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8 - 음악/녹음자료(MU)
  • 반복불가
  • 필수

지시기호 및 식별기호

이 필드에서는 지시기호와 식별기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데이터 요소는 위치에 따라 정의된다.

18 - 19 작곡형식(006/01-02)
  • an 축가, 국가
  • bd 발라드곡
  • bg 블루그래스 음악
  • bl 블루스
  • bt 발레곡
  • ca 샤콘느
  • cb 기타 종교 성가
  • cc 기독교 성가
  • cg 합주협주곡
  • ch 합창곡
  • cl 합창전주곡
  • cn 캐논 및 윤창
  • co 협주곡
  • cp 다성의 샹송
  • cr 캐럴
  • cs 우연성작곡
  • ct 칸타타
  • cy 컨트리음악
  • cz 칸초나

  • df 무용음악
  • dv 희유곡, 세레나데
  • fg 둔주곡
  • fl 플라멩코
  • fm 해외민속음악
  • ft 환상곡
  • gm 복음성가
  • hy 찬가
  • jz 재즈
  • 국악

  • ka 제례악
  • kb 연례악
  • kc 거동음악
  • kd 가사
  • ke 시조
  • kf 판소리
  • kg 단가
  • kh 병창
  • ki 통속민요
  • kj 잡가
  • kk 토속민요
  • kl 산조
  • km 시나위
  • kn 봉장취
  • ko 농악
  • kp 향제 대풍류
  • kq 삼현육각
  • kr 불교음악
  • ks 무속음악
  • kt 연희
  • ku 한국가곡
  • kv 한국대중음악

  • mc 음악풍자희극
  • md 연가
  • mi 미뉴에트
  • mo 경문가
  • mp 영화음악
  • mr 행진곡
  • ms 미사곡
  • mu 복합형식
  • mz 마주르카

  • nc 야상곡
  • nn 적용불가
  • op 오페라
  • or 오라토리오
  • ov 서곡 및 전주곡

  • pg 표제음악
  • pm 예수 수난곡
  • po 폴로네이즈
  • pp 해외대중음악
  • pr 전주곡
  • ps 파사칼리아
  • pt 합창곡
  • pv 파반느
  • rc 록음악
  • rd 론도
  • rg 랙타임음악
  • ri 리체르카레(기교적 작곡)
  • rp 랩소디
  • rq 진혼곡

  • sd 스퀘어댄스곡
  • sg 가곡
  • sn 소나타
  • sp 교향시
  • st 연습곡
  • su 조곡
  • sy 교향곡
  • tc 토카타
  • tl 극장 오페라
  • ts 트리오 소나타

  • uu 미상
  • vi 비얀시코
  • vr 변주곡
  • wz 왈츠
  • za 사르수엘라
  • zz 기타
  • || 부호화하지 않음
20 악보형식(006/03)
  • a 총보
  • b 미니어처 악보/학습용 악보
  • c 건반악기 반주보
  • d 반주가 생략된 성악보
  • e 콘덴스 악보/지휘용 피아노 악보
  • g 클로즈 악보
  • h 국악보
  • i 콘덴스 악보
  • j 연주자-지휘자용 파트보
  • k 성악보
  • l 악보
  • m 복수총보
  • n 적용불가
  • p 피아노 악보
  • u 미상
  • z 기타
  • 9 합창보
  • | 부호화하지 않음
21 악보 파트보(006/04)
  • b/ 파트보가 없거나 세분하지 않는 경우
  • d 기악/성악 파트보
  • e 기악 파트보
  • f 성악 파트보
  • n 적용불가
  • u 미상
  • | 부호화 하지 않음
22 이용대상자 수준(006/05)
  • b/ 일반이용자용
  • a 취학전 아동
  • b 초등학생
  • c 중학생
  • d 고등학생
  • e 성인용
  • f 특수계층
  • j 아동용
  • z 미상 또는 세분하지 않는 경우
  • | 부호화하지 않음
23 개별자료 형태(006/06)
  • b/ 기타
  • a 마이크로필름
  • b 마이크로피시
  • c 마이크로오패크
  • d 큰활자인쇄자료
  • f 점자자료
  • o 온라인
  • q 직접 접근 전자자료
  • r 복제자료
  • s 전자자료
  • | 부호화하지 않음
24-25 딸림자료(006/07-08)
  • b/ 딸림자료 없음
  • a 음반목록
  • b 서지
  • c 주제색인
  • d 가사, 대본
  • e 작곡가나 저작자의 소개
  • f 연주자의 소개
  • g 악기에 관한 기술자료/사료
  • h 음악작품의 기술자료
  • i 음악작품의 사료
  • k 민족음악 자료
  • r 교재
  • s 악보
  • z 기타
  • || 부호화하지 않음
29 미정의(006/09)
30-31 녹음자료의 내용(006/10-11)
  • b/ 음악녹음자료
  • a 자서전
  • b 전기
  • c 회의록
  • d 희곡, 연극
  • e 수필
  • f 소설
  • g 보고서
  • h 역사
  • i 사용법
  • j 언어교육
  • k 희극
  • l 강연, 연설
  • m 회고록
  • n 적용불가
  • o 설화
  • p
  • r 리허설
  • s 소리
  • t 면담
  • z 기타
  • || 부호화하지 않음
33 조 옮김 및 편곡(006/12)
  • b/ 조옮김/편곡이 아니거나 세분화하지 않는 경우
  • a 조 옮김
  • b 편곡
  • c 조 옮김과 편곡 둘 다 인 경우
  • n 적용하지 않음
  • u 미상
  • | 부호화하지 않음
34 미정의(006/13)

정의와 범위

리더/06(레코드 유형)에 부호 c(필사악보 이외의 악보)나 d(필사악보), i(녹음자료(음악이외)), j(녹음자료(음악))가 부여된 경우에 해당한다. 008/18-25, 29-31, 33-34 자릿수에는 ‘008-음악/녹음자료’에서 정의한 해당 부호를 적용한다. 008/00-17, 26-28, 32, 35-39 자릿수에는 ‘008-공통’에서 정의한 부호를 적용한다.

006/00 (자료형태) 필드에 부호 c(필사악보 이외의 악보)나 d(필사악보), i(녹음자료(음악이외)), j(녹음자료(음악))가 부여된 경우, 008/18-25, 29-31, 33-34 자리는 006/01-13의 데이터 요소와 자리 위치가 상응한다. 음악/녹음자료의 006 필드와 008 필드에서 상응하는 자리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008-음악/녹음자료 부문의 ‘적용지침’에서 설명한다.

적용지침

■ 자수위치
/18 - 19 작곡형식(006/01-02)

필사악보 이외의 악보, 필사악보, 음악적인 녹음자료의 작곡형식을 2자리로 나타낸다. 작곡형식부호는 작품자체의 용어에 기초하여 음악작품의 내용을 부호화된 접근점으로 제공한다. 작곡형식의 부호에는 음악 장르에 대한 부호를 포함하고 있다. 이 부호는 미국의회도서관 주제명표목에 기초한 것이다. 부호는 해당 자료에 전체적으로 적용될 경우에 부여된다. 예를 들어 해당 자료가 심포니이고 한 악장이 소나타 형식으로 된 경우, 심포니에 대한 부호만 부여한다. 두 가지 이상의 부호를 부여해야 되는 경우에는 008/18-19에 부호 mu(복합형식)를 부여하고, 명시된 모든 부호를 047(작곡형식부호) 필드에 기술한다. 또한, 부호 008/18-19(작곡형식)에 열거된 MARC 작곡형식부호가 아닌 다른 정보원의 부호를 047(작곡형식부호) 필드에 기술할 때도 부호 mu(복합형식)를 사용할 수 있다. 특정 정보에 대한 부호는 다음에 열거한 부호 중에서 부여한다. 다른 부호는 음악 참고자료에 기술되어 있다. 음악이 아닌 녹음자료에 대해서는 작곡의 형식을 지니지 않으므로 부호 nn(적용불가)을 부여한다. 이 자리를 사용하지 않기로 한 경우에는 2자리의 채움문자(||)로 표시한다.

