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8 - 고서

(RB)

  • 반복불가
  • 필수

지시기호 및 식별기호

008 필드는 지시기호와 식별기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데이터 요소는 위치에 따라 정의된다.

18 삽화표시(006/01)
  • b/ 해당 없음
  • a 삽화
  • b 지도
  • c 초상화(또는 인물사진)
  • d
  • e 설계도
  • f 도판
  • g 악보
  • h 영인물
  • i 문장(紋章)
  • j 계보
  • k 서식 및 양식
  • l 견본(실물견본)
  • o 사진
  • p 채색장식(彩色裝飾)
  • s 변상도(變相圖)
  • t 산도(山圖), 묘도(墓圖)
  • | 부호화하지 않음
19 광곽(006/02)
  • b/ 적용 안함
  • a 사주단변(四周單邊)
  • b 사주쌍변(四周雙邊)
  • c 상하단변(上下單邊) 좌우쌍변(左右雙邊)
  • d 상하쌍변(上下雙邊) 좌우단변(左右單邊)
  • e 상하단변(上下單邊)
  • f 상하쌍변(上下雙邊)
  • g 사주무변(四周無邊)
  • | 부호화하지 않음
20 사경 및 사본의 계선(006/03)
  • b/ 적용안함
  • a 오사란(烏絲欄)
  • b 주사란(朱絲欄)
  • c 남사란(藍絲欄)
  • d 금계(金界)
  • e 은계(銀界)
  • f 백계(白界)
  • g 기타
  • | 부호화하지 않음
21 판구(006/04)
  • b/ 적용안함
  • a 대흑구(大黑口)
  • b 소흑구(小黑口)
  • c 백구(白口)
  • d 화구(花口)
  • e 기타
  • | 부호화하지 않음
22 어미(006/05)
  • b/ 적용안함
  • a 上 또는 下 흑어미(黑魚尾)
  • b 上 또는 下 백어미(白魚尾)
  • c 上 또는 下 2엽화문어미(葉花紋魚尾)
  • d 上 또는 下 3엽화문어미(葉花紋魚尾)
  • e 상하흑어미(上下黑魚尾)
  • f 상하백어미(上下白魚尾)
  • g 상하2엽화문어미(上下2葉花紋魚尾)
  • h 상하3엽화문어미(上下3葉花紋魚尾)
  • i 혼엽화문어미(混葉花紋魚尾)
  • j 흑혼입화문어미(黑混入花紋魚尾)
  • k 기타
  • | 부호화하지 않음
23 개별자료 형태(006/06)
  • b/ 해당없음
  • a 마이크로필름(Microfilm)
  • b 마이크로피시(Microfiche)
  • c 마이크로오패크(Microopaque)
  • d 큰활자인쇄자료(Large print)
  • o 온라인 전자자료
  • q 직접 접근 전자자료 (Direct electronic)
  • r 복제자료(Regular print reproduction)
  • s 전자자료
  • | 부호화하지 않음
24-25 내용형식(006/07-08)
  • b/ 해당 없음
  • b 서지
  • d 운서(韻書)
  • e 법전(法典)
  • g 서화
  • h 금석문(金石文)
  • i 방목(榜目), 관안(官案)
  • j 족보(族譜), 계보(系譜), 세보(世譜)
  • m 불전(佛典)
  • o 주석(註釋), 평주(評註), 해제
  • p 조약집(條約集), 외교문서
  • s 통계
  • t 경전(經典)
  • v 지지(地誌)
  • w 지도(地圖)
  • x 고문서(古文書)
  • || 부호화하지 않음
29-31 판종(版種) (006/09-11)
  • A00-Z99 판종유형 및 내용
  • b/ 적용안함
  • ||| 부호화하지 않음
33 문학형식(006/12)
  • b/ 해당 없음
  • e 文(산문, 수필, 잡문)
  • f 소설
  • i 서간
  • m 일기, 기행
  • v 문집(文集)
  • w 향가, 시조, 가사, 구비문학
  • | 부호화하지 않음
34 전기(006/13)
  • b/ 해당 없음
  • a 자서전
  • b 개인전기서
  • c 전기물의 합저서
  • d 전기적 정보가 포함된 자료
  • | 부호화하지 않음

정의와 범위

고서자료는 리더의 06(레코드 유형) 자리가 w(고서)일 경우, 008/18-25, 29-31, 33-34 자리에 해당부호를 적용한다. 008 필드의 00-17, 26-28, 32, 35-37 자릿수에는 008 필드의 모든 유형에서 공통적으로 정의되며, 관련 내용은 008-공통에 기술되어 있다. 다만 고서에서는 다른 자료와 달리 008/26-27(한국대학부호), 008/38-39(한국정부기관부호)는 미정의(b/)를 적용한다.

