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7 - 영화(Motion Picture)
  • 반복

지시기호 및 식별기호

이 필드에서는 지시기호와 식별기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데이터 요소는 위치에 따라 정의된다.

00 자료범주표시
  • m 영화
01 특정자료종별
  • c 필름 카트리지
  • f 필름 카세트
  • o 필름 롤
  • r 필름 릴
  • u 자료를 특정화하지 않음
  • z 기타 필름형태
  • | 부호화하지 않음
02 미정의 03 색채
  • b 흑백
  • c 천연색
  • h 수작업에 의한 색
  • m 혼합
  • n 적용불가(상이 없는 자료)
  • u 미상
  • z 기타
  • | 부호화하지 않음
04 스크린 형태
  • a 표준음향 애퍼처
  • b 아나몰픽이 아님(非歪像)
  • c 입체
  • d 아나몰픽(歪像)
  • e 기타 와이드 스크린 형태
  • f 표준무성 애퍼처
  • u 미상
  • z 기타
  • | 부호화하지 않음
05 음향 유무
  • b/ 무성
  • a 매체에 음향이 수록되어 있음
  • b 매체와 별도로 음향이 수록되어 있음
  • u 미상
  • | 부호화하지 않음
06 음향수록 매체
  • b/ 무성
  • a 영화필름상의 광학녹음대
  • b 영화필름상의 자기녹음대
  • c 카트리지상의 자기음향테이프
  • d 음반
  • e 릴상의 마그네틱음향테이프
  • f 카세트상의 마그네틱음향테이프
  • g 영화필름상의 광학 및 마그네틱녹음트랙
  • h 비디오테이프
  • i 비디오디스크
  • u 미상
  • z 기타
  • | 부호화하지 않음
07 필름의 폭
  • a 표준 8 mm
  • b 수퍼 8 mm/싱글 8 mm
  • c 9.5 mm
  • d 16 mm
  • e 28 mm
  • f 35 mm
  • g 70 mm
  • u 미상
  • z 기타
  • | 부호화하지 않음
08 음향의 재생상태
  • k 혼합
  • m 단음(모노럴)
  • n 적용불가(무성)
  • q 4채널, 다채널, 서라운드
  • s 스테레오
  • u 미상
  • z 기타
  • | 부호화하지 않음
09 제작요소
  • a 작업용 필름
  • b 편집된 필름
  • c 삭제된 필름
  • d 편집용 인화필름
  • e 혼합트랙
  • f 타이틀 밴드/삽입자막롤
  • g 프로덕션롤
  • n 적용불가
  • z 기타
  • | 부호화하지 않음
10 감광상태
  • a 양화
  • b 음화
  • n 적용불가
  • u 미상
  • z 기타
  • | 부호화하지 않음
11 복제단계
  • d 복제
  • e 마스터
  • o 원판
  • r 표본인화
  • u 미상
  • z 기타
  • | 부호화하지 않음
12 필름의 기본재료
  • a 미확인 안전체
  • c 아세테이트 미확인 안전체
  • d 디아세테이트 안전체
  • i 질산염체
  • m 질산안전 혼합체
  • n 적용불가
  • p 폴리에스테르 안전체
  • r 혼합 안전체
  • t 트리아세테이트 안전체
  • u 미상
  • z 기타
  • | 부호화하지 않음
13 색채의 범주
  • a 3층 색채
  • b 2층 색채 단편색
  • c 색상불명의 2색
  • d 색상불명의 3색
  • e 3색 스트립
  • f 2색 스트립
  • g 적색 스트립
  • h 청색 또는 녹색 스트립
  • i 시안 스트립
  • j 마젠타 스트립
  • k 황색 스트립
  • l SEN 2
  • m SEN 3
  • n 적용불가
  • p 세피아톤
  • q 기타 색상
  • r 틴트
  • s Tinted and toned
  • t 스텐실 컬러
  • u 미상
  • v 수작업에 의한 색
  • z 기타
  • | 부호화하지 않음
14 다채색 인화유형
  • a 염료흡인전사 인화필름
  • b 3 layer stock
  • c 3 layer stock, low fa
  • d Duplitized stock
  • n 적용불가
  • u 미상
  • z 기타
  • | 부호화하지 않음
15 변질상태
  • a 변질상태 불분명
  • b 질산염: 의심스러운 냄새
  • c 질산염: 자극적인 냄새
  • d 질산염: 갈색, 변색, 색바램, 탈색
  • e 질산염: 끈적거림
  • f 질산염: 거품, 기포
  • g 질산염: 응고
  • h 질산염: 가루화
  • k 비질산염: 인지할 수 있는 정도의 손상(디아세테이트 냄새)
  • l 비질산염: 과도한 손상
  • m 비질산염: 완전 손상
  • | 부호화하지 않음
16 필름의 완전성
  • c 완전
  • i 불완전
  • n 적용불가
  • u 미상
  • | 부호화하지 않음
17 - 22 필름검사일자
  • 연월일 yyyymm
  • |||||| 부호화하지 않음

정의와 범위

007 필드에 부호 m을 적용하여, 영화 자료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부호로 기술한다.