  • an - 축가, 국가(Anthems)
  • bd - 발라드곡(Ballads)
    • 서사곡
  • bg - 블루그래스 음악(Bluegrass music)
    • 미국 남부의 백인 민속 음악에서 생긴 컨트리 음악
  • bl - 블루스(Blues)
    • 재즈음악의 블루스곡으로 음악적 특질과 형식은 20세기에 들어와 재즈의 음악적 바탕이 되고, 재즈 표현상 중요한 정신적 요소가 됨과 동시에 널리 미국 대중음악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침
  • bt - 발레곡(Ballets)
  • ca - 샤콘느(Chaconnes)
    • 기본 저음이 일정하게 반복되는 3박자의 변주곡이며 느리고 장중한 바로크 시대의 춤곡으로서, 베이스에서의 반복되는 주제를 갖는다. 파사칼리아와 매우 흡사한데, 후자는 단조로 치우치는 경향이 있다.
  • cb - 기타 종교 성가(Chant, Other religions)
    • 기독교 이외의 기타 종교의 성가
  • cc - 기독교 성가(Chant, Christian)
    • 갈리아성가, 그레고리안성가 등 기독교 성가
  • cg - 합주협주곡(Concerti grossi)
    • 콘체르토 그로소(Concerto Grosso)라고도 하며 대협주곡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 ch - 합창곡(Chorales)
  • cl - 합창전주곡(Chorale preludes)
  • cn - 캐논 및 윤창(Canons and rounds)
    • 전칙곡(典則曲)은 캐논이라고 부르는 두 개 이상의 성부로 구성된 대위법적인 성악곡 및 기악곡. 시간의 차이를 두고 시작하는 여러 성부들은 서로를 모방하면서 같은 선율을 연주한다. 윤창(輪唱, rounds)은 단순한 형태의 캐논이다.
  • co - 협주곡(Concertos)
    • 2개의 음향체(音響體) 간의 대립․경합을 특징으로 한 악곡
  • cp - 다성(多聲)의 샹송(Chansons polyphonic)
    • 르네상스의 영향으로 다성적인(polyphonic) 교회음악 양식과 민중음악가들에 의한 세속적인 양식이 음악에 영향을 주어 중세 음악에서 벗어나 프랑스의 샹송 이태리의 연가(madrigal) 등의 세속음악에 발달하기 시작한 다성의 가곡을 말한다.
  • cr - 캐럴(Carols)
    • 크리스마스·부활제 등을 축하하는 민요풍의 가곡
  • cs - 우연성작곡(Chance compositions)
    • 불확정성 및 우연성에 의한 작곡. 예를 들어 전위적인 작곡가들이 음악적인 법칙과 상식에서 벗어난 우연성 작곡을 시도한 경우 등이 있다.
  • ct - 칸타타(Cantatas)
    • 17세기 초엽에서 18세기 중엽까지의 바로크시대에 가장 성행했던 성악곡의 형식
  • cy - 컨트리음악(Country music)
  • cz - 칸초나(Canzonas)
    • 성악곡을 기악곡으로 바꾼 형태의 악곡에 대하여 적용한다.
  • df - 무용음악(Dance forms)
    • 마주르카, 미뉴에트, 파반느, 폴로네이즈, 왈츠를 제외한 개별 춤곡에 대하여 적용한다.
  • dv - 희유곡, 세레나데(Divertimentos, serenades, cassations, divertissements, and notturni)
    • 희유곡(戱遊曲, divertimento), 세레나데(serenade), 연극오페라에서 줄거리와 관계없는 막간의 여흥을 위한 짤막한 발레무곡(divertissement), 18세기의 세레나데의 일종인 노투르노(notturno)로 명명된 음악에 적용한다.
  • fg - 둔주곡(Fugues)
    • 푸가라고도 한다. 원래는 ‘도주(逃走)’의 뜻으로 음악용어로는 둔주곡(遁走曲)․추복곡(追覆曲) 등으로 번역된다. 그 전에는 캐논을 뜻했으나 17세기 이후부터는 모방대위법에 의한 보다 완성된 음악형식을 말한다.
  • fl - 플라멩코(Flamenco)
    • 모든 플라멩코 스타일(또는 ‘palos’)과 스페인 집시들의 민간에서 전승되어온 다른 형태의 음악과 춤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 fm - 해외민속음악(Folk music)
    • 포크송을 포함한 해외의 민속음악에 적용한다.
  • ft - 환상곡(Fantasias)
    • 판타지아, 판타지, 판타지에 등으로 불리는 음악에 적용한다.
  • gm - 복음(福音) 성가(Gospel music)
    • ‘가스펠’은 ‘복음’을 뜻하며 좁은 뜻으로는 20세기 초 미국 흑인 사이에서 불려진 종교가요를 가리킨다. 흑인영가와 재즈가 혼합된 강렬한 리듬이 특징적이다. 흑인영가와 다르며 그리스도의 수난과 신약성서의 복음에 관계된 내용을 지니고 있다.
  • hy - 찬가(Hymns)
    • 한국 그리스도교의 개신교교회에서 예배에 사용하는 성가를 일반적으로 일컫는 말
  • jz - 재즈(Jazz)
    • 미국 흑인의 민속음악과 백인의 유럽음악의 결합으로 미국에서 생겨난 음악
  • ka - 제례악(祭禮樂)
    • 천신(天神)․인신(人神)․지신(地神)의 제향(祭享)에 쓰이는 음악이다.
      조선 후기까지 원구제(圓丘祭)․사직제(社稷祭)․종묘제(宗廟祭)․문묘제(文廟祭)․선농(先農)․선잠(先蠶) 등의 제향이 있어 거기에 따른 음악이 연주되었으나 지금 전해지는 것은 문묘제례악(文廟祭禮樂)과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두 가지 뿐이다.
  • kb - 연례악(宴禮樂)
    • 조선 전기에 정비 제정되어 궁중의 조회 및 연회 때 연주되던 음악으로 ’여민락(與民樂)’, ’영산회상(靈山會上)’, ’만년장탄지곡(萬年長嘆之曲)’ 등 193곡과 ’처용무(處容舞)’,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포구악(抛毬樂)’ 등 54종이 전한다.
  • kc - 거동음악(擧動音樂)
    • 우리나라의 행진곡으로 취타대라는 악대가 연주하는 음악이다. 북과 같이 치는 악기와 피리와 같이 부는 악기를 합하여 연주하는 음악이다. 궁중의 예식, 임금의 거동, 제향, 통신사의 행렬과 같은 때에 연주하던 군악 계통의 음악이다.
  • kd - 가사(歌詞)
    • 1971년 1월 8일 중요무형문화재 제41호로 지정되었다. 가사체(歌辭體)의 긴 사설을 일정한 장단의 틀에 담은 노래로 가곡(歌曲)과 더불어 정가(正歌:雅正한 노래)에 속한다.
  • ke - 시조(時調)
    • 한국 고유의 정형시
  • kf - 판소리
    • 판소리는 조선 후기에 서민들이 창극을 붙여 부르던 노래로 한사람이 한마당을 노래하고, 말하고, 몸짓을 하는데, 여기에 고수(鼓手)의 장단과 추임새도 중요하다. 소리의 특징과 지역에 따라 동편제와 서편제, 그리고 중고제로 나뉜다.
  • kg - 단가(短歌)
    • 판소리 같은 매우 긴 사설에 비하여 짧은 사설을 가졌다는 뜻으로 단가라는 이름이 붙었다. 단가의 종류는 매우 많아서 약 50종에 이르나, 흔히 부르는 것은 ‘만고강산’, ’진국명산(鎭國名山)’, ’고고천변(皐皐天邊)’, ’죽장망혜(竹杖芒鞋)’, ’운담풍경(雲淡風輕)’, ’강상풍월(江上風月)’, ’불수빈(不須鬢)’, ’홍문연가(鴻門宴歌)’, ’백수한(白首恨)’, ’편시춘(片時春)’, ’장부한(丈夫恨)’, ’호남가(湖南歌)’, 등이다.
  • kh - 병창(竝唱)
    • 노래와 반주를 한 사람이 겸하여 하는 것을 말한다.
  • ki - 통속민요(通俗民謠)
    • 통속민요는 이미 넓은 지역에 퍼져서 음악적으로 많이 세련되어 있는 민요를 말한다. 음악적인 짜임새나 사설의 구성이 잘 되어서 주로 전문 소리꾼들이 부르기를 좋아 하였고 이에 따라 더욱 널리 전파되었다. 통속민요란 다른 말로 ‘유행민요’ ‘창민요’라고 하는데, 전문적인 소리꾼에 의해 잔치나 술자리, 사랑방 놀음, 혹은 들이나 산에서 불렸던 노래를 말한다. 토속민요에 비해 기교를 많이 부려서 매우 세련되게 부르고 또 여러 지방에 널리 알려져 있다. 통속민요는 흔히 직업적인 소리꾼에 의해 불리는 세련되고 널리 전파된 민요이다. 육자배기, 수심가, 창부타령, 강원도아리랑 등이 그 예이다.
  • kj - 잡가(雜歌)
    • 전통사회에서 전승되어 조선 말기에서 20세기 초에 특히 성행하였던 노래의 하나로서 전문예능인들의 노래, 곧 기생․사당패․소리꾼과 같은 전문가들이 긴 사설을 기교적 음악어법으로 부르는 노래를 잡가라고 하며 이보다 단순한 비전문가들의 노래인 민요와 구별되는 개념으로 쓰인다. 불렸던 지역에 따라 경기잡가, 서도잡가, 남도잡가로 나누며, 서서 부르는 입창(立唱:선소리)도 잡가에 포함된다.
  • kk - 토속민요(土俗民謠)
    • 지방에 따라 불리는 향토적인 민요로 어느 국한된 지방에서만 불리는 소박한 민요이다. 사설이나 가락이 극히 단순하고 즉흥적이며 향토적인 민요로서 지역에 따라 차이가 심한 것이 특징이다. 대개 노동요․부녀요․동요 등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모내기소리’, ‘김매기소리’, ‘해녀노래’, ‘상여소리’, 등이 대표적이다.
  • kl - 산조(散調)
    • 한국의 전통음악에서 가야․거문고․대․해․피리 등을 장구의 반주로 연주하는 기악 독주악곡
  • km - 시나위
    • 남도의 무악(巫樂). 신방곡(神房曲)․심방곡(心方曲)이라고도 한다. 한강 이남과 태백산맥 서쪽지방의 무속음악에서 유래한 기악곡으로서 특히 호남지방에서 많이 부른다. 최근에는 일반인에 의한 시나위 연주는 거의 없고, 다만 살풀이춤의 반주나 순음악의 합주로 연주되고 있으며, 장단조직은 산조(散調)와 같다.
  • kn - 봉장취(鳳將吹)
    • 산조가 지금 같은 완성된 형태의 음악으로 정형화되기 이전에 산조의 형성에 많은 영향을 준 음악으로 전라, 충청, 경기 등 남부 지방에서 전승되어 오던 민속 기악곡의 하나.「봉장추」,「봉작취」,「봉황곡」등으로도 부른다. 음악의 중간에 새소리를 흉내 내어 제목을 봉장취라 했다. 산조가 생기기 이전에 성행하여 산조가 생긴 뒤 차츰 자취를 감추었다. 즉흥적인 연주가 특징이다.
  • ko - 농악(農樂)
    • 농촌에서 집단노동이나 명절 때 등에 흥을 돋우기 위해서 연주되는 음악
  • kp - 향제 대풍류(鄕制-大風流)
    • <향제(鄕制)줄풍류>
      현악기가 중심이 되는 풍류라는 뜻으로 특히 거문고가 중심이 되는 풍류. 좁은 뜻으로는 ‘거문고회상’을 가리키기도 한다. ’보허사(步虛詞)’와 같이 거문고․가야금 등 순 현악기로만 편성될 때도 있으나 대개는 거문고가 중심이 되고 가야금․양금 등의 현악기와 음량(音量)이 작은 세피리․대금․해금․장구 등을 곁들이는 것이 보통이다.

