달했다.
3.2. 네우로만(Neuroman)
사진4. 네우로만: 청소년들에게 과학을 전파하는 대화형 디지털 잡지 (출처: 앤헬 포베다 폴로)
네우로만은 고유 ISSN번호를 가지고 있는 분기별 무료 디지털 잡지로, 12세에서 16세 사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과학 지식을 대중화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 잡지는 학생들이 글쓰기 연습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으며, 다학제적으로 구성된 잡지 제작팀에는 자발적인 참여가 이어지고 있다.
잡지 제작 과정은 학생들이 교수의 지도를 받아 작성한 기사 또는 다양한 기관의 교수들이 작성한 기사를 접수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이후 어도비 인디자인과 포토샵 프로그램을 사용해 잡지를 편집한다. 편집이 완료되면 ‘플립 PDF(Flip PDF)’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디지털화하고, 인터넷 서버에 올린 뒤 설명 및 검색 데이터를 입력한다. 이후 하이퍼링크를 삽입하면 출판 단계가 마무리된다. 잡지는 앞서 언급된 다양한 채널을 통해 배포되며, 네우로만이라는 이름의 자체 페이스북 페이지도 개설되어 있다.
+ 더 많은 정보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 가능:
3.3. 엘 비에호 베르데(El viejo verde)
사진 5. 라디오 프로그램 엘 비에호 베르데 팀 (출처: 앤헬 포베다 폴로)
엘 비에호 베르데는 과학과 환경을 대중에게 알리고 확산시키기 위해 역동적인 형식과 광범위한 내용을 담은 라디오 프로그램이다.(2018년 중단) 라디오는 모든 사회 계층에 도달하기 때문에 가장 영향력 있는 대중 매체로서 선택적인 동시에 유연한 특성을 가지며, 다른 매체보다 직접적이고 간단하게 보다 많은 청중에게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 프로그램은 대학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도 청취할 수 있도록 재미있고 유익하게 제작되었다. 우리의 일상생활에 과학의 중요성을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살라망카대학교 방송국을 통해 주 30분씩 방송되었다. 원고 작성과 진행은 연구 장학생들과 학부 교수가, 프로그램의 기획과 제작팀 구성, 조정, 배포는 도서관에서 담당했다.
프로그램은 실시간 청취와 다시 듣기도 가능했으며, 각 회차의 녹음 보존을 위해 아이북스(iVoox)를 통한 팟캐스트로도 제공되었다. 방송의 각 회차에서 다룬 모든 정보를 배포하기 위해 같은 이름의 공개 페이스북 페이지와 트위터 계정이 생성되었고, 새로운 청취자 확보를 위해 생물학이나 환경 관련 공개 페이스북 그룹이나 학부 도서관에서 관리하는 사이트를 통해서도 팟캐스트를 배포했다.
+ 더 많은 정보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 가능:
https://www.ivoox.com/podcast-podcast-el-viejo-verde_sq_f1250197_1.html
3.4. 연구 기관 방문
과학 관련 진로와 연구직 분야의 직업 선택 시 이를 장려하기 위해 도서관은 학생들이 관심 있는 연구소를 방문할 수 있도록 일정을 조율한다. 방문 대상은 ‘암 연구 센터(Centro de Investigación del Cáncer)’, ‘히스파노루소 농업 연구 센터(Centro Hispanoluso de Investigaciones Agrarias)’, ‘카스티야 이 레온 신경과학 연구소(Instituto de Neurociencias de Castilla y León)’, ‘기능생물학 및 유전체학 연구소(Instituto de Biología Funcional y Genómica)’, 학부 산하 동물 사육실, 동물 및 식물 표본관 등이 있다.