적용지침

■ 자수위치
/00 자료범주표시

    기술 대상자료가 음향의 유무와 관계없이 필름 상의 일련의 정지화상을 빠르게 연속하여 돌림으로써 영사기를 통해 동화상(動畫像)이 되도록 만들어진 자료범주에 속하는 것임을 1자리 부호로 나타낸다. 여기에는 영화필름 자체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기술하고 영화 DVD는 비디오녹화자료(007/04=v)에 기술한다. 이 자리에는 채움문자(|)를 사용할 수 없다.

  • m - 영화(Motion Picture)
/01 특정자료종별

영화의 특정자료종별을 1자리 부호로 나타낸다. 채움문자(|)는 이 자리에 부호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적용한다.

  • c - 필름 카트리지(Film cartridge)
    해당 자료가 되감김 없이 재생되는 필름 감기 형태로 된 카트리지에 내장된 영화필름임을 나타낸다.
  • f - 필름 카세트(Film cassette)
    해당 자료가 reel-to-reel 방식으로 필름이 감기고 풀리는 카세트에 내장된 영화필름임을 나타낸다.
  • o - 필름 롤(Film roll)
    해당자료가 릴, 카트리지 등에 감겨 있지 않은 상태의 영화필름임을 나타낸다.
  • r - 필름 릴(Film reel)
    해당 자료가 감김장치가 있는 영사기와 함께 사용되도록 만들어진 오픈 릴로 된 영화 필름임을 나타낸다. 감김장치(take-up reel)는 릴녹음기의 오른쪽에 있는 릴로써 녹음과 재생 시 테이프는 이곳에 감긴다.
  • u - 자료를 특정화하지 않음
    영화자료에 대한 특정자료종별이 세분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 z - 기타 필름형태
    필름의 유형에 대해 적합한 부호가 없을 경우 적용한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02 미정의

이 자수위치는 정의되지 않았으므로 빈칸(b/)이나 채움문자(|)로 표시한다.

/03 색채

영화의 색채 특성을 1자리 부호로 나타낸다. 채움문자(|)는 이 자리에 부호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적용한다.

  • b - 흑백(Black-and-white)
    이미지가 흑백으로 인쇄되거나 만들어졌음을 나타낸다.
  • c - 천연색(Multicolored)
    두 가지 색 이상으로 인쇄되거나 만들어진 영화자료임을 나타낸다. 이 부호는 색채 사진 처리에 사용된다.
  • h - 수작업에 의한 색(Hand colored)
    네거티브나 포지티브 필름 등의 화상에 붓이나 에어브러시로 부분적으로 손질하여 만들어진 영화임을 나타낸다. 드물게 광고용 필름에 사용된다. 부호 h가 있을 경우 다른 색채부호에 우선하여 적용한다.
  • m - 혼합(Mixed)
    작품이나 컬렉션이 흑백, 다채색, 수작업에 의한 색, 기타 다른 이미지와 조합된 것임을 나타낸다.
  • n - 적용불가(상이 없는 자료)
    해당자료에 이미지가 없기 때문에 색채의 특성을 적용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 u - 미상
    영화의 색채 특성을 알 수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 z - 기타
    색채의 특성에 대해 적용할 적합한 부호가 없을 경우에 적용한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04 스크린 형태

영화의 상영 형태를 1자리 부호로 나타낸다. 대형화면은 대개 테크니스코프(Techniscope), Todd-AO, Super-Panavision과 같은 용어로 나타낸다. 채움문자(|)는 이 자리에 부호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적용한다.

  • a - 표준음향 애퍼처(Standard sound aperture)
    해당 자료가 축소된 프레임의 표준음향 애퍼처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표준 음향 35 mm, 16 mm, 수퍼 8 mm 필름과 같이 대형화면이 아닌 형태에 사용된다. 사운드트랙이 포함된 무성영화에도 적용된다.
  • b - 아나몰픽이 아님(非歪像: Nonanamorphic)
    영상을 광학적으로 압축하거나 특정영사기법의 필요 없이 대형화면효과를 내는 와이드 스크린 형식에 적용한다. 비아나몰픽 와이드 스크린 처리는 주로 35 mm 필름과 표준 크기가 이보다 더 큰 필름에 사용된다. 크기가 큰 필름은 광학적으로 압축되지 않은 자연 필름상의 영상과 프레임의 세로 크기가 가로 크기보다 더 작은 표준 필름에 해당한다. 이 방식은 보통 렌즈와 화면 비율에 적합한 애퍼처 플레이트(aperture plate)를 통과하여 영사기에 의해 와이드 스크린에 비치는 것을 말한다.
  • c - 입체(3D)
    보통 와이드 스크린 상에 필름의 두 개의 화상을 겹쳐 새 화상을 만들기 위해 두 대의 영사기를 사용하여 삼차원의 효과를 내는 필름에 적용한다. 이는 35 mm 필름에 주로 사용된다. 여기에는 깊이 있고 입체적인 효과를 내는 데 도움을 주는 뷰어에 편광렌즈가 장착된다.
  • d - 아나몰픽(歪像, Anamorphic)
    수평면에 맞추어 광학적으로 압축되거나 억지로 맞춘 화상을 사용하여 와이드 스크린의 효과를 내는 필름에 사용된다. 수직적으로 확대하기보다는 측면을 더 확대하는 특수 렌즈를 사용하여 영사기를 통해 와이드 스크린에 정확한 비율로 확대된다. 상업용으로는 시네마스코프(Cinemascope)라는 이름으로 1953년에 도입되었고 이어 1963년에 테크니스코프(Techniscope), Naturama, 비아나몰픽(Nonanamorphic), 파나비전(Panavision) 등이 등장하였다. 이런 과정을 거치는 16 mm 필름에도 적용된다.
  • e - 기타 와이드 스크린 형태
    열거한 부호에 의해 적용될 수 없는 기타 와이드 스크린 처리에 대하여 적용한다. 이는 여러 영사기를 동시에 돌려서 와이드 스크린을 만들어내는 Cinerama, Viterama, Cinemiracle, Circarama, 기타 형식이 포함된다. 때로는 일련의 화상에 의해 영사된 화면을 만들기 위해 여러 대의 영사기를 통해 깊게 휜 스크린을 사용하기도 한다.
  • f - 표준무성 애퍼처(full frame)
    노출 화면이 프레임의 천공 구멍 사이의 공간 폭이 되는 35 mm에 대하여 적용한다. 이는 1899년부터 1920년대 말에 영화에 소리가 도입되기 전의 무성 영화필름에 대한 표준 형식이었다.
  • u - 미상
    영화 필름의 형식을 알 수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 z - 기타
    영상을 표현하는 형식을 열거한 부호 중 적합한 부호가 없을 경우 적용한다. 예로 직사각형이 아니며 비표준인 180도의 제한된 회전이 되는 70 mm 아이맥스(Imax) 형식을 들 수 있다. 아이맥스는 측면비율을 가지고 있지 않으나 와이드 스크린의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와이드 스크린 형식을 고려하지 않을 수도 있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05 음향 유무

