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표준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의 용어와 정의를 적용한다.
- 3.1 가변길이 필드(variable field)
수록되는 데이터 양에 따라 필드의 길이가 정해지는 필드
- 3.2 간행 빈도(publication frequency)
계속자료의 발행 주기(예를 들면 월간, 주간 등)
- 3.3 계선(界線)
본문의 줄 사이를 구분하기 위해 그은 선
- 3.4 고서(古書)
대한제국(1910년) 이전에 간인(刊印) 필사(筆寫)된 동장본(東裝本). 다만 그 이후 간사(刊寫)된 것으로 장정의 형태가 동장본인 경우, 또는 고서의 영인본이나 복제본도 포함될 수 있다.
- 3.5 고정길이 필드(fixed field)
길이가 고정되어 있는 필드
- 3.6 관제(寬題)
본표제 앞에 기재하는 문구
- 3.7 광곽(匡郭)
책장의 사주에 둘러진 검은 선. 겹선이 있는 것은 쌍변, 단선인 것은 단변이라 표시함.
- 3.8 국제표준도서번호(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ISBN
KS X ISO 2108:2005에 따른 도서 식별 고유 번호.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방법에 따라, 전세계에서 생산되는 각종 도서에 부여하는 개별 번호
- 3.9 국제표준연속간행물번호(International Standard Serial Number) ISSN
ISO 3297:2017에 따라 연속간행물을 개별화하기 위해 국제 연속간행물 데이터 시스템(ISDS)이 부여한 국제 표준 번호
- 3.10 권수제(卷首題)
책의 본문 머리에 표시된 서명
- 3.11 기본 표목(main heading)
표목은 목록 기술의 첫머리에 있는 낱말, 성 또는 구, 절로서 배열의 기준이 되는 것으로, 기본 표목은 기본 기입 카드 목록의 표목을 말한다.
- 3.12 기타 표제(other title)
발행인명란 표제, 약표제, 제본자 표제, 출판 이전의 도치된 형태의 표지 표제 등이 있다.
- 3.13 내용 주기(contents note)
해당 자료가 둘 이상의 저작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표제와 책임 표시 사항(표시 기호 245)에 기술하지 않은 저작의 표제 또는 표제와 저작자를 기술함. 다권본을 일괄 기입한 경우에는 각 권의 표제와 저작자명을 기술한다.
- 3.14 녹음 자료(audio recording; sound recording)
음반, 녹음테이프 등과 같이 소리를 기록하여 복제한 자료. 영화, 비디오테이프 등과 같이 영상 자료에 음성을 동조시킨 것은 포함하지 않는다.
- 3.15 다권본(multipart item; multipart volume; multivolume publication; multivolume work)
형태상 여러 권으로 분리된 저작을 하나의 단위물로 발행된 출판물
- 3.16 대등 표제(parallel content)
본표제를 다른 언어나 문자로 적은 표제
- 3.17 딸림자료(accompanying material)
기본이 되는 출판물과 동시에 간행된 것으로, 함께 사용하도록 마련되어 서지적 연결성이 있는 자료
- 3.18 데이터 기본 번지(base address of data)
한 레코드 내에서 첫 번째 가변 길이 필드(001)가 시작되는 문자의 위치. 리더와 디렉터리의 길이를 합산한 숫자가 데이터 기본 번지가 된다.
- 3.19 데이터 필드(data field)
제어 필드와 대조되는 필드로서 일반 서지 데이터가 기록되는 가변길이 필드. 표시 기호가 ‘00’ 이외의 숫자로 시작된다.
- 3.20 등록 표제(key-title)
ISSN 국제 센터에 의해 각개의 연속간행물에 부여되는 표제로서 해당 간행물에 대하여 유일한 표제가 된다.
- 3.21 디렉터리(directory)
책의 목차와 같은 것으로 어떤 필드가 레코드 내 어느 위치에서 시작되며, 길이가 얼마인가를 지시하는 디렉터리 항목의 집합이다. 각 표시 기호에 대해서 한 개씩의 디렉터리 항목이 만들어진다.
- 3.22 디렉터리 항목(directory entries)
가변길이 필드의 표시 기호, 필드 길이, 필드 시작 위치를 하나의 세트로 하여 구성된다. 이 디렉터리 항목이 모여 디렉터리가 된다.
- 3.23 레코드 종단 기호(record terminator)
한 레코드의 끝남을 표시하는 기호로 해당 레코드 내 마지막 필드의 필드 종단 기호 다음에 기입되며 “ISO/IEC 646의 1D(16)”를 사용한다.
