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설계원칙

전거통제용 한국문헌자동화목록(KORMARC) 형식은 전거데이터를 컴퓨터에 축적하고 검색하는데 필요한 레코드의 구조와 데이터의 내용식별, 표현, 배열 등 그 세부 사항에 대한 명세(specification)를 제공한다.

1) 형식의 범위

전거통제용 KORMARC 형식은 (1) 접근점으로 사용되는 이름ㆍ주제ㆍ주제세목의 전거형식과 (2) 참조로 사용되는 다른 형식의 이름ㆍ주제ㆍ주제세목, (3) 전거형식과 참조 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정보를 담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름은 기본표목, 부출표목, 총서부출표목, 주제명부출표목에 사용된다.

이름에 해당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개인명 (X00) 지리명 (X51)
단체명 (X10) 통일표제 (X30)
회의명 (X11) 이름/표제 조합

주제에 해당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주제명 (X50) 지리명 (X51)
장르/형식 (X55) 연대 (X48)
주제세목을 가진 통일표제 (X30)

주제세목에 해당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일반세목 (X80) 지리세목 (X81)
연대세목 (X82) 형식세목 (X85)
전거레코드의 종류

전거레코드는 리더/06(레코드 유형)에 z라고 표시함으로써 서지레코드나 소장레코드와 구분한다. 전거레코드의 이름, 주제, 주제세목의 형식은 목록규칙과 주제명표목표/시소러스의 규정을 따른다.

전거레코드는 008/09(레코드 종류)의 구분부호에 의해 아래와 같이 6가지 종류로 나뉜다.

  • 채택표목 레코드(구분부호 : a)

    100-155 필드가 채택표목인 전거레코드. 채택표목 레코드는 이형 표목과 연관 표목을 위한 필드를 포함할 수도 있고, 표목 설정에 사용된 정보의 출처를 주기할 수도 있다.

  • 주제세목 레코드(구분부호 : d)

    18X 필드가 채택표목의 주제세목으로만 사용되는 주제명, 연대, 장르/형식, 지리명인 전거레코드

  • 채택표목/주제세목 레코드(구분부호 : f)

    15X 필드가 다른 채택표목의 주제세목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채택표목으로 이루어진 전거레코드(기관에 따라 채택표목과 주제세목 레코드를 분리하여 구축할 수 있다).

  • 참조표목 레코드(구분부호 : b 또는 c)

    100-155 필드가 비채택표목인 전거레코드. 이 레코드는 260(복합보라참조-주제) 필드, 664(복합보라참조-이름) 필드, 666(일반설명참조-이름) 필드를 사용하여 비채택표목을 채택표목으로 안내한다. 부출여부에 따라 008/09에 서로 다른 부호를 사용한다. 레코드 내에 1XX 필드에 기재된 표목이 다른 전거레코드 내 4XX 필드에 보라부출로도 사용되는지에 따라 구분부호를 달리 적용한다.

  • 참조표목/주제세목 레코드(구분부호 : g)

    15X 필드가 채택표목의 주제세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비채택표목으로 이루어진 전거레코드(기관에 따라 참조표목과 주제세목 레코드를 분리하여 구축할 수 있다).

  • 노드레이블 레코드(구분부호 : e)

    150 필드가 시소러스에서 항목 구분의 기준을 나타내는 비채택표목으로 이루어진 전거레코드


표목의 유형

전거레코드에서 표목은 1XX, 4XX, 5XX 필드에 기술된다. 전거 형식에서 표목은 채택표목과 비채택표목으로 나뉜다.

  • 채택표목

    서지레코드의 기본표목(1XX), 부출표목(700-730), 총서부출표목(440, 800-830), 주제명부출표목(600-655, 654-657)에 사용되는 전거형식의 표목. 전거레코드에서 채택표목은 100-155(표목) 필드와 500-555(도보라부출) 필드에 기술된다.

  • 비채택표목

    서지레코드의 기본표목, 부출표목, 총서명표목, 주제명표목에 사용되는 비전거형식의 표목. 채택표목에 대한 이형 참조, 기관 내부용으로 사용되는 표목의 형식, 확장주제명표목에서 채택표목과 병행하여 사용하기 위한 주제세목 등이 비채택표목에 해당한다. 전거레코드에서 비채택표목은 참조표목 레코드(008/09의 b 또는 c), 주제세목 레코드(008/09의 d), 참조표목/주제세목 레코드(008/09의 g), 노드레이블 레코드(008/09의 e)에서 1XX(표목)와 4XX(보라부출)에 기재된다. 비채택표목은 채택표목 레코드(008/09의 a 또는 f)의 4XX 필드에도 기재할 수 있다.