매체의 음향 유무를 1자리로 나타낸다. 채움문자(|)는 이 자리에 부호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적용한다.

  • b/ - 무성
    음향이 없음을 나타낸다.
  • a - 매체에 음향이 수록되어 있음(Sound on medium)
    해당 자료 자체에 음향이 있음을 나타낸다. 필름의 가장자리에 있는 마그네틱 스트립과 같이 물리적으로 필름의 한 부분으로 되어있는 분리된 음향 트랙을 부호화할 경우 항상 적용한다.
  • b - 매체와 별도로 음향이 수록되어 있음(Sound separate from medium)
    화상과 별도로 음향이 수록된 매체가 있는 경우 적용한다. 예로 카세트를 들 수 있다.
  • u - 미상
    음향의 존재여부를 알 수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06 음향수록 매체

음향수록 매체는 1자리로 나타낸다. 이것은 자료에 필요한 음향 재생 장치의 유형을 나타낸다. 이 문자 위치는 007/05(매체의 음향 수록)와 007/07(필름의 폭)의 부호화된 정보와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음향 매체들은 다음과 같다.

  • 1) 카트리지나 카세트에 담긴 필름 릴 상의 광학 또는 자기녹음대
  • 2) 카트리지나 카세트에 담긴 릴 상의 음향 또는 비디오테이프
  • 3) 음반 또는 비디오디스크

채움문자(|)는 이 자리에 부호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적용한다.

  • b/ - 무성
    해당자료가 무성임을 나타낸다.
  • a - 영화필름상의 광학녹음대(Optical sound track on motion picture film)
    음향수록 매체가 필름의 일부분인 광학녹음트랙일 경우 사용한다. 보통 16 mm, 35 mm 필름에서 광학녹음트랙를 사용한다.
  • b - 영화필름상의 자기녹음대(Magnetic sound track on motion picture film)
    음향수록 매체가 필름의 일부분인 마그네틱녹음트랙일 경우 사용한다. 보통 70 mm 필름에서 마그네틱녹음트랙를 사용한다.
  • c - 카트리지상의 자기음향테이프(Magnetic audio tape in cartridge)
    카트리지상의 마그네틱음향테이프를 나타낸다.
  • d - 음반(Sound disc)
    음반에 음향이 수록되어있을 때 사용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공되는 음향은 대부분 필름스트립에서 사용된다. 음반은 7, 10, 12 인치의 비닐 포노그래프 레코드와 4 3/4 in. 컴팩트 디스크를 포함한다.
  • e - 릴 상의 마그네틱음향테이프(Magnetic audio tape on reel)
    릴 상의 마그네틱음향테이프를 나타낸다.
  • f - 카세트 상의 마그네틱음향테이프(Magnetic audio tape in cassette)
    카세트 상의 마그네틱음향테이프를 나타낸다.
  • g - 영화필름 상의 광학 및 마그네틱녹음트랙(Optical and magnetic sound track on motion picture film)
    영화필름 상의 광학 및 마그네틱녹음트랙를 나타낸다.
  • h - 비디오테이프(Videotape)
    비디오테이프의 일부분에 음향이 수록되었을 때 사용한다. 비디오테이프는 보통 음향만을 단독으로 수록하지는 않는다.
  • i - 비디오디스크(Videodisc)
    비디오디스크의 일부분에 음향이 수록되었을 때 사용한다. 비디오디스크는 보통 음향만을 단독으로 수록하지는 않는다. 컴팩트 디스크와 비디오디스크의 차이점은 컴팩트 디스크는 음향만을 수록하고 있다는 점이다. 비디오나 음향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물리적인 기술은 둘 다 동일하다.
  • u - 미상
    음향수록매체를 알 수 없을 때 사용한다.
  • z - 기타
    위에 기술한 것에 해당되는 사항이 없는 음향매체를 나타낸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07 필름의 폭

필름의 폭을 1자리로 나타낸다. 자료의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규격만을 기술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부호 z를 사용한다. 채움문자(|)는 이 자리에 부호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적용한다.