방문을 계획할 때는 수업 부담이 적은 요일과 시간을 먼저 파악한 뒤, 각 연구소의 홍보 담당자와 협의해 가능한 날짜, 소요 시간, 최소 및 최대 참석 인원을 결정한다. 도서관에서는 지금까지 언급된 모든 정보 채널을 통해 이를 공지하며, 참석자들에게 이름, 학년, 이메일, 전화번호, 참석 가능한 날짜를 요청하고, 가장 적합한 날짜를 선정한 뒤 참석자 수가 적정한지 확인한다. 이후 확정된 날짜와 시간에 학생들이 해당 연구소 입구에 집합하면 연구소 홍보 담당자가 방문을 안내한다.
3.5. 바이오필름(BIOFILM) 주간
사진 6. 바이오필름: 우리의 영화, 과학, 환경축제 (출처: 앤헬 포베다 폴로)
우리는 2016년부터 영화, 과학, 환경 시사회 행사인 바이오필름을 개최해 왔다. 공상 영화와 다큐멘터리 상영을 통해 시민들과 우리 도시에 관해 논하는 대화의 장을 마련한다. 영화 상영 후, 두 명의 연구원이 대학에서 진행되는 연구를 설명하고, 관객과의 토론을 통해 궁금증을 해소한다. 각 세션에는 평균 약 120명의 관객이 참여하며, 어린이 세션까지 포함해 2주 동안 3개의 상영관에서 진행되기도 했다.
3.6. 공원 가이드 투어
사진 7. 살라망카시 정원을 둘러보는 가이드 투어 중 하나 (출처: 앤헬 포베다 폴로)
새로운 활동의 일환으로 도시의 공원 가이드 투어를 제공하는데, 이는 시민들에게 가까운 주변 환경에서 발견할 수 있는 식물과 조류의 종을 설명하는 프로그램이다. 투어는 봄과 가을, 매주 일요일에 그룹당 최대 15명의 참가자와 2명의 학생 자원봉사자 가이드가 짝을 이뤄 진행되며, 참가자들에게는 쌍안경과 도서관에서 제작한 공원에서 발견 가능한 생물종들의 가이드북이 제공된다. 도서관은 이 활동의 기획, 조정, 홍보와 참가자 그룹 구성을 담당하며, 참여한 학생 자원봉사자들에게는 포트폴리오에 사용할 수 있는 인증서를 학부에서 발급한다.
3.7. 책임 있는 소비와 친환경 시장의 날
사진 8. 책임 있는 소비와 생태 시장의 날 (출처: 앤헬 포베다 폴로)
2023년에 우리는 책임 있는 소비에 관한 첫 행사를 개최했다. 이 행사는 모든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8개의 세미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리의 소비 습관 변화에 대한 필요성 인식 향상을 목표로 한다. 또한 우리 시에서 처음으로 10명의 지역 생산자가 참여한 친환경 제품으로 시장을 열었고, 기후 변화의 해결책을 다룬 전시회도 함께 진행했다
4. 교육을 위한 새로운 학습 자료 제작
사진 9. 이미지나리움: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출처: 앤헬 포베다 폴로)
사진 10. 이미지나리움 섹션의 또 다른 예 (출처: 앤헬 포베다 폴로)
‘학습 및 연구를 위한 자원 센터(Centro de recursos para el aprendizaje y la investigación, CRAI)’로서의 도서관이라는 아이디어에 따라 생물학 도서관은 학부 교수진과 협력해 디지털 교육 자료를 다년간 개발해 왔다. 그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교육 및 연구를 위해 도입된 이미지 갤러리 이미지나리움(Imaginarium)이다. 이 갤러리는 스페인과 이베로아메리카1의 수많은 대학에서 사용 중이며, 2010년 출시 이후 5,40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콘텐츠는 학생, 지도교수, 도서관이 협력해 학부 졸업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하고, 그 결과물은 식물학, 동물학, 조직학, 전자현미경학의 폴더 형태로 존재하며, 폴더 내에서 관련된 원본 이미지를 찾을 수 있다. 각 이미지는 서로 다른 부분을 식별 · 설명하고, 존재하는 5,000개 이상의 이미지 중 유사성을 기반으로 분류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태그(Interactive Tag)’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 더 많은 정보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 가능:
이를 보완하기 위해 학생들이 이미지나리움에서 얻은 지식을 복습하는 데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콘텐츠로 대화형 전자 게임이 만들어진다.