    표목이 될 수 있는 것은 이름, 이름/표제 조합, 통일표제, 연대주제명, 주제명, 장르/형식, 주제명, 세목, 확장주제명표목, 노드레이블이다.

    • 이름 표목

      개인명, 단체명, 회의명, 지리명

    • 이름/표제 표목

      이름과 표제로 이루어진 표목. 이름은 개인명, 단체명, 회의명, 지리명을 의미하며, 표제는 개별자료나 총서를 식별하기 위한 표제를 의미한다. 통일표제나 널리 사용되는 표제, 저작의 표제지 표제, 총서표제도 표제가 될 수 있다.

    • 통일표제 표목

      이름/표제 표목에서 이름(개인명, 단체명, 회의명, 지리명) 없이 표제로만 구성된 표목

    • 연대 표목

      연대 주제명으로 이루어진 표목

    • 주제명 표목

      주제명으로 이루어진 표목

    • 장르/형식 표목

      장르/형식 주제명으로 이루어진 표목

    • 세목 표목

      일반형식(주제나 언어), 지리명, 연대 세목으로 이루어진 표목. 세목 확장표목은 하나 이상의 세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식별기호 ▾v, ▾x, ▾y, ▾z 사용).

    • 확장주제명표목

      하나 이상의 세목을 포함하는 이름, 이름/표제, 통일표제, 주제명, 장르/형식 표목

    • 노드레이블 표목

      시소러스에서 항목 구분의 논리적 기준을 나타내는 용어로 이루어진 표목


전거레코드에서의 표목의 사용

전거통제용 KORMARC 형식에서 표목의 사용 여부는 다음 세 가지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 • 기본표목 또는 부출표목의 사용 여부 : 008/14
  • • 주제명부출표목의 사용 여부 : 008/15
  • • 총서부출표목의 사용 여부 : 008/16

서지레코드에서는 채택표목만을 접근점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름, 이름/표제, 통일표제 채택표목은 008/14(표목사용–기본표목/부출표목)와 008/16(표목사용–총서부출표목)에서, 주제명과 확장주제명표목은 008/15(표목사용–주제명부출표목)에서, 세목 표목은 확장주제명표목에서 그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거 구조에서 표목의 사용

표목은 이름전거 혹은 주제전거 구조 중 하나에 해당한다. 008/10에 표시된 특정 목록기술규칙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이름 표목, 이름/표제 표목, 통일표제 표목은 이름전거 구조로 적합하다. 채택된 표목의 형식은 채택표목 레코드(008/09 a)와 채택표목/주제세목 레코드(008/09 f)에 기술하며, 채택되지 않은 표목의 형식은 참조표목 레코드(008/09 b 또는 c)에 기술한다. 주기, 부출과 참조 필드는 이름전거 구조에 적합한 경우 레코드 내에 기술한다.

008/11에 표시된 주제명표목표/시소러스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이름 표목, 이름/표제 표목, 통일표제 표목, 연대 표목, 주제명 표목, 장르/형식 표목, 세목 표목은 주제전거 구조로 적합하다. 채택된 표목의 형식은 채택표목 레코드(008/09 a)와 채택표목/주제세목 레코드(008/09 f)에 기술하며, 채택되지 않은 표목의 형식은 주제세목 레코드(008/09 d)와 참조표목 레코드(008/09 b 또는 c), 참조표목/주제세목 레코드(008/09 g), 노드레이블 레코드(008/09 e)에 기술할 수 있다. 주기, 부출과 참조 필드는 주제전거 구조에 적합한 경우 레코드 내에 기술한다.


총서명 정보

1XX 필드에 총서명에 대한 통일표제 표목이나 이름/표제 표목을 가지는 전거레코드는 총서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008/12에 총서의 유형을 표시하는데, 총서의 유형은 단행본의 총서명, 다권본의 종합표제, 유사 총서명(총서는 아니지만 총서의 성격으로 간행되는 자료), 별도 분리가 가능한 총서 등으로 구분한다. 총서명 정보와 관련된 필드로는 008 필드의 008/12(총서 유형)와 008/13(총서번호 유무), 008/16(총서부출표목), 그리고 0XX 필드(연계된 서지레코드의 제어번호, 표준번호, 청구기호 필드)와 64X(총서처리) 필드가 있다.