  • a - 표준 8 mm
    영화필름 폭이 표준 8 mm 임을 나타낸다. 영화용어 Mauer 8 mm 필름에도 이 부호를 적용한다.
  • b - 수퍼 8 mm/싱글 8 mm
    영화필름의 폭이 수퍼 8 mm임을 나타낸다. 싱글 8 mm 영화필름은 수퍼 8 mm 영화필름의 일본식 표현이다.
  • c - 9.5 mm
    영화필름의 폭이 9.5 mm임을 나타낸다.
  • d - 16 mm
    영화필름의 폭이 16 mm임을 나타낸다.
  • e - 28 mm
    영화필름의 폭이 28 mm임을 나타낸다.
  • f - 35 mm
    영화필름의 폭이 35 mm임을 나타낸다.
  • g - 70 mm
    영화필름의 폭이 70 mm임을 나타낸다.
  • u - 미상
    영화필름의 크기를 알 수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 z - 기타
    영화필름의 크기를 나타내는 부호 중 적합한 부호가 없을 경우에 적용한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08 음향의 재생상태

음향의 재생상태를 1자리로 나타낸다. 이 데이터 요소는 재생하도록 분명히 표시된 것을 근거로 하여 부호화되어야 한다. 이 부호는 만일 채널들이 모두 재생할 수 있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라면, 원래 녹음된 채널의 분할 설정을 나타내지 않는다. 채움문자(|)는 이 자리에 부호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적용한다.

  • k - 혼합(Mixed)
    단일 영화에 영화 영상의 음향분할에 대한 재생채널 설정을 하나 이상 할 수 있는 경우임을 나타낸다. 단음(monaural)과 스테레오 사운드 트랙의 필름 모두에 해당할 수 있다.
  • m - 단음(Monaural)
    영화의 음향 분할이 하나의 채널로 재생되도록 설정된 것임을 나타낸다.
  • n - 적용불가(무성)
    영화의 음향 분할 설정이 무성이어서 적용할 수 없는 경우임을 나타낸다. 007/05(음향 유무) 자리가 b인 경우 즉, 매체와 별도로 음향이 수록된 경우에도 적용한다. 음향 트랙이 분리된 음향재생 채널인 경우에는 딸림자료에 녹음된 음향에 대하여 또 다른 007 필드에 기술한다.
  • q - 4채널, 다채널, 서라운드(Quadraphonic, multichannel, or surround)
    영화필름의 음향 분할 설정이 두 채널 이상에서 재생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임을 나타낸다. 돌비서라운드 트랙과 기타 다중채널 기법에 대해서는 이 부호를 적용한다.
  • s - 스테레오(Stereophonic)
    영화필름의 음향 분할 설정이 두 개의 분리된 채널 상에서 재생되도록 설정된 경우임을 나타낸다. 매체가 단음이 아닌 경우와 다중 재생 소스가 이용가능한지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이 부호를 적용한다.
  • u - 미상
    영화필름의 음향 분할에 대한 재생 설정을 알 수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 z - 기타
    재생채널의 설정에 적용할 적합한 부호가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09 제작요소

완전한 필름을 만들기 위하여 생성되는 필름의 유형을 1자리 부호로 나타낸다. 이 문자 위치에 기술되는 내용은 완결된 작품, 즉 완성된 필름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채움문자(|)는 이 자리에 부호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적용한다.

  • a - 작업용 필름(Workprint)
    촬영 결과를 보기 위한 임시 화면으로 카메라가 원래 촬영한 순서대로 연결된 프린트를 시사한 후 필름을 장면별로 분류하고 완성된 장면만을 커트의 순서대로 연결해 편집하는 작업용 필름을 말한다.
  • b - 편집된 필름(Trims)
    작업용 필름으로 편집한 이후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잘라내는 등의 편집이 진행된 것을 말한다.
  • c - 삭제된 필름(Outtakes)
    필름 편집 시 삭제된 필름을 말한다.
  • d - 편집용 인화필름(Rushes)
    촬영된 결과의 이상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바로 현상한 작업용 양화필름을 말하며 데일리(Dailies)라고도 한다.
  • e - 혼합트랙(Mixing tracks)
    필름의 최종 사운드 트랙을 만들기 위해 별도의 사운드 트랙이 결합되어 혼합된 트랙임을 나타낸다. 혼합트랙에는 음악, 음향 효과, 대화 트랙이 포함된다.
  • f - 타이틀 밴드/삽입자막롤(Title bands/inter-title rolls)
    자체의 관련된 화면에서 분리된 자막이나 제목을 삽입하였음을 나타낸다.
  • g - 프로덕션롤(Production rolls)
    릴에서 잘리거나 남겨지기 전에 생산된 필름의 다양한 요소에 대한 일반 용어이다.
  • n - 적용불가
    해당자료가 영화의 요소가 아닌 경우 적용한다.
  • z - 기타
    영화의 요소에 적합한 부호가 없을 경우 적용한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10 감광상태

감광상태를 1자리 부호로 나타낸다. 영화필름의 감광상태는 필름의 기본재료에 접착되거나 지지되는 감광유제의 종류와 관계가 있다. 채움문자(|)는 이 자리에 부호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적용한다.