    • <대풍류(大風流)>
      국악의 연주형태 중 향피리가 중심이 된 연주형태 및 그 음악으로 줄풍류(絲風流)와 대비되는 말이다. 대나무로 만든 향피리와 대금과 같은 관악기가 중심이 된 음악이란 뜻으로, 넓은 뜻으로는 관악기가 중심이 되는 음악을 가리키며 좁은 뜻으로는 ‘관악영산회상(管樂靈山會相)’을 가리킨다. 대풍류의 악기편성은 삼현육각(三絃六角) 편성과 같은 향피리 2, 대금 1, 해금 1, 장구 1, 북 1이다.
  • kq - 삼현육각(三絃六角)
    • 국악에서 전형적인 악기편성법. 피리 2, 대금 1, 해금 1, 장구 1, 북 1의 6개 악기로 이루어진 편성이다. 대개 관악영산회상(管樂靈山會相)․염불․타령․굿거리 같은 무용음악에 쓰이며, 길군악․길타령․길염불과 같은 행악(行樂), 양주별산대놀이․봉산탈춤․은율탈춤과 같은 가면극에도 쓰인다.
  • kr - 불교음악(佛敎音樂)
    • 불교에 관계되는 각종 음악. 또는 불교도들에 의하여 발생된 음악, 성명(聲明), 강식(講式), 화찬(和讚), 어영가(御詠歌), 무악관현악(舞樂管絃樂) 등이 이에 속한다.
  • ks - 무속음악(巫俗音樂)
    • 일반적으로 ‘굿’이라고 하는 무속의식(巫俗儀式)에 쓰이는 음악. 한국의 무악은 넓은 의미로는 무당의 굿음악, 판수의 독경소리, 걸립패와 초라니패의 고사소리 등이 포함된다.
  • kt - 연희
  • ku - 한국가곡
  • kv - 한국대중음악
    • 한국대중음악은 한국의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popular music)으로 클래식이나 예술음악 등 순수음악과 민속음악 이외의 일반음악 전반을 가리킨다. 대중음악은 대중가요(popular song)를 포괄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대중가요는 유행가라고도 하며, 대중매체와 상업적 공연으로 전달되는 노래로 동요, 가곡, 국악을 제외한 서민 대중들의 노래를 지칭한다. 한국대중음악에는 트로트를 비롯하여 한국의 힙합, 댄스, R&B, 랩 등이 포함된다.
  • mc - 음악풍자희극(Musical revues and comedies)
    • 시사풍자극 레뷰(musical revues)는 시사 풍자 희극, 노래나 춤, 시사 풍자적인 촌극을 곁들인 공연물이다.
  • md - 연가(Madrigals)
    • 14세기와 16세기에 이탈리아에서 성행한 보통 5성부(聲部)로 된 무반주의 세속(世俗)성악곡으로 영국 등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마드리갈이라고 부른다.
  • mi - 미뉴에트(Minuets)
    • 17~18세기경 유럽을 무대로 보급되었던 3/4박자의 무용과 그 무곡. 미뉴에트는 프랑스에서 시작되었고, 고도로 양식화된 우아한 표현이 특징이며 스텝의 폭이 작은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 mo - 경문가(Motets)
    • 중세 르네상스 시대를 전성기로 한 중요한 성악곡으로 모테트라고도 한다.
  • mp - 영화음악(Motion picture music)
    • 영화를 위하여 작곡·편곡·선곡(選曲)된 음악
  • mr - 행진곡(Marches)
    • 단체나 집단의 행진을 돕기 위한 반주용 음악, 또는 그 정경을 묘사한 예술음악
  • ms - 미사곡(Masses)
    •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미사의 각종 전례문에 붙여진 곡
  • mu - 복합형식(Multiple forms)
    • 한 종 이상의 작곡 형식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한다.
  • mz - 마주르카(Mazurkas)
    • 마주르카(또는 마주르)라는 말은 폴란드의 마조프세 지방에서 유래되었으며 폴란드의 민속무용과 그 무곡을 말한다.
  • nc - 야상곡(夜想曲, Nocturnes)
    • 낭만파시대에 주로 피아노를 위하여 작곡된 소곡. 야상곡이라고도 한다. 이탈리아어의 노투르노(notturno)와 같은 뜻이기도 하나, 노투르노는 18세기의 세레나데(serenade)와 같은 뜻으로도 쓰인다.
  • nn - 적용불가
    • 해당 자료의 작곡형식을 적용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인쇄악보, 필사악보, 음악적 녹음자료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않는다. 비음악적인 녹음자료에 대해서 적용한다.
  • op - 오페라(가극, Operas)
    • 음악을 중심으로 한 종합무대예술. 오페라는 16세기 말에 이탈리아에서 일어난 음악극의 흐름을 따른 것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그 이전에 유럽에 있었던 종교적인 음악극은 오페라가 아니며 또 이 흐름에 속하지 않는 음악극, 예컨대 창극 같은 것도 오페라가 아니다. 또한 대체로 그 작품전체가 작곡되어 있어야 한다. 즉 모든 대사가 노래로 표현되어야 하는 것을 말한다.
  • or - 오라토리오(Oratorios)
    • 17~18세기에 가장 성행했던 대규모의 종교적 극음악. 보통 성담곡(聖譚曲)으로 번역된다. 일반적으로 성서에 입각한 종교적인 내용을 지녔으며 동작이나 무대장치가 따르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오페라처럼 독창․합창․관현악이 등장하나 오페라에 비해 합창의 비중이 더 크며, 이야기의 줄거리는 내레이터가 낭송(朗誦)한다.
  • ov - 서곡 및 전주곡(序曲, Overtures)
    • 오페라․오라토리오․발레․모음곡 등의 첫 부분에서 연주되어 후속부로의 도입 역할을 하는 기악곡. 그 자체가 정돈되어 있는 내용을 갖고, 완결되어 명확한 종지감(終止感)을 줌으로써 후속부와는 독립하여 존재하는 경우도 많다. 이 점에서 같은 도입적 성격을 띠면서도 보다 소규모적이고 후속부와 계속적으로 접속되는 일이 많은 서주(序奏)와 구분된다. 한편 19세기에는 전혀 단독적인 곡이면서도 서곡이라 불리는 교향곡적 작품도 많이 작곡되었다. 이들 서곡은 처음부터 오페라나 다른 무대예술에 부수되는 목적으로 작곡된 서곡과 구별하기 위해 연주회용 서곡이라고 한다.
  • pg - 표제음악(Program music)
    • 어떤 표제(標題)를 갖고 정경이나 사물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만들어진 것을 표제음악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표제음악은 그 음악 자체보다도 풍경이나 내용 등을 음악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 표제음악은 19세기의 낭만파 음악가들에 의해 크게 발전되었다.
  • pm - 예수 수난곡(Passion music)
    • 그리스도 수난의 이야기를 제재로 하는 종교음악
  • po - 폴로네이즈(Polonaises)
    • 폴란드의 대표적인 민족무용으로부터 발생한 기악곡의 명칭
  • pp - 해외대중음악(Popular Music)
    • 넓은 뜻으로는 클래식이나 예술음악에 대하여 일반대중이 즐겨 부르는 통속적인 성격을 띤 음악, 좁은 뜻으로는 재즈를 제외한 대중음악을 말한다.
  • pr - 전주곡(前奏曲, Preludes)
    • 서곡과 같이 주요한 악곡 앞에 연주되는 소곡이지만, 독립되어 연주되는 자유로운 형식의 기악곡으로 발전되었다. 서곡과 같이 오페라, 악극, 모음곡 등의 첫 머리 곡으로 쓰이는 것으로 관현악 외에 독주곡도 있다.
  • ps - 파사칼리아(Passacaglias)
    • 바로크 시대 음악의 한 형식으로 3박자의 느린 변주곡. J.S.바흐의 작품(BWV 582)이 범례로서 특히 유명하며, 브람스의 제4교향곡의 마지막 악장과 20세기에 들어서는 베베른의 작품 등이 있다.
  • pt - 합창곡(Part-songs)
    • 주로 19세기의 성악작품에 적용되는 말로 제일 윗 성부에 선율을 둔 화성합창곡(和聲合唱曲)을 말한다.
  • pv - 파반느(Pavans)
    • 16세기 초엽 이탈리아에서 발생하여 17세기 중엽까지 유행했던 궁정무곡. 실제 무도로서는 16세기 후반에 쇠퇴하기 시작했으나 영국의 버지널 음악이나 독일의 관현악모음곡에서 양식화되어 순음악적인 무곡으로 그 후도 계속해서 연주되었다. 근대에 이르러 부활하였으며 생상스, 라벨, 랠프 본윌리엄스 등이 명곡을 남겼다. 라벨의’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가 유명하다.