+ 더 많은 정보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 가능:
https://bibbiologia.usal.es/BIOLOGIAGENERAL2/biologia_general_2.html
5. 취업 지원
사진 11. 졸업생들이 재학생들에게 자신의 근무지를 소개하는 유튜브 채널 (출처: 앤헬 포베다 폴로)
대학 내에 취업 지원을 위한 전문 서비스가 존재하나,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구체적인 취업 정보나 선택 진로에 대한 이해, 그리고 관련 취업 정보를 찾기 위한 도구 및 전략, 생물학이나 생명공학 분야에서 취업 또는 창업하기 위한 필요한 기술 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서관은 관련 업계 기업가들과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중인 졸업생들의 성공 사례 강연을 포함한 취업 관련 프로그램을 조직했다. 강연 주제는 연구자로서 일하기 위해 밟아야 할 단계, 자금 조달 방법, 기업 취업 방법, 생물학 및 생명공학 분야에서의 창업 방법, 공공기관 내 존재하는 특정 직업들과 지원 절차 등이며, 현재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학부 졸업생들의 생생한 경험담을 전한다.
이와 더불어 졸업생들이 보내온 영상과 강연을 녹화해 앞서 언급한 도서관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하고 이후 우리 플랫폼에 배포함으로써 강연에 참석하지 못한 사람들도 내용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코스타리카, 파나마, 그리스 카보베르데의 토르투게로 해변 등에서 직장과 처음으로 접할 수 있는 환경 자원봉사의 날도 조직했다.
마지막으로, 취업 정보 및 장학금에 대한 주간 뉴스레터를 발송한다. 이 뉴스레터는 매주 발송되며, 전 세계 400건 이상의 취업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약 4,000명이 뉴스레터를 구독 중이며, 대부분이 우리 학부 졸업생이다.
6. 기타 협력 활동
우리 도서관은 환경과 생물학 관련 활동의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다른 기관들과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우리는 ‘환경정보 및 문서화 센터 네트워크(Red de Centros de Información y Documentación Ambiental, RECIDA)’의 회원이며 ‘살라망카대학교 환경 연구 및 농촌 활성화 센터(Centro para estudios medioambientales y dinamización rural de la Universidad de Salamanca, CEADIR)’와 협력하고 있다.
또한, 우리 도서관은 스페인 파충류학 협회의 서지 컬렉션 보관소 역할을 담당하고, 농촌의 지역 활동 그룹과 협력해 디지털 출판물 제작, 포스터 및 비디오 제작, 강연 및 워크숍 개최 등 다양한 활동을 지원한다.
더불어, 우리는 살라망카대학교의 다양한 교육 혁신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여기에는 대학생들을 위한 건강한 여가 프로그램 등이 포함된다.
7. 결론
우리 도서관은 도서 디지털화, 문서 자료의 기술적 처리 및 대출, 사용자 교육, 그리고 교수진의 연구 활동 평가 지원과 같은 전통적인 도서관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수행해 왔다. 동시에, 혁신적인 서비스를 도입하고 도서관의 역할을 확장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 글을 마무리하며, 혁신적인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도서관이 반드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실제 요구 상황에 맞는 효과적이고 상세한 계획을 세운다.
• 적성과 적극성을 평가하는 적합한 선발 과정을 통해 암기 능력보다는 해결책 제시와 실용적인 제안을 할 수 있는 인재를 확보한다.
• 구체적이고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직원의 역량을 강화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이러한 서비스를 서비스 헌장에 정의하고 포함함으로써 도서관의 주요 업무로 인식되도록 한다.
• 정확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갖추고 관련 분야에 대한 효율적인 자문을 받는다.
• 기관 내 다른 부서 및 서비스와 효과적으로 협력한다.
1)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식민지였던 아메리카 대륙의 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