  • a - 양화(Positive)
    색채 및 색조가 원판필름과 같은 필름을 나타낸다.
  • b - 음화(Negative)
    화상이 음화로 된 필름을 나타낸다. 흑백 필름용의 경우 명암이 원판 필름의 것과 반대로 나타난다. 색채 필름의 경우에는 색조가 원판 필름의 보색으로 나타난다. 예로 음화 필름에서는 붉은색이 녹색으로 보인다.
  • n - 적용불가
    양화나 음화의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필름인 경우에 적용한다.
  • u - 미상
    필름의 양화나 음화의 특성을 알 수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 z - 기타
    양화나 음화의 측면에 해당하는 적합한 부호가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11 복제단계

필름의 복제단계를 1자리 부호로 나타낸다. 복제단계의 범주는 해당 자료가 원본 필름(예: 실제 음화 필름이나 카메라 속의 원판 비디오테이프)에서 얼마나 많은 단계를 지난 상태인가를 나타낸다. 복제단계의 데이터는 이용가능한 복제물의 품질을 평가하고 보존할 것을 결정하며 감상이나 연구에 이용할 수 있는 자료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복제단계의 개념은 동적인 이미지 자료를 생성, 복제, 보존할 때 필요한 사진의 처리를 의미한다. 자료가 원판에서 연속적으로 제작되면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등의 복제단계의 자료(예: 원판 음화 - 양화 마스터 - 복제 음화 - 표본 인화)가 된다. 채움문자(|)는 이 자리에 부호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적용한다.

  • d - 복제(Duplicate)
    보통 음화로 되어있고 ‘dupe neg’라고도 불리며 오리지널 영화나 사운드 트랙에서 복제된 복제품임을 나타낸다. 음화 복제품은 처음의 음화에서 만들어진 양화 마스터로부터 복제된 것이다. 이 복제품은 오리지널 제품에서 최소 세 번의 복제단계를 거쳐 복제된 것임을 말한다. 복제 음화는 특수 효과 작업에서처럼 오리지널 화상으로 나타나지 않는 특성을 얻기 위해 또는 정리된 오리지널 음화의 영화제작 이용의 안전성 및 보존을 위해 복제를 준비한다.
  • e - 마스터(Master)
    보통 양화로 되어있으며 양화 마스터라고 불리기도 한다. 영사기용이라기보다는 초기 단계에서 만들어진 음화 필름으로부터 특별히 인화된 양화필름이며 음화 복제품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된다. 마스터는 보통 두 번째 단계에서 생성된 제품을 말한다.
  • o - 원판(Original)
    원판은 보통 음화로 되어있다. 카메라에서 나온 첫 필름이므로 그 후속으로 생산된 필름보다 질적으로 더 좋다. 더 오래된 필름을 일컬을 때 원판은 대체로 음화 상태이다. 그러나 원판 필름도 양화로 반전될 수 있다.
  • r - 표본인화(Reference print/viewing copy)
    필름의 제작자와 감독의 승인을 얻어 개봉영화로서 만들어진 표본인화로 된 자료임을 나타낸다. 표본인화는 다량의 인화 필름을 복사할 때 양질의 후속 인화를 복사하는 데 사용되는 기준치로 사용될 수 있다. 필름보존소에서는 연구자에 의해 검증된 필름을 가리키기도 한다. 이 필름은 원판 또는 마스터, 복제자료는 아니다.
  • u - 미상
    필름의 제작단계를 알 수 없을 경우에 적용한다.
  • z - 기타
    필름의 제작단계에 적합한 부호가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12 필름의 기본재료

필름의 기본재료를 1자리 부호로 나타낸다. 안전체 필름은 비교적 불연성의 필름 기본재료인데 이것은 안전체에 대한 ISO 요구사항을 충족시킨다. 일부 필름에서는 ‘안전체(safety base)’라는 문구가 영화자료의 끝부분에 표시되어 있다. 질산염체 필름은 ISO의 안전체 요구사항에 맞지 않은 인화성이 높은 재료이다. 채움문자(|)는 이 자리에 부호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적용한다.