- 3.24 로컬 필드(local field)
일반적으로 문자 “9”를 포함하는 표시 기호로, 블록의 의미 내에서 로컬(개개의 도서관)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필드
- 3.25 리더(leader)
각 레코드의 맨 앞에 나타나는 24자리의 고정 길이 필드. 레코드 처리에 필요한 기초 정보만을 수록하여 레코드 전체를 이용하기에 앞서 필요한 예비 정보를 식별하는 데 유용한 내용을 수록한다.
- 3.26 미국정부간행물 번호(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item number)
미국정부간행물출판국에서 미국정부간행물 발간 시 자료에 부여한 번호
- 3.27 별표제(別標題, alternative title)
본서명이 각기 독립된 서명으로 간주될 수 있는 두 부분으로 되어 있고, 이 사이를 ‘일명’이나 이와 상등한 용어(영어의 ‘or’ 등)로 연결했을 때 ‘일명’이나 ‘or’ 다음에 오는 표제
- 3.28 보안 분류(保安分類)
자료를 이용하는 데 일정한 제한을 나타내는 대외비, 비밀, 특수 자료 등과 같이 보완과 관련된 구분
- 3.29 본표제(main title; title proper)
해당 자료의 주된 표제(서명)
- 3.30 부출 표목(main title; title proper)
기본 표목으로 채택된 표목 이외의 표목(공저자, 편자, 역자, 주제명, 총서명 등)
- 3.31 부호화 정보 필드(fixed-length data elements)
레코드 전반과 서지적인 특성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관리와 검색에 편리하도록 부호화하여 나타내는 40자리의 고정길이 필드
- 3.32 분류 기호(class number)
자료의 주제를 숫자 기호화하여 만든 분류표(KDC, DDC 등) 상의 기호. 동일한 주제의 자료는 같은 분류 기호가 부여된다.
- 3.33 비도서 자료(non-book materials)
정보 전달을 위한 매개체로서 도서의 형태가 아닌 모든 자료를 통칭한다.
- 3.34 사경(寫經)
천도, 공덕, 수행을 위한 신앙의 차원에서 정성들여 경문을 쓰고 변상을 그려 장엄하게 꾸민 것에 대한 총칭
- 3.35 사본(manuscript)
손으로 직접 쓰거나 타자기로 타자된 책. 사본(寫本)에는 저자가 직접 쓴 책(자필 원고)과 다른 사람의 대필로 쓰여진 책이 있다.
- 3.36 사항(area)
특정한 범주 또는 일단의 범주에 대한 데이터로 구성된 서지 기술의 구분(예를 들면 형태 사항, 주기 사항 등)
- 3.37 삽화(illustration)
본문의 설명을 보충하기 위하여 삽입한 도형이나 그림, 또는 그 밖의 도식으로 나타낸 표현물
- 3.38 서지 주기(bibliography note)
저작에 참고 자료 목록이나 인용 자료 목록이 수록되어 있는 경우, 수록된 페이지를 나타내는 사항
- 3.39 시소러스(thesaurus)
문헌 정보의 축적과 검색에서 색인 작성자와 검색자 간에 사용하는 용어를 일치시키기 위한 통제 기능을 가진 용어집
- 3.40 시청각 자료(audio-visual material)
차트, 그래프, 그림, 사진, 도면, 슬라이드, 필름스트립, 비디오 자료, 영화, 입체 자료, 실물 등과 같은 시각 및 청각 형태 자료의 총칭(녹음 자료 제외)
- 3.41 식별기호(subfield code)
가변 길이 필드 내의 각 데이터 요소를 구분 짓고 성격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호. 두 자리(구분기호 한 자리와 데이터 요소 식별기호 한 자리)로 구성된다.
- 3.42 어미(魚尾)
판심의 중봉 양쪽에 대조적으로 물고기의 꼬리 모양이 표시된 것.
- 3.43 엔트리 맵(entry map)
리더의 구성 요소로서, 디렉터리 내에 있는 디렉터리 항목의 구조를 정의한다.
- 3.44 역할어(role indicator)
저작에 기여한 역할을 나타낸 어구(예를 들면 저, 편, 역 등)
- 3.45 연관 저록(linking entry)
해당 저작과 관련이 있는 저작(번역본과 원저와의 관계 등)의 레코드를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필드
- 3.46 영인(影印)
출판물 전체를 기본이 되는 판 그대로 복제한 것.
- 3.47 원표제(original title)
번역 자료에서, 그 저작을 최초로 지은 사람이 그 저작에 붙인 원어 제목
- 3.48 일반 주기(general notes)
자료의 일반적인 특징이나 저록에 기술된 내용을 보충 설명하는 주기
- 3.49 제어 필드(control field)
데이터 필드와 대조되는 필드로서 레코드의 처리에 필요한 제어용 정보와 부호화 정보가 기록되는 가변길이 필드. 표시 기호가 ‘00’으로 시작된다.