008/18-25, 29-31, 33-34 자리는 006/00의 부호가 w(고서)일 때 정의된 006/01-13의 데이터 요소들을 같이 사용한다. 고서를 위해 006 필드와 008 필드에서 사용되는 자리위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008-고서의 ‘적용지침’에 설명되어 있다.

적용지침

■ 자수위치
/18 삽화표시(006/01)

삽화표시는 1자리로 표시하며, 해당자료에 나타나 있는 삽화의 유형부호를 기술한다. 이 자리를 사용하지 않기로 한 경우 채움문자(|)를 적용한다.
사용되는 부호는 다음과 같다.

  • b/ - 해당없음
    해당자료에 삽화가 수록되어 있지 않는 경우이다. 008/18에 빈칸(b/)이 적용되는 경우, 008/19-21 자리도 항상 빈칸(b/)으로 기술한다.
  • a - 삽화
    해당자료에 삽화가 수록되어 있는 경우이다. 삽화의 유형에 적합한 부호가 없는 경우, 부호 a를 적용한다.
  • b - 지도
    해당자료에 지도가 수록되어 있는 경우이다. 300 필드에는 ‘지도’로 기술한다.
  • c - 초상화(또는 인물사진)
    해당자료에 초상화가 수록되어 있는 경우이다. 300 필드에는 ‘초상화’로 기술한다.
  • d - 표
    해당자료에 그래프나 표가 수록되어 있는 경우이다. 300 필드에는 ‘도표’로 기술한다.
  • e - 설계도
    해당자료에 설계도가 수록되어 있는 경우이다. 300 필드에는 ‘설계도’로 기술한다.
  • f - 도판
    해당자료에 도판이 수록되어 있는 경우이다. 300 필드에는 ‘도판’으로 기술한다.
  • g - 악보
    해당자료에 악보가 수록되어 있는 경우이다. 300 필드에는 ‘악보’로 기술한다.
  • h - 영인물
    해당자료에 영인물이 수록되어 있는 경우이다. 300 필드에는 ‘영인물’로 기술한다.
  • i - 문장(紋章)
    해당자료에 문장(紋章)이 수록되어 있는 경우이다. 300 필드에는 ‘문장’으로 기술한다.
  • j - 계보
    해당자료에 연대표, 연표, 가계도가 수록되어 있는 경우이다. 300 필드에는 ‘계보’로 기술한다.
  • k - 서식 및 양식
    해당자료에 서식이나 양식이 수록되어 있는 경우이다. 300 필드에는 ‘서식’으로 기술한다.
  • l - 견본(실물견본)
    해당자료에 견본이 수록되어 있는 경우이다. 300 필드에는 ‘견본’으로 기술한다.
  • o - 사진
  • p - 채색장식(彩色裝飾)
    해당자료에 빛깔이나 무늬를 넣거나 장식이 된 글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한다.
  • s - 변상도(變相圖)
    해당자료에 불교에 관한 여러 가지 내용을 시각적으로 조형화한 그림이 있는 경우에 적용한다. 불경에 있어서 권두의 변상도(變相圖)는 당해 서적의 내용을 압축하여 나타내고 있다.
  • t - 산도(山圖), 묘도(墓圖)
    산도 또는 묘도는 풍수적 사고가 반영된 지도로서 족보에 수록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집 또는 마을 지도에도 적용된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19 광곽(006/02)

광곽(匡郭)은 1자리로 표시하며, 판의 사주를 둘러싼 선의 종류를 나타낸다.
이 자리를 사용하지 않기로 한 경우 채움문자(|)를 적용한다.
사용되는 부호는 다음과 같다.