  • a - 미확인 안전체(Safety base, undetermined)
    확인이 안 되는 유형을 가진 안전체를 나타낸다.
  • c - 아세테이트 미확인 안전체(Safety base, acetate undetermined)
    정확한 유형을 알 수 없는 아세테이트 안전체를 나타낸다. 즉, 디아세테이트 혹은 트리아세테이트 유형인지 알 수 없을 경우 적용한다.
  • d - 디아세테이트 안전체(Safety base, diacetate)
    섬유질의 디아세테이트 안전체를 나타낸다. 제1차 세계대전 이전에 소개된 가정용 영화에 사용된 디아세테이트 안전체는 질산염체보다 비싸고 범용적이지 않았기 때문에 전문적인 35 mm 필름의 프로덕션에서는 수급하는데 어려웠다. 디아세테이트 안전체는 때로 문헌의 마이크로필름화에 사용되었다.
  • i - 질산염체(Nitrate base)
    섬유질의 질산염체를 나타낸다. 1951년까지 섬유질 질산염체가 35 mm 필름 또는 17.5 mm 필름의 제작에 사용되었다. 질산염체 필름은 더 이상 제작되지 않는다. 질산염체 필름은 때로 문헌의 마이크로필름화에 사용되었다.
  • m - 질산안전 혼합체{Mixed base (nitrate and safety)}
    질산염체와 안전체 필름이 혼합되었을 때 사용한다. 혼합체의 사용은 1950년대 초기에 제작된 필름에서 주로 발견된다. 당시에는 질산염체 기성화면들(stock shots)이 저예산 영화를 위한 안전체필름과 혼합되어 있었다. 그러한 개봉 영화에서는 필름의 50%까지는 질산염체 필름으로 된 기성화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n - 적용불가
    종이 필름의 경우처럼 필름의 기본재료가 없을 때 사용한다.
  • p - 폴리에스테르 안전체(Safety base, polyester)
    에스테르와 같은 합성수지를 나타낸다.
  • r - 혼합 안전체(Safety base, mixed)
    질산염체를 제외한 다양한 혼합 안전체를 나타낸다.
  • t - 트리아세테이트 안전체(Safety base, triacetate)
    섬유질 트리아세테이트를 나타낸다. 섬유질 트리아세테이트는 낮은 인화성과 늦게 불에 타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고급의 아세탈용제이다. 1951년도부터 아마추어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영상필름제작에도 트리아세테이트가 사용되어 왔다.
  • u - 미상
    필름의 기본재료를 알 수 없을 때 사용한다.
  • z - 기타
    위에 기술한 것에 해당되는 사항이 없는 재료를 나타낸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13 색채의 범주

색채의 범주는 1자리 부호로 나타낸다. 움직이는 이미지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색채 특징은 007/03(색채)에 포함된다. 자료의 색채 부분이 두 가지 이상의 색채로 변화된다면, 주된 색채에 부호를 부여하고 추가되는 색채 변화는 500(일반주기) 필드에 기술한다. 채움문자(|)는 이 자리에 부호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적용한다.