  • rc - 록음악(Rock music)
    • 초기 로큰롤(rock ’n’ roll)이 차차 ‘R&R’의 약자로 표시되다가, 더 축소된 록(rock)으로 고정된 명칭이다. 현대 파퓰러 음악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대중적 음악
  • rd - 론도(Rondos)
    • 서양음악에서 주제부 A 사이에 삽입부(揷入部) B, C를 끼고 되풀이되는 순환부분(循環部分)을 가진 악곡형식
  • rg - 랙타임음악(Ragtime music)
    • 재즈의 한 요소가 되는 피아노의 연주 스타일. 이 리듬의 피아노 연주스타일은 미국 미주리주의 흑인 피아니스트들 사이에서 발달되었으며, 피아노 주자 S. 조플린의 ’Maple Leaf Rag’와 기타 피아노곡 연주들이 있다.
  • ri - 리체르카레(Ricercars)
    • 푸가의 전 단계를 이루는 주제 모방적 기악곡이다. 모방적 리체르카레는 르네상스시대의 성악 모테트 양식을 기악에 적용한 것으로부터 시작, 모테트와 같이 여러 가지 주제의 모방적 처리를 중요한 특징으로 하였다. 리체르카레의 전성기는 16, 17세기였으나 20세기가 되자 신고전주의적 풍조(新古典主義的風潮) 가운데 부활되어 말리피에로, 카젤라, 마르티누, 스트라빈스키 등의 작품에서 그 실례를 볼 수 있다.
  • rp - 랩소디(Rhapsodies)
    • 광시곡(狂詩曲)이라고도 한다. 랩소디란 원래 서사시의 한 부분 또는 계속적으로 불리는 서사시적 부분의 연속을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말이다. 성격적으로는 서사적, 영웅적, 민족적인 색채를 띠고 있다.
  • rq - 진혼곡(Requiems)
    • 레퀴엠이라고도 한다. 정식명은 ‘죽은이를 위한 미사곡’이지만 가사의 첫마디가 ‘requiem (안식을…)’으로 시작되는 데서 이와 같이 부르게 된 것이다. 진혼곡, 또는 진혼미사곡 등으로 번역되어 쓰이기도 한다.
  • sd - 스퀘어댄스곡(Square dance musdic)
    • 네 쌍의 남녀가 서로 마주서서 정사각형을 이루면서 춤을 추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었으며 미국 개척시대 초기에 시작되었다. 춤추는 사람은 개척 당시의 올드패션을 입고 바이올린의 이크송연주를 반주 콜러(caller)의 유머 섞인 즉흥적인 리드에 의해서 춤춘다. 사용되는 곡목은 다양하며 그 수도 100을 넘지만, ’힝키 딩키 파리 부’, ’오 수재너’, ’캡틴 징크스’, ’밀짚 속의 칠면조’, ’켄터키 옛집’ 등의 곡이 인기가 있었다.
  • sg - 가곡(Songs)
    • 시가(詩歌) 등을 가사(歌詞)로 한 성악곡. 예술적인 의도로 창작된 독창용의 소곡(小曲)
  • sn - 소나타(Sonatas)
    • 기악을 위한 독주곡 또는 실내악으로, 매우 규모가 큰 몇 개의 악장으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진지한 내용과 절대음악적인 구성을 가진다.
  • sp - 교향시(Symphonic poems)
    • 관현악에 의하여 시적(詩的) 또는 회화적인 내용을 표현하려고 하는 표제음악(標題音樂). 교향시는 단악장으로 구성된 비교적 짧은 표제적 관현악곡으로, 1850년경 리스트에 의해 탄생되었다. 교향시는 낭만주의적 특성(음악외적 요소를 음악에 접목시키는 경향, 짧고 자유로운 형식을 선호하는 경향)을 그대로 반영하는 장르로서, 고전시대 발전된 순수(절대) 교향곡과 대립되면서 19세기 음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였다.
  • st - 연습곡(Studies and exercises)
    • 교습을 목적으로 한 작품에 적용한다.
  • su - 조곡(Suites)
    • 조곡(組曲)은 모음곡이라고도 하며 여러 형태의 무곡으로 이루어진 고전모음곡과 주로 무곡 이외의 곡으로 이루어진 근대모음곡의 2가지로 나누어진다.
  • sy - 교향곡(Symphonies)
    • 관현악으로 연주되는 다악장형식의 악곡
  • tc - 토카타(Toccata)
    • ‘치다’, 또는 ‘손대다’의 이태리어에서 유래된 토카타는 원래 타악기를 연주할 때 쳐서 소리낸다는 의미로 쓰였다. 관악기 연주에서 운지법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기도 했다. 건반악기음악에서 토카타는 르네상스 말부터의 오르간과 쳄발로를 위한 기악음악의 형식으로 이해된다. 연주기법으로 빠른 손가락의 움직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토카타라고 불려진 것이다. 초기의 토카타는 자유로운 푸렐류드 양식의 단일 부분으로 작곡되었고, 16세기 말부터는 푸가적 부분을 수용한 것도 많이 나타난다. 오르간을 위한 토카타는 바로크 말 바하의 음악에서 그 절정을 이룬다. 많은 화성적 변화와, 빠른 패시지로 구성된, 환상곡 풍의 토카타는 프레스코발디, 북스테후데, 파헬벨, 바하 등에게서 볼 수 있다.
  • tl – 극장 오페라(Teatro lirico)
    • ‘tonadilla escénica’, ‘fiestas de música’, ‘sainetes líricos’, ‘entremeses cómico-lírico’ 등 스페인 및 중남미의 공연 음악을 기술하는 다수의 좀 더 특정한 용어에 적용된다.
  • ts - 트리오 소나타(Trio - sonatas)
    • 바로크 실내악 중 가장 흔히 보는 실내악 편성에 의한 소나타. 이름대로 3성부 곡이다. 하지만 계속 저음을 위해 건반악기가 첨가되어 4개의 악기로 연주된다. 2개의 바이올린이 두 상성부를, 첼로가 베이스를 연주한다. 그러니까 기본적으로는 바이올린 음악이다. 거기에 쳄발로나 오르간이 계속 저음을 연주한다. 때로는 한 개의 바이올린을 다른 고음악기로 대치하기도 한다. 두 개의 바이올린 대신에 코르넷, 플루트, 오보에, 비올라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여타의 혼합편성도 가능하다. 트리오 소나타가 오케스트라와 함께 연주하면 콘체르토 그로소가 된다.
  • uu - 미상
    • 해당 자료의 작곡형식을 알 수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이 부호는 악기의 수와 연주 매체에 대해서만 표시가 있는 경우에 부여한다. 음악이 의미하거나 이해될 수 있다하더라도 어떤 구조나 장르가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 vi - 비얀시코(Villancicos)
    • 16세기~18세기 종교적 또는 속세적 스페인 다성음악(폴리포니)의 특징적 형태를 말한다. 종교적 비얀시코는 보통 크리스마스를 포함한 중요한 의식에서 불렸는데 그 당시 사람들은 때때로 이러한 노래를 ‘pastoradas’라고 불렀다.
  • vr - 변주곡(Variations)
    • 변주곡이란 하나의 가락을 바탕으로 주제․동기․음형(音型)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되풀이하는 것을 말한다. 변주곡은 하나의 주제가 나오면 듣는 사람이 그 주제를 마음속에 새겨두어 이 가락이 몇 번 되풀이해서 나오는지 알게 된다. 되풀이할 때마다 처음의 주제가 아니라 멜로디가 바뀌거나, 장식적인 음이 붙거나, 조가 바뀌기도 하면서 되풀이된다.
  • wz - 왈츠(Waltz)
    • 원무곡(圓舞曲). 4분의 3박자의 경쾌한 무곡으로 19세기 유럽에서 널리 유행하였다.
  • za - 사르수엘라(Zarzuelas)
    • 17~18세기의 ‘fiestas de zarzuela’에서 19세기 중반에서 20세기 중반의 소위 ‘zarzuela moderna’ (‘modern zarzuela’)까지 사르수엘라(zarzuela)라는 이름을 딴 모든 음악극에 적용되는 용어를 말한다.
  • zz - 기타
    • 작곡 형식에 적합한 부호가 없을 경우에 적용한다. 예를 들어 부대(附帶)음악, 전자음악 등이 있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20 악보형식(006/03)