2) 전거레코드의 구성요소

레코드 부문의 기술

전거레코드는 리더, 디렉터리, 가변길이필드 세 개의 구성요소로 되어 있다. KORMARC 전거레코드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리더 디렉터리 가 변 길 이 필 드
제어필드1 FT 2 3 4 ... nFT   데이터필드1 FT 2 3 4 ... FT RT
리더
디렉터리
가 변 길 이 필 드 제어필드1 FT
2
3
4
...
nFT
 
데이터필드1 FT
2
3
4
...
FT RT

모든 레코드는 레코드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갖고 있는 고정길이필드인 리더로 시작된다. 리더 다음에는 레코드 내에 있는 가변길이필드의 위치를 지시해 주는 디렉터리가 나온다. 그 다음으로 제어필드와 일반데이터를 갖고 있는 데이터필드들이 나온다.

리더를 제외한 모든 필드의 끝에 필드종단기호(FT=ASCII 1E16")를 기술하며, 이 문헌에서는 KS X 1001(전 KS C 5601)에서 지원하는 해당 문자 형태(▴)를 사용하였다. 마지막 데이터 필드의 끝에는 필드종단기호 다음에 레코드 종단기호(RT=ASCII 1D16")를 기술한다. 이 문헌에서는 KS X 1001(전 KS C 5601)에서 지원하는 해당 문자 형태(↔)를 사용하였다.

  • 리 더(Leader)

    레코드 처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요소이다. 이 데이터요소는 숫자 또는 부호값을 나타내며 관련 자릿수에 의해 구분된다. 리더는 24개의 자리로 고정되어 있으며 KORMARC 레코드의 첫 번째 필드이다.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레코드
    길 이
    레코드
    상 태
    레코드
    유 형
    미정의 문자
    부호화
    체계
    지시기호
    자 릿 수
    식별기호
    자 릿 수
    데이터
    기본번지
    입력
    수준
    미정의 필드길이의
    자릿수
    필드시작
    위치의
    자릿수
    실행
    위치의
    자릿수
    미지정
    엔트리맵의
    자릿수
    00-04 05 06 07-08 09 10 11 12-16 17 18-19 20 21 22 23
    레코드 길이 00-04
    레코드 상태 05
    레코드 유형 06
    미정의 07-08
    문자 부호화 체계 09
    지시기호 자릿수 10
    식별기호 자릿수 11
    데이터 기본번지 12-16
    입력 수준 17
    미정의 18-19
    필드길이의 자릿수 20
    필드시작 위치의 자릿수 21
    실행 위치의 자릿수 22
    미지정 엔트리맵의 자릿수 23
  • 디렉터리(Directory)

    한 레코드에서 각 가변길이 필드의 표시기호, 필드길이, 필드시작위치를 나타내는 일련의 항목이다. 디렉터리는 해당 레코드의 25번째 자수위치부터 시작된다. 디렉터리는 레코드 내에 있는 가변길이필드마다 하나씩 배정된 ‘디렉터리 항목’이라는 고정길이 필드로 구성된다. 가변길이제어필드에 대한 디렉터리 항목은 첫 번째로 나타나며 표시기호 순에 의해 순차대로 배열된다. 가변길이 데이터필드에 대한 항목은 표시기호에 의해 순차대로 배열된다. 저장된 가변길이 데이터필드의 순서는 반드시 디렉터리 항목의 순서대로 배열될 필요는 없다. 마지막 디렉터리 항목은 필드 종단기호로 끝난다.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디렉터리 항목 1 디렉터리 항목 2 ... 필드종단기호
    (FT)
    표시기호 필드길이 필드시작위치 표시기호 필드길이 필드시작위치 ...
    00-02 03-06 07-11
    디렉터리 항목 1 표시기호 00-02
    필드길이 03-06
    필드시작위치 07-11
    디렉터리 항목 2 표시기호
    필드길이
    필드시작위치
    ... ...
    필드종단기호
    (FT)
  • 가변길이필드(Variable fields)

    가변길이필드는 제어필드와 데이터필드로 구성되며 각각의 필드를 유형별 또는 기능별로 표시하는 표시기호가 부여된다. 제어필드는 00X 표시기호가 부여되며 지시기호와 식별기호 없이 데이터와 필드종단기호만으로 구성된다. 데이터필드는 00X 이외의 표시기호가 부여되며 지시기호와 식별기호, 데이터 및 필드종단기호로 구성된다. 표시기호는 디렉터리를 작성할 때 디렉터리로 옮겨지므로 가변길이필드에는 해당 필드의 지시기호부터 나오게 된다.