  • a - 3층 색채(3 layer color)
    청록색, 자홍색, 노랑색의 3층의 감광유제로 된 필름이다. 각 층은 자체의 우선하는 색깔에 감광한다. 1950년대 초에는 색채 필름 작업을 주로 3층으로 처리하였는데, 이는 다층(multilayer) 필름이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이 처리과정은 통합트리팩(integral tri-pack)이라고도 한다.
  • b - 2층 색채 단편색(2 color, single strip)
    단일 스트립 필름이 분광 프리즘을 통해 여러 쌍의 화상을 노출시켜 색채를 만들어내는 방식이다. 여러 쌍의 화상 중 하나를 붉은색 필터를 통해 노출시키고 초록색 필터를 통해 노출시켜 화상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주로 1922년에서 1933년 사이에 사용되었던 기법이며 1936년까지 만화영화에 사용되기도 하였다.
  • c - 색상불명의 2색(Undetermined 2 color)
    특별히 구별할 수 없는 복제품의 색상 기법을 말한다. 이는 가시 스펙트럼에 의해 녹화와 화상재현을 목적으로 푸른색과 붉은색으로 분리하거나 초록색과 붉은색으로 분리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3색 처리기법이 등장하면서 이 기법은 사라졌다.
  • d - 색상불명의 3색(Undetermined 3 color)
    특별히 구별할 수 없는 복제품의 색상 기법을 말한다. 이는 가시 스펙트럼에 의해 필름의 녹화와 화상 재현을 목적으로 3가지 영역으로 색상이 분리되는데 보통 붉은색, 초록색, 푸른색으로 분리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 e - 3색 스트립(3 strip color)
    흑백 필름상에서 생성되는 3색이 분리되는 음화의 색조 형식을 말한다. 3색 스트립 컬러는 종종 테크니컬러사(Technicolor)의 상표와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 3색 테크니컬러 방식에서는 빛을 프리즘을 이용하여 특수카메라의 싱글 렌즈를 통해 해당 필름을 투영하는 것이다. 빛의 일부를 프리즘에 통과시키고 초록색 필터를 거쳐 초록색으로 기록되도록 하였다. 잔광이 프리즘을 통해 붉은색과 푸른색을 생성하여 음화로 흡수된다. 각각의 음화는 흑백의 음화와 비슷한 새로운 음화를 만들어낸다.
  • f - 2색 스트립(2 strip color)
    필름상에서 붉은색과 푸른색이 필름의 전면 베이스를 통해 노출되고 동시에 카메라를 통해 보이도록 하는 2색을 사용하는 색채 방식이다. 2색의 음화 필름은 필름베이스의 양면을 한쪽은 붉은색으로 다른 한쪽은 푸른색 또는 다른 색으로 감광유제 처리하여 영화필름으로 복제하기 위한 인화필름에 사용된다. 초기 필름의 색채 처리에 사용되었고 3색 처리가 가능한 기법이 등장하면서 사라졌다. 이 필름은 1929년부터 1950년 사이 Cinecolor, Magnacolor, Multicolor 등 회사의 제품에 사용되었다.
  • g - 적색 스트립(Red strip)
    붉은색으로 인화되는 청록색을 띤 색분해필름을 말한다. 시네컬러사에 의해 ‘레드(red)’라고 불렸던 자홍색(마젠타색)으로 인화되는 초록빛을 띤 색분해필름을 말한다. 테크니컬러 공정에서는 초록색 분리기를 통해 붉은색으로 인화되어 초록빛을 띤 색분해필름임을 말한다.
  • h - 청색 또는 녹색 스트립(Blue or green strip)
    시네컬러 처리와 수퍼 시네컬러 처리에서 청록색으로 인화되는 붉은 빛을 띤 색분해필름을 말한다. 2색 테크니컬러 처리에서 초록색으로 인화되는 자홍색(마젠타색)을 띤 색분해 필름을 말한다.
  • i - 시안 스트립(Cyan strip)
    청록색으로 인화되는 붉은 빛을 띤 색분해필름을 말한다.
  • j - 마젠타 스트립(Magenta strip)
    자홍색(마젠타)으로 인화되는 초록빛을 띤 색분해필름을 말한다.
  • k - 황색 스트립 (Yellow strip)
    노랑색으로 인화되는 푸른빛을 띤 색분해필름을 말한다.
  • l - SEN 2
    연속 노광 음화필름 2(SEN 2)를 말한다. SEN 2는 붉은색과 푸른색 필터를 통해 2색 분해 음화 화상이 연속적으로 각 프레임을 두 번 촬영함으로써 필름 스트립 상에 기록되는 다채색 영화필름 제작 기법이다. 최종 음화필름은 스킵-프레임기법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인화된다. 이러한 기법은 프레임에서 프레임으로의 움직임을 조정할 수 있는 만화나 애니메이션의 촬영에 한정하여 사용되었다. 연속노광처리 기법은 3층(다층) 색채음화필름의 도입으로 사라졌다.
  • m - SEN 3
    연속 노광 음화필름 3(SEN 3)을 말한다. SEN 3은 붉은색과 푸른색, 초록색 필터를 통해 3색 분해 음화 화상이 연속적으로 각 프레임을 3번 촬영함으로써 필름 스트립 상에 기록되는 다채색 영화필름 제작 기법이다. 최종 음화필름은 스킵-프레임기법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인화된다. 이러한 기법은 프레임에서 프레임으로의 움직임을 조정할 수 있는 만화나 애니메이션의 촬영에 한정하여 사용되었다. 연속노광처리 기법은 3층(다층) 색채음화필름의 도입으로 사라졌다.
  • n - 적용불가
    해당 필름에 색상이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 p - 세피아톤(Sepia tone)
    금속성의 화합물질에 의해 은백색이 있는 흑백 화상을 갈색톤이나 황갈색 톤으로 색상을 표현한 필름을 말한다. 세피아색은 가장 일반적인 색조로 사용되며 극적 또는 그림과 같은 효과를 내기 위해 필름의 흑백 인화 시 특별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
  • q - 기타 색상(Other tone)
    색상을 화학적으로 변조하여 만들어진 색상을 말한다. 예를 들면 우라늄에서 나온 붉은 색, 인화된 필름의 광택 증가 등이 있다. 색조는 필름에 남아있는 선명한 부분이 변하지 않고 남아있는 틴팅(tinting)과는 다르다. 다만, 양화필름의 은상(silver image)은 다채색이 되었다.
  • r - 틴트(Tint)
    필름이 틴트된 것임을 말한다. 틴트는 우성인 색상을 얻기 위해, 현상된 흑백 포지티브 인화 필름을 화학 염색용액에 필름을 잠깐 담갔다가 꺼내어 색깔을 입히는 것을 말한다. 틴팅은 밤 장면에 자주 쓰였는데, 달빛이 비치는 외부 장면에는 블루 틴팅이 주로 쓰였고, 불빛 효과가 있는 실내 장면에서는 오렌지나 앰버 계열의 레드 틴팅이 주로 쓰였다. 필름의 틴트는 전체 또는 일부분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음향이 영화에 수록될 때까지 일반화되었다.
  • s - Tinted and toned
    틴트된 필름베이스와 색상을 위한 감광유제를 사용하여 필름에 색을 추가시킨 것이다.
  • t - 스텐실 컬러(Stencil color)
    각 색깔에 대해 한 컷씩 스텐실을 이용하여 색깔을 추가한 색을 말한다. 스텐실 컬러는 초기에 사용되었던 수작업에 의한 채색기법을 대체한 것이다.
  • u - 미상
    색상의 범주를 알 수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 v - 수작업에 의한 색(Hand colored)
    사진공정에 의해 만들어진 화상을 수작업으로 색채를 입힌 것임을 말한다. 이 부호는 007/03(색채)에 부호 h가 있을 경우에 적용한다.
  • z - 기타
    우위를 차지하는 색상처리가 아닌 경우처럼 색상의 특성 범주에 적합한 부호가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14 다채색 인화유형

다채색 인화유형은 1자리 부호로 나타낸다. 채움문자(|)는 이 자리에 부호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적용한다.