인쇄나 필사된 악보의 형식을 1자리로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300(형태사항) 필드에서 기술된 용어로 생성될 수도 있다. 해당 자료가 하나 이상의 악보로 구성된 악보집인 경우 하나의 악보인지 여러 곡에 대한 악보인지 고려하여야 한다. 이 자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채움문자(|)로 표시한다.

  • a - 총보(Full score)
    악기연주 및 성악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 악기연주자나 성악자가 동시에 읽을 수 있는 악보에 적용한다. 지휘자가 연주할 때 사용하는 악보, 관현악의 총보 혹은 합창의 전체 파트악보가 적힌 것을 말하기도 한다. 참고로 부호 l은 그림, 기호, 가사기반의 음악적 표기법으로 녹음된 작품이나 솔로 연주자 또는 전자 매체를 위한 작품에 사용된다.
    • 008/20 a
    • 300 b/b/▾a1 score (11 p.) ...
  • b - 미니어처 악보/학습용 악보(Miniature or study score)
    한 작품의 악곡을 짧게 하여 만든 미니어처 악보에 적용한다. 이 악보는 학습용이나 감상용으로 사용되며 연주용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 008/20 b
    • 300 b/b/▾a1 miniature score ...
  • c - 건반악기 반주보(Accompaniment reduced for keyboard)
    건반악기를 위해 반주를 간략하게 줄인 악보를 나타낸다. 합창보는 부호 9를, 성악보는 부호 k를 적용한다.
    • 008/20 c
    • 300 b/b/▾a1 score (36 p.) + 1 part ...
      [건반악기 반주보]
  • d - 반주가 생략된 성악보(Voice score with accompaniment omitted)
    성악이나 합창부분에 대한 반주를 삭제하고 성부(聲部)만 표기된 악보임을 나타낸다. 원래부터 반주가 없는 성악곡이나 합창곡은 다른 부호를 적용한다. 합창보는 부호 9를, 성악보는 부호 k를 적용한다.
    • 008/20 d
    • 300 b/b/▾a1 vocal score ...
      [반주부가 없는 악보]
  • e - 콘덴스 악보/지휘용 피아노 악보(Condensed score or piano-conductor score)
    해당 자료가 대보표(大譜表) 또는 3단보표, 4단보표로 간략하게 기보한 관현악곡이나 협주곡의 악보를 나타낸다. 곡 전체의 개략을 파악하기 위해 줄여서 작성한 악보로서 콘텐스 악보(condensed score) 또는 집결총보라고 부르기도 하며 관현악이나 실내악, 대합창곡 등에 쓰인다. 이는 여러 악기의 합주나 합창곡에서 사용되며 지휘자가 보표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편성한 것을 말한다. 지휘자용 피아노총보는 합주곡의 특정 악기용 파트보로 다른 악기를 위한 연주지시악절(cue)이 있는 것을 말한다. 이 악보는 연주를 하면서 동시에 지휘도 하는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만약 해당 자료의 두 가지 유형이 구분가능하다면, 부호 i(콘덴스 악보) 또는 부호 j(연주자-지휘자용 파트보)를 우선 부여한다.
    • 008/20 e
    • 300 b/b/▾a1 condensed score ...
  • g - 클로즈 악보(Close score)
    찬송가나 성가처럼 독립된 제 성부(聲部)가 2단의 보표(譜表)로 악보가 작성된 성악의 악보를 말한다.
    • 008/20 g
    • 300 b/b/▾a1 close score ...
  • h - 국악보
    국악 악보에 적용한다. 현재 우리나라에 전하고 있는 국악 악보의 기보법은 율자보(律譜), 정간보(井間譜), 공척보, 약자보, 육보, 합자보, 오음약보, 연음표의 8가지로 되어있다.