  • b/ - 적용 안함
    광곽의 유형을 세분하지 않는 경우에 적용한다.
  • a - 사주단변(四周單邊)
    해당자료에서 서엽(書葉)의 네 테두리 광곽(匡郭)이 한 개의 선으로 되어 있는 것. 사주단란(四周單欄)이라고도 한다.
  • b - 사주쌍변(四周雙邊)
    해당자료에서 서엽의 네 테두리 광곽(匡廓)이 두 개의 선으로 되어 있는 것. 사주쌍란(四周雙欄) 또는 자모쌍변(子母雙邊), 자모쌍선(子母雙線)이라고도 한다.
  • c - 상하단변(上下單邊) 좌우쌍변(左右雙邊)
    해당자료에서 판(版)의 네 테두리 가운데 좌우만 검은 쌍선(雙線)을 그은 것일 경우에 적용한다.
  • d - 상하쌍변(上下雙邊) 좌우단변(左右單邊)
    해당자료에서 판(版)의 네 테두리 가운데 좌우만 검은 단선(單線)을 그은 것일 경우에 적용한다.
  • e - 상하단변(上下單邊)
    두루마리 형식의 卷軸裝, 折帖裝에서 상하의 테두리가 한 개의 선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한다.
  • f - 상하쌍변(上下雙邊)
    두루마리 형식의 卷軸裝, 折帖裝에서 상하의 테두리가 두 개의 선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한다.
  • g - 사주무변(四周無邊)
    해당자료에서 서엽(書葉)의 네 테두리 광곽(匡郭)이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20 사경 및 사본의 계선(006/03)

사경(寫經) 및 사본(寫本)의 계선(界線)은 1자리로 표시하며, 지장(紙張)의 각 행간(行間)을 구분하기 위하여 긋는 선을 나타낸다. 이 자리를 사용하지 않기로 한 경우 채움문자(|)를 적용한다.
사용되는 부호는 다음과 같다.

  • b/ - 적용안함
    계선의 유형을 세분하지 않을 경우에 적용한다.
  • a - 오사란(烏絲欄)
    광곽과 계선(界線)을 검은색으로 그리거나 인쇄한 경우에 적용한다.
  • b - 주사란(朱絲欄)
    광곽과 계선(界線)이 주홍색인 경우에 적용한다.
  • c - 남사란(藍絲欄)
    광곽과 계선(界線)을 남색(藍色)으로 그은 경우에 적용한다.
  • d - 금계(金界)
    광곽과 계선(界線)을 금니(金泥)로 그은 경우에 적용한다.
  • e - 은계(銀界)
    광곽과 계선(界線)을 은니(銀泥)로 그은 경우에 적용한다.
  • f - 백계(白界)
    광곽(匡郭)이 갖추어진 서엽(書葉)에 계선(界線)이 없는 것을 말한다. 무계(無界)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 g - 기타
    부여할 적합한 부호가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21 판구(006/04)

판구(板口)는 1자리로 표시하며, 판심(版心)의 상상비(上象鼻)와 하상비(下象鼻)의 중봉(中縫) 위치에 나타나는 선이나 문자를 표시한다. 이 자리를 사용하지 않기로 한 경우 채움문자(|)를 적용한다.
사용되는 부호는 다음과 같다.

  • b/ - 적용안함
    판구(版口)를 세분하여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적용한다.
  • a - 대흑구(大黑口)
    흑구의 모양이 굵고 거친 경우에 적용한다. 이는 관흑구(寬黑口)라고도 부른다.
  • b - 소흑구(小黑口)
    흑구의 모양이 가늘고 세밀한 경우에 적용한다. 이는 세흑구(細黑口)라고도 부른다.
  • c - 백구(白口)
    판심(版心)의 상하상비(上下象鼻)에 아무 표시가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 d - 화구(花口)
    판심(版心)의 상하상비(上下象鼻)에 검은선(墨線) 대신 문자가 있는 경우에 적용한다.
  • e - 기타
    해당하는 부호가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22 어미(006/05)

어미(魚尾)는 1자리로 표시하며, 판심(版心)의 중봉(中縫) 양쪽에 대조적으로 물고기의 꼬리 모양으로 표시된 것을 말한다. 이 자리를 사용하지 않기로 한 경우 채움문자(|)를 적용한다.
사용되는 부호는 다음과 같다.