  • a - 염료흡인전사 인화필름(Imbibition dye transfer prints)
    흑색 단일 스트립 필름에 둘 이상의 색상이 다른 염료를 전염(傳染)하여 만들어진 색채 인화필름을 말한다. 전염과정은 인화 필름을 만들 경우에만 사용된다. 전염 인화 필름은 다층 스트립이나 다층 필름으로 촬영한 원판 필름에서 만들어 질 수 있다. 이런 과정은 1928년에서 1975까지 테크니컬러사에 의해서만 사용되었다. 특허가 중국에 팔리면서 1980년경부터 이 과정은 중국에서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 b - 3 layer stock
    청록색(cyan), 자홍색(magenta), 노랑색(yellow)의 3층으로 된 감광유제로 된 영화필름을 말한다. 각 층은 우성인 색에 반응한다. 1950년 이후 대부분의 다채색 영화는 이 필름을 사용하여 촬영되고 인화되어 왔다. 이는 멀티레이어 영화필름이라고도 한다.
  • c - 3 layer stock, low fade
    청록색(cyan), 자홍색(magenta), 노랑색(yellow)의 3층으로 된 감광유제로 된 영화필름을 말한다. 각 층은 우성인 색에 반응하며 가능한 한 색이 어두워지는 것을 줄여 안정화되는 필름이다. 이는 1983년부터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 d - Duplitized stock
    필름의 양면에 색채가 인화된 필름을 말한다. 보통 한 면이 붉은색으로 전염되고 다른 한 면은 염색되거나 푸른 색상을 띤다.
  • n - 적용불가
    필름이 채색되지 않은 경우에 적용한다.
  • u - 미상
    인화된 필름의 채색 유형을 알 수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 z - 기타
    인화된 필름의 채색 유형에 적합한 부호가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15 변질상태

영화필름의 변질상태를 나타내며 그 상태에 따라 아래의 부호를 적용한다. 변질상태가 한 가지 이상일 경우 가장 심각한 상태의 부호를 적용한다. 채움문자(|)는 이 자리에 부호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적용한다.

  • a - 변질상태 불분명
    질산염(Nitrate)이나 비질산염(Non-nitrate) 영화필름 상에 변질 상태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 적용한다.
  • b - 질산염: 의심스러운 냄새(Nitrate: suspicious odor)
  • c - 질산염: 자극적인 냄새(Nitrate: pungent odor)
  • d - 질산염: 갈색, 변색, 색바램, 탈색(Nitrate: brownish, discoloration, fading, dusty)
  • e - 질산염: 끈적거림(Nitrate: sticky)
  • f - 질산염: 거품, 기포(Nitrate: frothy, bubbles, blisters)
  • g - 질산염: 응고(Nitrate: congealed)
  • h - 질산염: 가루화(Nitrate: powder)
  • k - 비질산염: 인지할 수 있는 정도의 손상(디아세테이트 냄새)(Non-nitrate: detectable deterioration)
  • l - 비질산염: 과도한 손상(Non-nitrate: advanced deterioration)
  • m - 비질산염: 완전 손실(Non-nitrate: disaster)
  • | - 부호화하지 않음
/16 필름의 완전성

기술 대상 필름이 보존용으로서 완전한지의 여부를 1자리 부호로 나타낸다. 채움문자(|)는 이 자리에 부호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적용한다.

  • c - 완전
    기술대상자료가 완전하다고 판정된 경우이다.
  • i - 불완전
    기술대상자료가 완전하지 못하다고 판정된 경우이다.
  • n - 적용불가
    완전성을 영화의 유형에 적용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 예로 가정영화, 무삭제 영화필름(footage), 촬영 후 필름편집과정에서 삭제되어 최종 편집판에서는 볼 수 없는 필름(outtake), 기타 구별할 수 없는 필름 등에 적용한다.
  • u - 미상
    해당자료의 완전성을 알 수 없음을 나타낸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17 - 22 필름검사일자

필름의 목록작성일 및 자료 검토일 등 가장 최근의 필름검사일자를 yyyymm(연도-4자리, 월-2자리)으로 나타내며, 전체 또는 부분을 알 수 없는 경우에는 그 자리만큼 붙임표(-)로 채운다. 여섯 개의 채움문자(||||||)는 이 자리에 부호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적용한다.

007/17-22 200308
[2003년 8월]

007/17-22 2003--
[2003년 월은 알 수 없음]

007/17-22 ------
[연도와 월을 알 수 없음]

■ 예 시
  • 007 mr|caaadmnartauac200308
    [해당 자료가 영화필름(007/00), 릴(/01), 색채(/03), 표준음향 애퍼처(/04), 매체에 음향이 수록되어 있음(/05), 광학 녹음대(/06), 16 mm.(/07), 단음(/08), 제작요소 적용불가(/09), 양화 감광유제(/10), 표본인화(/11), 트리아세테이트 안전체(/12), (3 layer color) (/13), 다채색 인화유형 미상 (/14), 변질상태 없음(/15), 완결된 필름(/16), 필름검사 2003년 8월(/17-22)임을 나타낸다.]

입력 규칙

필드 길이
영화 자료 유형에서 007 필드는 23자리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