- 3.50 주기 사항(notes)
목록을 기술할 때 정형의 서지 사항(표제 책임 사항부터 총서 사항까지)으로 구성된 서지기술을 추가로 설명하거나 보완, 한정할 필요가 있을 때 기술하는 사항
- 3.51 지도(map)
지구의 표면이나 내부, 해양, 대기권, 천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일정한 방식에 따라 축소하여 기호나 문자, 색채 등으로 묘사하여 재현한 것. 평면체에 2차원으로 표현한 기상도나 지질도 이외에 입체적으로 표현한 모형이나 지구의, 천구의도 있다.
- 3.52 지시기호(indicator)
표시기호가 나타내는 정보 이외의 정보를 추가하여 나타내고자 사용하는 부호로서 한 데이터 필드에 대하여 두 자리의 숫자 기호를 사용한다.
- 3.53 청구 기호(call number)
자료의 서가상의 위치를 나타내 주는 기호로서 도서관에서 자료를 요청할 때 이 기호를 사용한다.
- 3.54 총서 표제(title of series)
여러 개로 분리된 출판물이 상호 연결되어 있을 때 각 출판물이 자체의 본표제를 가짐과 동시에 그 무리 전체에 통용되는 집합적인 표제
- 3.55 컴퓨터 파일(computer file)
컴퓨터나 관련 기기에 의해 처리되도록 부호화한 파일로, 기계 가독 형태로 저장된 데이터나 데이터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
- 3.56 키트(kit)
상이한 매체에 수록된 관련 자료를 하나의 단위로 이용하도록 모아 놓은 것.
- 3.57 통일 표제(uniform title)
한 저작이 몇 가지 서로 다른 표제(서명)로 알려져 있는 경우, 이것을 목록에서 한 자리에 모으기 위해 특별히 선정한 표제
- 3.58 판구(版口)
판심의 위아래 어미와 광곽의 위아래 변 사이의 공간의 중봉 위치에 나타나는 선
- 3.59 판 사항(edition statement)
자료의 내용을 수정ㆍ보완하여 다시 출판한 경우, 제2판, 개정판, 증보판 등을 나타내 주는 사항
- 3.60 판종(版種)
도서 또는 인쇄물의 인쇄 방식에 따른 출판물 구분 방식
- 3.61 평면 비영사 자료(two-dimensinal nonprojectable graphic material)
사진, 그림, 도표, 엽서, 포스터, 도면 등과 같은 회화적 표현 자료로 영사기 없이 볼 수 있는 평면 자료
- 3.62 평면 영사 자료(projected medium material)
슬라이드, 영화 필름, DVD 등과 같이 광학 시스템에 의하여 상을 스크린 등의 표면에 재현하는 자료로 영사기를 사용하여 볼 수 있는 평면 자료
- 3.63 표시 기호(tag)
가변길이 필드의 각각의 필드를 유형별 또는 기능별로 표시하고자 사용하는 부호로서 세 자리 숫자를 사용한다.
- 3.64 표제면(title leaf; title page)
출판물의 첫머리에 있는 지면. 가장 완전한 서지 정보이며, 으뜸 전거의 대상이 된다.
- 3.65 표출어(display constant)
주기 사항을 기술하고자 할 때 첫머리에 표시하는 어구
- 3.66 필드 종단 기호(field terminator)
레코드 내에서 하나의 필드가 끝남을 표시하는 기호로 ISO/IEC 646의 ‘1E(16)’를 사용한다.
- 3.67 표제(title)
당해 저작의 명칭 또는 자료에 수록된 각 저작을 명명한 어구로, 보통 그 저작물을 총칭하는 어구
- 3.68 하위 총서(subseries)
한 총서의 하위에 속하는 개념의 총서
- 3.69 학위 논문 주기(dissertation note)
학위 논문의 학위 수여 대학명, 전공학과명, 학위 수여년도 등을 나타내는 사항
- 3.70 합철본 주기(合綴本 註記)
독립적으로 출판된 도서나 소책자 등을 소장자의 사정에 따라 하나로 묶은 것으로, 표제 책임 표시 사항에서 발행 사항까지에 기재되지 않은 저작의 표제와 저작자명, 발행 사항 등에 대하여 기술한 주기
- 3.71 형태 사항(collation)
출판물의 외형적인 특징을 기술하는 사항. 수량, 물리적 특성, 크기, 딸림자료 등이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