    데이터필드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지시기호 식별기호 1 데이터내용1 ... 식별기호 n 데이터 내용n 필드종단기호(FT)
    제1
    지시기호
    제2
    지시기호
    구분기호 데이터
    식별기호
    구분기호 데이터
    식별기호
    지시기호 제1 지시기호
    제2 지시기호
    식별기호 1 구분기호
    데이터 식별기호
    데이터내용1
    ...
    식별기호 n 구분기호
    데이터 식별기호
    데이터 내용n
    필드종단기호(FT)

    가변길이필드에는 가변길이제어필드와 가변길이데이터필드가 있다.

    • 가변길이제어필드(Variable control fields)

      00X 필드를 말한다. 이 필드는 디렉터리의 필드 표시기호로 식별이 가능하지만 지시기호나 식별기호를 갖지는 않는다. 가변길이제어필드는 가변길이데이터필드와 구조적으로 다르다. 즉 단일 데이터요소이거나 각각의 상대위치에 따라 성격이 결정되는 고정길이데이터요소로 구성된다.

    • 가변길이데이터필드(Variable data fields)

      가변길이제어필드 이외의 가변길이필드를 말한다. 이 필드는 디렉터리의 필드 표시기호로 식별되며, 각 필드의 시작위치에 두 자리의 지시기호를 가지며, 그 필드 내에서는 데이터요소마다 두 자리의 식별기호를 갖는다.

      가변길이필드는 표시기호의 첫 번째 숫자에 따라 0-9까지의 블록으로 나누어지며 표시기호에 의해 레코드 내의 기능을 식별할 수 있다. 필드에서 정보의 유형은 표시기호의 첫 번째 문자를 제외한 나머지 숫자에 의해 구분된다.

      • 0XX제어정보, 표준번호, 분류번호 등
      • 1XX표목(채택 및 비채택 표목)
      • 2XX복합 보라 참조
      • 3XX복합 도보라 참조
      • 4XX보라 부출
      • 5XX도보라 부출
      • 6XX총서처리, 복합이름참조, 주기
      • 7XX표목 연관저록
      • 8XX기타 가변길이 필드
      • 9XX로컬필드

      1XX, 4XX, 6XX, 7XX, 8XX 블록 내에서 표시기호의 뒷부분 두 자리의 숫자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X00개인명 X51지리명
      X10단체명 X55장르/형식
      X11회의명 X80일반세목
      X30통일표제 X81지리세목
      X48연대 X82연대세목
      X50주제명 X85형식세목

      가변길이데이터필드에는 지시기호와 식별기호 두 종류의 기호를 적용한다.

  • ▷ 지시기호(Indicator positions)

    표시기호가 나타내는 정보 이외의 정보를 추가하여 나타내고자 사용하는 기호로서 그 필드의 첫 번째 두 자리에 위치한다. 가변길이 데이터필드에서 처음 두 자리 문자위치에 기술되며 지시기호의 두 자리 값은 두 자리가 함께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라 각각 독립적인 의미를 가진다. 지시기호는 숫자 혹은 빈칸(ASCII Space)을 사용한다. 이 문헌에서는 빈칸 표시로 "b/"을 사용하였으며 빈칸은 지시기호가 정의되지 않은 것을 의미하거나 정의되어 있는 지시기호에서는 빈칸이 어떤 의미를 가질 수도 있고 해당정보가 없음을 나타내기도 한다.

  • ▷ 식별기호(Subfield codes)

    가변길이필드내의 각 데이터요소를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호로서, 각 데이터요소에 대하여 두 자리로 나타내며, 구분기호(ASCII 1F16) 한 자리와 ASCII 영문소문자나 숫자 한 자리를 사용한 데이터 식별기호로 구성되어 있다. 이 문헌에서는 KS X 1001(전 KS C 5601)에서 지원하는 해당 문자(▾)를 사용하였다. 식별기호는 데이터요소 식별을 위해 정의된 것으로, 배열과는 무관하다. 식별기호의 순서는 일반적으로 목록규칙과 같은 기준을 따른다.