  • b/ - 적용안함
    판심(版心)에 있는 어미(魚尾)의 유형을 세분하지 않는 경우에 적용한다.
  • a - 上 또는 下 흑어미(黑魚尾)
    판심(版心)에 있는 어미(魚尾)가 흑지(黑紙)이며 상단 또는 하단에 있는 경우 적용한다.
  • b - 上 또는 下 백어미(白魚尾)
    판심(版心)에 있는 어미(魚尾)가 백지(白紙)이며 상단 또는 하단에 있는 경우 적용한다.
  • c - 上 또는 下 2엽화문어미(2葉花紋魚尾)
    판심(版心)에 있는 어미(魚尾)가 2葉花紋이며 상단 또는 하단에 있는 경우 적용한다.
  • d - 上 또는 下 3엽화문어미(3葉花紋魚尾)
    판심(版心)에 있는 어미(魚尾)가 3葉花紋이며 상단 또는 하단에 있는 경우 적용 한다.
  • e - 상하흑어미(上下黑魚尾)
    판심(版心)에 있는 어미(魚尾)가 흑지(黑紙)이며 상단과 하단에 있는 경우 적용한다.
  • f - 상하백어미(上下白魚尾)
    판심(版心)에 있는 어미(魚尾)가 백지(白紙)이며 상단과 하단에 있는 경우 적용한다.
  • g - 상하2엽화문어미(上下2葉花紋魚尾)
    판심(版心)에 있는 어미(魚尾)가 2葉花紋이며 상단과 하단에 있는 경우 적용한다.
  • h - 상하3엽화문어미(上下3葉花紋魚尾)
    판심(版心)에 있는 어미(魚尾)가 3葉花紋이며 상단과 하단에 있는 경우 적용한다.
  • i - 혼엽화문어미(混葉花紋魚尾)
    판심(版心)에 있는 어미(魚尾)가 혼엽화문(混葉花紋)일 경우 적용한다.
  • j - 흑혼입화문어미(黑混入花紋魚尾)
    판심(版心)에 흑어미(黑魚尾)와 화문어미(花紋魚尾)가 혼입되어 있는 경우 적용한다.
  • k - 기타
    판심(版心)에 있는 어미(魚尾)에 적합한 부호가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23 개별자료 형태(006/06)

자료의 판독과 관련한 자료형태는 1자리로 나타낸다. 이 자리를 사용하지 않기로 한 경우 채움문자(|)를 적용한다.
사용되는 부호는 다음과 같다.

  • b/ - 해당 없음
    적합한 부호가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 a - 마이크로필름
    마이크로필름에 적용한다.
  • b - 마이크로피시
    마이크로피시에 적용한다.
  • c - 마이크로오패크
    마이크로오패크에 적용한다.
  • d - 큰활자인쇄자료
    큰활자인쇄자료에 적용한다.
  • o - 온라인 전자자료
    해당 자료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통신망에 연결하여 접근하는 자원임을 의미한다. 전자자료 유형의 구별이 필요하지 않으면, 부호 s가 모든 형식의 전자자료에 포괄적 부호로 적용될 수 있다.
  • q - 직접 접근 전자자료(Direct electronic)
    직접적으로 접근이 가능한 유형(有形)의 기록 매체, 예를 들어 디스크, 테이프, 플레이어웨이 장치(playaway device), 플래시드라이브, 휴대용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저장매체에 적용한다. 전자 자료 유형의 구별이 필요하지 않으면, 부호 s가 모든 형식의 전자자료에 포괄적 부호로 적용될 수 있다.
  • r - 복제자료
    종이복사물처럼 육안으로 읽을 수 있는 복제자료에 적용한다.
  • s - 전자자료
    컴퓨터에 의해 구동되는 자료에 적용한다. 이 자료는 직접 또는 원격으로 접근되는 용기 내에 존재할 수도 있고 때로는 컴퓨터에 딸린 주변장치의 이용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예, CD-ROM 플레이어). 이 부호는 음악용 컴팩트 디스크, 비디오디스크 등과 같이 컴퓨터의 이용이 필요하지 않은 자료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부호 s는 모든 형식의 전자자료에 포괄적 부호로 적용될 수 있다. 해당자료가 온라인으로 접근해야하는지 직접 접근이 가능한지를 구분할 필요가 있으면 부호 o와 q를 사용한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24-25 내용형식(006/07-08)

내용형식은 2자리로 표시하며, 자료의 전체 또는 주요부분이 내용형식부호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나타낸다. 만일 내용형식부호가 2자리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좌측으로 맞추고 나머지는 빈칸으로 채운다.