    • 율자보(律字譜)
      12율명의 첫 자만을 따서 음의 고저(高低: 높낮이)를 나타내는 문자 악보로 고려 예종 때 송나라에서 수입하여 쓰인 것이다. 율자보는 ‘세종실록악보’ ‘악학궤범’ 등에 전하고 있으며 지금도 쓰이고 있다.

    • 정간보(井間譜)
      악보가 우물정자(井) 모양을 하고 있는 데서 붙여진 이름으로 정간은 음의 한배(길이)를 나타내며 정간 속에 음의 고저를 나타내는 율자보, 오음약보, 육보 등을 써넣어 사용한다. 지금도 율자보를 써넣어 가장 많이 쓰이는 이 정간보는 세종대왕이 창안한 것이다. 음의 시가를 정확히 기록할 수 있으나 정간 안에 공간이 제한되어 많은 음을 기보하는 데 불편하다.

    • 공척보(工尺譜)
      문자 악보의 한 가지로 주로 중국 당(唐)나라 때 속악에 쓰이던 악보이다. 12율과 4청성(潢, 大, 汰, 浹)을 10개의 문자로 표시하기 때문에 십자보(十字譜)라고도 하며 지금은 쓰이지 않고 있다

    • 약자보(略字譜)
      공척보의 문자를 약자로 적은 악보로 악보를 읽기가 매우 불편하여 널리 쓰이지 못하였고 지금도 쓰이지 못한다. 약자보는 악학궤범에 수록되어 있다.

    • 육보(肉譜)
      악기가 내는 소리를 흉내 내어 적은 구음악보(口音樂譜)이기 때문에 악기마다 기보가 다르게 된다. 이 육보는 실제의 율명이나 음이름이 아니기 때문에 음높이를 정확히 알기 어렵고 가락이 많은 관악기에는 실제 사용이 불가능하다. 지금은 널리 쓰이지 않는다.

    • 합자보(合字譜)
      현악기의 왼손 안현법(按絃法)과 오른손의 탄법(彈法), 현의 이름, 괘의 순서를 여러 모양의 약자로 표기한 악보이다.

    • 오음약보(五音略譜)
      5음 음계로 이루어진 향악을 기보하기 위하여 세조 때 창안된 기보법. 궁(宮)을 중심으로 음계상의 음들을 위·아래로 구분하여 ‘上一·上二·上三’ 또는 ‘下三·下四·下五’ 등으로 표기하여 차례대로 숫자로 적었다.

    • 연음표(連音標)
      노래의 사설 옆에 소리의 높이, 길이, 억양 등의 음악적 표현을 일정한 기호로 표시하는 기보법으로 주로 가객(歌客)들 사이에 사용되던 부호 악보이다.
  • i - 콘덴스 악보(Condensed score)
    보표를 두세 개로 축소한 악보. 일반적으로 악기 또는 성악 파트로 구성되어 있고, 종종 각각의 파트를 위한 신호(큐)가 들어있다. ‘축소된 악보’, ‘짧은 악보’로 불린다.
  • j - 연주자-지휘자용 파트보(Performer-conductor part)
    작곡된 음악이 특정한 악기 한 개를 위해 축소되었거나 지휘자를 위한 악보이다.
  • k - 성악보(Vocal score)
    독창이나 합창과 같은 모든 성악 파트를 위한 악보에 적용한다. 합창을 위한 악보는 부호 9(합창보)를 적용한다. 참고로 성악 라인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성악이 축소된 악보는 부호 p(피아노 악보)를 적용한다.
  • l - 악보(Score)
    합주나 솔로 연주자를 위한 모든 파트의 음을 나타내는 그림, 기호, 가사기반의 음악적 표기에 적용한다. 파트와 혼동하지 마라.
  • m - 복수총보(Multiple score formats)
    여러 가지 유형의 악보가 함께 발행된 자료에 적용한다.
    • 008/20 m
    • 300 b/b/▾a1 score (23 p.) :▾bill. ;▾c30 cm +▾a1 piano conductor part (8 p.)
  • n - 적용불가
    인쇄 또는 필사된 악보가 아닌 경우에 적용한다. (예: 음향녹음자료 등)
    • 008/20 n
    • 300 b/b/▾a1 sound disc ...
  • p - 피아노 악보(Piano score)
    기악보 또는 기악이 포함된 성악보가 피아노용 버전으로 축소된 악보에 적용한다. 성악보의 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 피아노 반주가 축소된 모든 성악 파트 악보는 부호 k(성악보)를 적용한다.
  • u - 미상
    해당자료의 형식을 알 수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 z - 기타
    정의된 부호 중 적합한 부호가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콰이어 북(choir books), 탁상 장식용 서적, 파트보 세트인 경우 부호 z를 적용한다.
    • 008/20 z
    • 300 b/b/▾a42 p. of music ...
    • 008/20 z
    • 300 b/b/▾aFor voice ...
    • 008/20 z
    • 300 b/b/▾a4 parts ...
  • 9 - 합창보(Chorus score)
    독창과 합창을 위한 작품의 악보가 합창 파트만을 나타낼 경우 부호 9(합창보)를 부여한다. 하나나 두 개 이상의 건반 악기로 편곡된 반주를 수반했거나 반주를 생략한 경우도 있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21 악보 파트보 (006/04)