표시기호와 식별기호의 반복성

표시기호와 식별기호는 반복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전거레코드는 단 하나의 1XX 필드를 가지며, 필드 100은 단 하나의 식별기호 ▾a(개인명)를 갖지만 식별기호 ▾c(이름과 관련된 칭호 및 기타 명칭)는 반복될 수 있다. 표시기호와 식별기호의 반복사용 가능여부는 반복이 가능한 경우에는 “반복”, 반복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반복불가”라고 해당 필드 및 식별기호에 표시하였다.


표시기호의 적용수준
해당 표시기호의 적용수준은 “필수”, “해당시필수”, “재량”으로 표시하였다.

  • ㅇ 필수(Mandatory) - 해당되는 내용의 유무에 관계없이 반드시 적용해야 하는 표시기호
  • ㅇ 해당시필수(Mandatory if applicable) - 해당되는 내용이 있는 경우 반드시 적용해야 하는 표시기호
  • ㅇ 재량(Optional) - 해당되는 내용이 있는 경우에도 적용여부를 재량으로 정할 수 있는 표시기호
    왼쪽은 표시기호 반복 여부를 오른쪽은 표시기호 적용수준을 나타낸다.

필드의 연결

전거레코드에서 각 필드는 연결기법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된 필드를 식별하기 위해 식별기호 ▾8(필드 링크와 일련번호)을 사용한다. 필드 링크와 일련번호의 구조와 체계는 “부록 A: 제어 식별기호”를 참조한다.


출력상수

출력상수는 데이터를 이용자에게 보다 의미 있는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해 시스템에서 처리하는 용어, 구, 띄어쓰기, 구두점에 관한 규정이다. 일부 표시기호나 지시기호(예: 4XX와 5XX의 부출필드), 식별기호(예: 확장주제명표목에서 주제명세목을 위한 식별기호인 ▾v, ▾x, ▾y, ▾z), 부호값(예: 연관저록필드의 ▾w/0)에서 출력상수를 별도로 정할 수 있다. 출력상수는 각 기관이나 시스템에서 결정한다. 출력상수에 대한 예시는 해당 표시기호에 제시되어 있다.


레코드 내용의 책임소재
모든 기관에서는 전거통제용 KORMARC 형식을 이용하여 전거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내용, 내용표시기호, 전거데이터의 표기에 대한 책임은 다음의 책임기관에서 나타내는 필드를 검토하여 결정된다. 그러나 일정 데이터 요소들의 내용은 기관이 부여하거나 각종 부호표에 데이터 요소가 있을 때 제한된다. 이는 008/39와 040(목록작성기관) 필드에 표시되며, 이러한 책임은 다음의 적용규칙에 따른다.
  • 책임을 나타내는 부문
    • - 수정되지 않은 레코드: 008/39와 040 필드의 ▾a(최초 목록작성기관)에 기재된 기관은 레코드 내용에 대해 책임을 진다. 040 필드의 ▾c(입력기관)는 데이터의 입력과 내용표시기호에 대해 책임을 진다.
    • - 수정된 레코드: 040 필드의 ▾a와 ▾d(수정기관)에 기재된 기관은 레코드 내용에 대하여 공동의 책임을 진다. 040 필드 ▾c와 ▾d의 입력기관과 수정기관은 입력된 데이터와 내용표시기호에 대해 공동의 책임을 진다.
  • 지정기관이 부여한 데이터요소

    010(미국국회도서관 제어번호) 필드와 같이 특정 기관에서 부여한 데이터 요소는 데이터를 부여한 기관에서 책임을 진다. 이 데이터 요소는 해당 기관에서 입력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다른 기관에서 입력할 수도 있다.

  • 각종 부호표의 데이터요소

    043(지역부호) 필드와 같이, 부호표에 있는 값을 입력해야 하는 데이터 요소가 있다. 부호표의 값을 변경하거나 추가하기를 원한다면 국립중앙도서관에 문의해야 한다.


레코드의 입력 수준

목록작성기관 간에 레코드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레코드의 입력 수준(최소수준, 완전수준)을 결정한다. 레코드의 입력 수준에 대한 정보는 협력기관에게 제공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