내용형식부호가 2개 이상일 경우에는 중요한 내용형식부호 2개만을 선정하여 알파벳순에 의해 기술한다. 이 자리를 사용하지 않기로 한 경우 2자리 채움문자(||)를 적용한다.
사용되는 부호는 다음과 같다.

  • b/ - 해당 없음
    해당자료가 세부적으로 구분될 수 있는 내용상의 특성을 지니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 b - 서지
    해당자료의 전체가 서지로 되어 있거나 부분적으로 서지를 수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부호는 서지레코드에서 서지에 대한 사항을 충분히 기술한 경우에만 부여한다.
  • d - 운서(韻書)
    한자를 운에 따라 분류한 한자음 사전인 경우에 적용한다.
  • e - 법전(法典)
    어떤 종류의 법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엮은 책인 경우에 적용한다.
  • g - 서화(書畵)
    서예와 그림이 합쳐진 자료인 경우에 적용한다.
  • h - 금석문(金石文)
    쇠붙이나 돌에 새긴 글씨 또는 그림인 경우에 적용한다.
  • i - 방목(榜目), 관안(官案)
    과거급제자에 대한 합격자 명단인 경우에 적용한다.
  • j - 족보(族譜)
    족보자료에는 계보(系譜), 세보(世譜)도 포함하여 적용한다.
  • m - 불전(佛典)
    불경이나 불전인 경우에 적용한다.
  • o - 주석(註釋), 평주(評註), 해제
    주석이나 평주 또는 해제 자료인 경우에 적용한다.
  • p - 조약집(條約集), 외교문서
    조약집이나 외교문서인 경우에 적용한다.
  • s - 통계
    통계자료인 경우에 적용한다.
  • t - 경전(經典)
    성인(聖人)의 가르침이나 행실, 또는 종교의 교리를 적은 자료인 경우에 적용한다.
  • v - 지지(地誌)
    어떤 지역의 지리적 현상을 조사하고 연구하여 그 특색을 적은 자료인 경우에 적용한다.
  • w - 지도(地圖)
    지도자료인 경우에 적용한다.
  • x - 고문서(古文書)
    고문서인 경우에 적용한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29 - 31 판종(版種) (006/09-11)

판종표시는 3자리로 표시하며, 첫 번째 자리는 판종의 유형을 영문대문자부호로 기술하고, 두 번째와 세 번째 자리에는 판종의 유형별로 세분된 판종 내용부호를 기술한다.

이 자리를 사용하지 않기로 한 경우 3자리의 채움문자(|||)를 적용한다.
사용되는 부호는 다음과 같다.