해당자료가 파트보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1자리 부호로 나타낸다. 이 부호는 파트보가 어느 자료에나 있을 수 있다는 걸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 b/ - 파트보가 없거나 세분하지 않는 경우
    목록 시 파트보가 없거나 파트보를 세분화 하지 않는 경우 적용한다.
  • d - 기악/성악 파트보(Instrumental and vocal parts)
    기악 파트보와 성악 파트보 둘 다 있는 경우 적용한다.
  • e - 기악 파트보(Instrumental parts)
    기악부가 있을 경우 적용한다.
  • f - 성악 파트보(Vocal parts)
    성악부가 있을 경우 적용한다.
  • n - 적용불가
    해당자료가 음악자료로 기술되지 않았을 때 적용한다.
  • u - 미상
    해당자료가 파트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알 수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카드목록에서 소급변환했을 경우처럼, 해당 자료의 실물 확인 없이 레코드 생성 시 사용할 수 있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22 이용대상자 수준(006/05)

이용대상자 수준은 1자리로 표시하며, 자료를 이용하는 대상자의 지적수준을 기술한다. 주로 특정 이용자층에 의해 연주되거나 이용되는 것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설명자료에 해당 자료의 이용대상이 하나 이상인 경우, 부호는 주된 이용자층에 부여한다. 이 자리에 부호를 부여하지 않을 경우, 채움문자(|)를 적용한다.

  • b/ - 일반이용자용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특정 이용자를 목표로 하지 않은 자료에 적용한다. 이 부호는 열거된 부호로 부여할 수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 a - 취학전 아동
    취학전 아동(0~7세)을 대상으로 하여 만들어진 경우에 적용한다.
  • b - 초등학생
    초등학생(8~13세)을 대상으로 하여 만들어진 경우에 적용한다.
  • c - 중학생
    중학생(14~16세)을 대상으로 하여 만들어진 경우에 적용한다.
  • d - 고등학생
    고등학생(17~19세)을 대상으로 하여 만들어진 경우에 적용한다.
  • e - 성인용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만들어진 경우에 적용한다.
  • f - 특수계층
    특별한 이용대상자를 목표로 하여 만들어진 자료와 특정 이용자에게만 관심이 있는 자료로 만들어진 경우에 적용한다. 예를 들면 특정인의 요구에 맞게 만들어진 기술적인 자료와 어떤 회사의 고용인을 위한 자료와 같이 자료의 이용을 특정인으로 한정한 경우에 적용한다. 여기에는 시각, 청각, 발달 등의 장애인용을 포함한다.
  • j - 아동용
    어린이에서 15세까지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만들어진 자료에 적용한다. 이 부호는 아동용 자료를 더 세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으며 더 세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앞서 열거된 세분된 부호를 부여한다.
  • z - 미상 또는 세분하지 않는 경우
    해당자료의 이용대상자를 알 수 없거나 특별히 세분하지 않은 경우에 적용한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23 개별자료 형태(006/06)

인쇄나 필사된 악보의 자료형태를 1자리로 나타낸다. 이 자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채움문자(|)로 표시한다.

  • b/ - 기타
    적합한 부호가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 a - 마이크로필름(Microfilm)
    마이크로필름에 적용한다.
  • b - 마이크로피시(Microfiche)
    마이크로피시에 적용한다.
    • 008/23 b
    • 300 b/b/▾a마이크로피시 14매 ;▾c10 x 15 cm
  • c - 마이크로오패크(Microopaque)
    마이크로오패크에 적용한다.
  • d - 큰활자인쇄자료(Large print)
    큰활자인쇄자료에 적용한다.
  • f - 점자자료
    점자자료에 적용한다.
  • o - 온라인(Braille)
    원자료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통신망에 연결하여 접근하는 자원임을 의미한다. 전자자료 유형의 구별이 필요하지 않으면, 부호 s가 모든 형식의 전자자료에 포괄적 부호로 적용될 수 있다.통신망에 접근하는 자료는 부호 o(온라인)를 적용하고 별도의 저장매체에 접근하는 자료는 부호 q(직접 접근 전자자료)를 적용한다.
    • 008/23 o
    • 24500▾a밀양아리랑 ▾h[녹음자료]
    • 538▾a접근방법: World Wide Web
    • 85640▾uhttps://www.miryang.go.kr/tur/index.do?mnNo=30104000000
  • q - 직접 접근 전자자료(Direct electronic)
    직접적으로 접근이 가능한 유형(有形)의 기록 매체, 예를 들어 디스크, 테이프, 플레이어웨이 장치(playaway device), 플래시드라이브, 휴대용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저장매체에 적용한다. 전자 자료 유형의 구별이 필요하지 않으면, 부호 s가 모든 형식의 전자자료에 포괄적 부호로 적용될 수 있다.
    • 008/23 q
    • 24500▾a반창꼬 ▾h[녹음자료] : ▾bOriginal sound track
    • 538▾a시스템조건: CD 플레이어
  • r - 복제자료(Regular print reproduction)
    종이복사물처럼 육안으로 읽을 수 있는 복제자료에 적용한다.
    • 008/23 r
    • 500 b/b/▾a1877년 작곡된 원본악보의 복제자료
  • s - 전자자료(Electronic)
    컴퓨터에 의해 구동되는 자료에 적용한다. 이 자료는 직접 또는 원격으로 접근되는 용기 내에 존재할 수도 있고 때로는 컴퓨터에 딸린 주변장치의 이용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CD-ROM 플레이어). 이 부호는 음악용 컴팩트 디스크, 비디오디스크 등과 같이 컴퓨터의 이용이 필요하지 않은 자료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부호 s는 모든 형식의 전자자료에 포괄적 부호로 적용될 수 있다. 해당 자료가 온라인으로 접근해야하는지 직접 접근이 가능한지를 구분할 필요가 있으면 부호 o와 q를 사용한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24-25 딸림자료 (006/07-08)

녹음자료의 딸림자료를 1자리로 정해진 부호에 의해 두 종류까지 나타낼 수 있다. 만일 딸림자료 부호가 2자리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왼쪽 자리부터 채우고나머지는 빈칸(b/)으로 채운다. 딸림자료가 세 개 이상일 경우에는 중요도 순서에 따라 두 개만을 선정하여 알파벳순으로 기술한다. 이 자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2자리의 채움문자(||)로 표시한다.