01X-09X 가변길이 데이터 필드-개요
版種類型 版種類型符號 版 種 內 容 符 號
金屬活字本 A
  • 00 未詳
  • 01 高麗鑄字
  • 11 癸未字
  • 12 庚子字
  • 20 甲寅字
  • 21 初鑄甲寅字
  • 22 庚辰字
  • 23 戊午字
  • 24 戊申字
  • 25 壬辰字
  • 26 丁酉字
  • 31 丙辰字
  • 32 庚午字
  • 33 乙亥字
  • 34 乙亥字體經書字
  • 35 丁丑字
  • 36 戊寅字
  • 37 乙酉字
  • 38 甲辰字
  • 39 癸丑字
  • 41 丙子字
  • 42 印曆字
  • 46 洛東契字
  • 47 顯宗實錄字
  • 48 丙辰倭諺字
  • 50 韓構字
  • 51 初鑄韓構字
  • 52 再鑄韓構字
  • 53 三鑄韓構字
  • 60 校書館印書體字
  • 61 前期校書館印書體字
  • 62 後期校書館印書體字
  • 66 元宗字
  • 67 肅宗字
  • 71 栗谷全書字
    (洪啓禧字)
  • 80 整理字
  • 81 初鑄整理字
  • 82 再鑄整理字
  • 83 整理字體鐵活字
  • 91 筆書體鐵活字
  • 92 全史字
  • 99 其他
木活字本 B
  • 00 未詳
  • 01 書籍院字
  • 11 錄券字
  • 12 東國正韻字
  • 13 洪武正韻字
  • 14 倣洪武正韻大字
  • 15 乙酉字體
  • 16 印經字
  • 21 錦城字
  • 22 湖陰字
  • 23 秋香堂字
  • 24 孝經大字
  • 30 訓鍊都監字
  • 31 甲寅字體訓
    鍊都監字
  • 32 庚午字體訓
    鍊都監字
  • 33 乙亥字體訓
    鍊都監字
  • 34 甲辰字體訓
    鍊都監字
  • 35 丙子字體訓
    鍊都監字
  • 41 功臣都監字
  • 50 實錄字
  • 51 宣祖實錄字
  • 52 仁祖實錄字
  • 53 孝宗實錄字
  • 61 內醫院字
  • 62 文繼朴字
  • 63 羅州字
  • 65 校書館筆書體字
  • 66 校書館筆書
    體字(I)
  • 67 校書館筆書
    體字(II)
  • 71 經書正音字
  • 72 生生字
  • 73 箕營筆書體字
  • 74 春秋綱字
  • 75 成川字
  • 81 지겟다리획
    印書體字
  • 82 張混字
  • 83 金陵聚珍字
  • 84 訓蒙三字經字
  • 85 寶光社字
  • 86 學部印書體字
  • 87 耶蘇三字經字
  • 99 其他
木板本 C
  • 00 未詳
  • 01 初刊
  • 11 重刊
  • 21 覆刻
31 後刷 99 其他
筆寫本 D
  • 00 未詳
  • 01 原稿本
11 轉寫本 21 寫經 99 其他
陶活字本 E 01 陶活字
匏活字本 F 01 匏活字
新鉛活字本 G 01 新鉛活字
石版本 H 01 石印
拓本 I 01 拓印
油印本 J 01 油印(謄寫)
影印本 K 01 影印(電子複寫 등)
寫眞版本 L 01 寫眞版
未詳 U 00 未詳
其他 Z 01 鈐印本 11 銅版本 99 其他 ...
적용안함 b/ b/b/ 적용안함

※ 판종구분은 "천혜봉 저,「한국금속활자본」과「한국목활자본」(서울 : 범우사, 1993)"을 참고하였다.

[예시]

金屬活字本(癸未字) → A11          木活字本(宣祖實錄字) → B51          拓本 → I01

  • ||| - 부호화하지 않음
/33 문학형식(006/12)

문학형식은 1자리로 표시하며, 해당자료가 문학작품인 경우에 그 형식을 나타낸다. 이 자리를 사용하지 않기로 한 경우 채움문자(|)를 적용한다.
사용되는 부호는 다음과 같다.

  • b/ - 해당 없음
    해당자료가 문학작품이 아닌 경우에 적용한다.
  • e - 文(산문, 수필, 잡문)
    산문, 수필, 잡문인 경우에 적용한다.
  • f - 소설
    소설인 경우에 적용한다.
  • i - 서간
    서간인 경우에 적용한다.
  • m - 일기, 기행
    일기 또는 기행문인 경우에 적용한다.
  • v - 문집(文集)
    개인 또는 여러 사람의 글을 모아 엮은 자료인 경우에 적용한다.
  • w - 향가, 시조, 가사, 구비문학
    향가, 시조, 가사, 구비문학, 시집을 포함하여 적용한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34 전기 (006/13)

전기는 1자리로 표시하며 해당 자료가 전기, 행록(行錄), 실기(實紀), 지장(誌狀)인 경우에 그 전기물의 성격을 나타낸다. 이 자리를 사용하지 않기로 한 경우 채움문자(|)를 적용한다.
사용되는 부호는 다음과 같다.

  • b/ - 해당없음
    해당자료가 전기자료가 아닌 경우에 적용한다.
  • a - 자서전
    해당자료가 자서전임을 나타낸다.
  • b - 개인전기서
    한 개인의 전기에 적용한다.
  • c - 전기물의 합저서
    한 사람 이상에 대한 인명이나 전기적인 정보를 기술한 자료에 적용한다.
  • d - 전기적 정보가 포함된 자료
    전기 정보를 수록한 자료에 적용한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입력 규칙

  • 필드 길이 - 008 필드는 항상 40자리의 문자수로 구성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