  • b/ - 딸림자료 없음
    해당자료에 딸림자료가 없을 경우에 적용한다.
    • 008/24 - 25 b/b/
    • [딸림자료 없음]
  • a - 음반목록(Discography)
    딸림자료에 음반목록이나 다른 녹음된 음향자료의 서지가 수록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 b - 서지(Bibliography)
    참고문헌을 수록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 008/24-25 bb/
    • 504 b/b/▾aBibliography: p. 303-304
  • c - 주제색인(Thematic index)
    딸림자료에 주제 색인이 수록된 경우 적용한다.
  • d - 가사, 대본(Libretto or text)
    딸림자료에 가사나 대본이 수록된 경우 적용한다.
    • 008/24-25 dz
    • 500 b/b/▾aWords of the songs and poster inserted in container
  • e - 작곡가나 저작자의 소개(Biography of composer or author)
    딸림자료에 작곡가나 저작자의 전기자료가 수록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 f - 연주자의 소개(Biography of performer or history of ensemble)
    딸림자료에 연주자의 전기자료나 기타 연주자에 대한 역사가 수록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 008/24-25 fb/
    • 500 b/b/▾aProgram notes by John W. Barker and biographical notes on the pianist on container
  • g - 악기에 관한 기술자료/사료(Technical and/or historical information on instruments)
    딸림자료에 악기에 관한 기술(技術)자료가 수록되어 있거나 역사적으로 중요한 정보(사료)가 수록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 008/24-25 fg
    • 500 b/b/▾aProgram notes and notes on the horn by R.D. Dattell and biographical notes on the soloist on container
  • h - 음악작품의 기술자료(Technical information on music)
    딸림자료에 연주법을 포함한 기술(技術)자료가 수록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 008/24-25 hb/
    • 500 b/b/▾aIncludes instructions for performance
  • i - 음악작품의 사료(Historical information)
    딸림 자료에 역사적으로 중요한 정보나 사료가 수록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 008/24-25 ib/
    • 500 b/b/▾aProgram notes by Kurt Hoffman in German, English, and French on container
      [주로 역사적인 정보]
  • k - 민족음악 자료(Ethnological information)
    딸림자료에 해당자료의 음악 부분이 민족의 중요한 정보가 수록된 자료임을 나타낸다.
  • r - 교재(Instructional materials)
    딸림자료가 음악을 가르치기 위한 교재임을 나타낸다.
    • 008/24-25 rb/
    • 300 b/b/▾a ... +▾e1 teacher's guide
  • s - 악보(Music)
    딸림자료가 해당자료와 다른 음악형식의 악보를 수록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 z - 기타
    딸림자료에 적용할 적합한 부호가 없음을 나타낸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29 미정의

이 자수위치는 정의되지 않았으므로 빈칸(b/) 또는 채움문자(||)로 표시한다.

/30 - 31 녹음자료의 내용 (006/10-11)

음악 이외의 녹음자료에 대한 내용은 1자리로 정해진 부호에 의해 두 종류까지 나타낼 수 있다. 만일 녹음자료의 내용이 2자리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왼쪽 자리부터 채우고 나머지는 빈칸(b/)으로 채운다. 녹음자료의 내용이 세 개 이상일 경우에는 중요도 순서에 따라 두 개만을 선정하여 알파벳순으로 기술한다. 이 자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2자리의 채움문자(||)로 표시한다.

  • b/ - 음악녹음자료
    음악 녹음자료에 적용한다.
    • 008/30-31 b/b/
    • 245 00▾aBolero▾h[sound recording] /▾dMaurice Ravel
  • a - 자서전(Autobiography)
    자서전의 형식을 지닌 자료에 적용한다.
  • b - 전기(Biography)
    전기서의 형식을 지닌 자료에 적용한다.
  • c - 회의록(Conference proceedings)
    학술대회논문의 형식을 지닌 자료에 적용한다.
    • 008/30-31 lc
    • 245 00▾aModern real estate transactions
    • 500 b/b/▾aPanel discussions, lectures, and questions and answers
  • d - 희곡, 연극(Drama)
    희곡의 형식을 지닌 자료에 적용한다.
  • e - 수필(Essays)
    수필의 형식을 지닌 자료에 적용한다.
  • f - 소설(Fiction)
    소설의 형식을 지닌 자료에 적용한다.
  • g - 보고서(Reporting)
    보고서의 형식을 지닌 자료에 적용한다. 해당 자료가 사건에 대한 뉴스나 정보성 메시지를 담고 있는 경우에도 포함된다.
  • h - 역사(History)
    역사 형식을 지닌 자료에 적용한다. 이 부호에는 다른 부호(예, 역사적인 시)로도 부여될 수 있는 역사 이야기 등도 포함된다.
    • 008/30-31 ht
    • 245 00▾aInside the Onaway command post▾h[sound recording] /▾dwith ... ;▾einterviewed by ...
    • 520 b/b/▾aSummary: An oral history
  • i - 사용법(Instruction)
    교육용 교재인 자료에 적용한다. 여기에는 과제물을 수행하는 방법 등이 포함된다. 어학용 교재는 부호 j를 부여한다.
  • j - 언어교육(Language instruction)
    어학용 교재인 자료에 적용한다. 그러나 시집과 같이 긴 문장으로 되어있는 경우에는 다른 부호를 적용한다.
  • k - 희극(Comedy)
    음향으로 수록된 희극(코미디) 내용을 지닌 자료에 적용한다.
  • l - 강연, 연설(Lectures, speeches)
    강연 또는 연설문을 수록한 자료에 적용한다.
    • 008/30-31 lb/
    • 500 b/b/▾aLectures
  • m - 회고록(Memoirs)
    회고록의 형식을 지닌 자료에 적용한다.
  • n - 적용불가
    인쇄 또는 필사 악보에 적용한다.
  • o - 설화(Folktales)
    설화의 형식을 지닌 자료에 적용한다.
  • p - 시(Poetry)
    시의 형식을 지닌 자료에 적용한다.
    • 008/30-31 pf
    • 245 00▾aPoesies et prose francaises ...
  • r - 리허설(Rehearsals)
    리허설의 내용을 수록한 자료에 적용한다. 다양한 비음악성의 공연에 관련한 리허설을 말한다.
  • s - 소리(Sounds)
    소리의 형식을 지닌 자료에 적용한다. 이 부호에는 비음악적인 발성과 가창도 적용되는데, 의미를 전달하는 것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 t - 면담(Interviews)
    인터뷰한 내용을 지닌 자료에 적용한다.
  • z - 기타
    해당자료에 적합한 부호가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 33 조 옮김 및 편곡(006/12)

악보 자료의 전체나 부분이 다른 저작을 조 옮김했거나 편곡한 자료일 경우 적용한다.

  • b/ - 조 옮김/편곡이 아니거나 세분화하지 않는 경우
    해당자료를 조 옮김이나 편곡으로 세분화하지 않을 경우에 적용한다.
  • a - 조 옮김(Transposition)
    해당 자료가 다른 음 높이로 조 옮김되었을 경우에 적용한다.
  • b - 편곡(Arrangement)
    연주매체와 음악구조(texture)를 위해 편곡된 자료일 경우에 적용한다.
  • c - 조옮김과 편곡 둘 다 인 경우(Both transposed and arranged)
    원본과 다른 음의 높이로 조 옮김된 자료이면서 연주매체와 짜임새(texture)를 위해 편곡된 자료일 경우에 적용한다.
  • n - 적용하지 않음
    기보된 악보가 아닐 경우에 적용한다.
  • u - 미상
    해당자료가 조옮김된 자료인지 편곡된 자료인지 알 수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 | 부호화하지 않음
/ 34 미정의(006/13)

이 자수위치는 정의되지 않았으므로 빈칸(b/) 또는 채움문자(|)로 표시한다.

입력 규칙

  • 필드 길이 - 008 필드는 항상 40자리의 문자수로 구성된다.

변경 이력

  • /18-19 cn 캐논 및 윤창 ← 캐논 및 론도, 전칙곡(典則曲) [2022년, 부호명 변경]
  • /18-19 rg – 랙타임음악 (← 래그타임음악) [2022년, 부호명 변경]
  • /20 d 반주가 생략된 성악보 ← 성악보 [2022년, 부호명 변경]
  • /20 e 콘덴스 악보/지휘용 피아노 악보 ← 콘덴스 스코어/지휘용 피아노 스코어[2022년, 부호명 변경]
  • /20 i 콘덴스 악보 ← 콘덴스 스코어 [2022년, 부호명 변경]
  • /20 k 성악보(Vocal score) [2022년, 부호 추가]
  • /20 l 악보(Score) [2022년, 부호 추가]
  • /20 p 피아노 악보(Piano score) [2022년, 부호 추가]
  • /23 o 온라인 ← 온라인 전자자료 [2022년, 부호명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