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설계원칙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KORMARC)-­소장정보용"은 소장정보를 컴퓨터에 축적하고 교환하는데 필요한 레코드의 구조와 내용식별, 데이터 내용 등에 관한 세부 명세(specification)를 제공한다. 레코드의 구조는 ISO 2709(Format for Information Exchange)와 ANSI/NISO Z39.2(Information Interchange Format)를 따르며, 내용식별은 본 표준에서 정의한다. 또한 소장데이터는 ISBD(International Standard Bibliographic Description)나 RDA(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 한국목록규칙, 그리고 소장레코드를 생산하는 기관에서 사용하는 분류표, 도서기호표, 소장처 표시 등을 준용하여 기술한다.

소장정보용 KORMARC에서는 연속간행물과 비연속간행물의 소장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표시기호, 지시기호, 식별기호와 부호 값을 정의한다. 데이터요소와 출력 형식은 ANSI/NISO Z39.711)(Holdings Statements for Bibliographic Items) 과 ISO 10324(Holdings Statements-Summary Level)에서 정의하는 바를 따른다.

범용성이 있는 서지기술이나 전거데이터와 달리, 소장정보는 다음과 같은 기관 고유의 정보를 포함한다.

1) ANSI/NISO Z39.71은 연속간행물과 비연속간행물로 구분되어 있던 ANSI Z39.44(Serial Holdings Statements)와 ANSI/NISO Z39.57(Holdings Statements for Non-Serial Items)을 통합한 표준이다.

1) 소장정보에 기록되는 서지자료의 유형

소장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서지자료의 유형은 다음 세 가지로 구분한다. 서지자료의 유형은 소장레코드의 리더/06(레코드 유형)에 부호로 표시한다.

2) 소장데이터 필드의 구성

소장데이터 필드는 다음 네 가지로 구분된다.
소장데이터 필드는 자료의 성격에 따라 다음 세 가지 범주로 구분된다.

소장정보용 KORMARC의 소장데이터 필드

구분 기본서지자료 부록 색인
권호 표시 및 형식 853 854 855
권호 및 연대 863 864 865
문장형 소장표시 866 867 868
개별자료 식별정보 876 877 878
  1. 기본서지자료는 연속간행물, 단권본, 다권본 백과사전 등과 같이 서지기술의 대상이 되는 개체를 말한다. 독립된 서지레코드에 작성된 부록이나 색인도 이 범주에 포함한다.
  2. 부록과 색인은 해당 자료에 대한 서지사항이 기본서지자료의 목록레코드에 포함되어 있고 부록이나 색인에 대한 별도의 목록레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개체를 말한다.

3) 소장정보의 기술방식

소장정보 기술방식은 ‘독립형’(separate holdings)과 ‘삽입형’(embedded holdings)으로 구분할 수 있다.
※ 본 표준은 독립형 소장레코드에 대한 설명이다.
  1. 독립형 소장레코드

    서지레코드와 별도로 소장정보를 독립된 레코드에 작성하는 방식으로, 리더, 디렉터리, 001, 004, 852 필드를 기본적으로 갖는다. 독립형 소장레코드는 004(관련 서지레코드 제어번호) 필드를 통해 서지레코드와 연결된다. 도서관 시스템 간에 소장정보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독립형 소장레코드를 배포하기 전에, 관련 서지레코드를 상대기관에 먼저 제공하여야 한다.
    독립형 소장레코드에 사용되는 필드는 다음과 같다.
    리더
    디렉터리
    001 제어번호
    003 제어번호 식별기호
    004 관련 서지레코드 제어번호
    005 최종처리일시
    008 부호화정보필드
    014 링크번호
    035 협력기관 제어번호
    842 물리적 형태의 문장형 기술
    843 복제본 주기
    844 단위자료명
    845 이용 및 복제에 관한 주기
    852 소장위치
    853/854/855 권호 표시 및 형식(기본서지자료/부록/색인)
    856 전자적 위치 및 접속
    863/864/865 권호 및 연대(기본서지자료/부록/색인)
    866/867/868 문장형 소장표시(기본서지자료/부록/색인)
    876/877/878 개별자료 식별정보(기본서지자료/부록/색인)
    독립형 소장레코드를 작성할 때에는 서지자료를 식별하기 위해 관련 서지레코드에 기술된 다음의 필드들을 소장레코드에 복사하여 기술한다.
    007 형태기술필드
    010 미국국회도서관 제어번호
    012 국립중앙도서관 제어번호
    016 국가서지기관 제어번호
    020 국제표준도서번호
    022 국제표준연속간행물번호
    024 기타 표준부호
    027 표준기술보고서번호
    030 코덴부호
    541 입수처 주기
    561 소유권 및 소장내력 주기
    562 사본/판본 식별 주기
    583 보존처리 주기
  2. 삽입형 소장정보

    별도의 소장레코드를 작성하지 않고 서지레코드 내에 소장정보를 기술하는 방식으로, 삽입형 소장정보에 사용되는 필드는 다음과 같다. 삽입형 방식에서는 852(소장위치) 필드만 필수이다.
    841 소장정보의 부호화 데이터
    843 복제본 주기
    845 이용 및 복제에 관한 주기
    852 소장위치
    856 전자적 위치 및 접속
    853/854/855 권호 표시 및 형식(기본서지자료/부록/색인)
    863/864/865 권호 및 연대(기본서지자료/부록/색인)
    866/867/868 문장형 소장표시(기본서지자료/부록/색인)
    876/877/878 개별자료 식별정보(기본서지자료/부록/색인)
  3. 852 필드(소장위치)의 사용에 따른 삽입형 및 독립형 방식의 적용

    852 필드는 소장자료의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 배가위치, 복본 수, 소장위치의 주소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852 필드의 사용에 따라 삽입형 소장정보 및 독립형 소장레코드의 기술방식은 다음과 같이 적용한다.

    (1) 하나의 852 필드만 존재하는 경우(single location field)
    서지자료의 소장위치가 한 곳인 경우 852 필드는 서지레코드 내에 삽입형 방식으로 기술할 수도 있고, 독립형 소장레코드에 기술할 수도 있다.

    (2) 복수의 852 필드가 존재하는 경우(multiple location field)
    복수의 서지자료를 가지고 있고 해당 자료의 소장위치와 청구기호가 다른 경우에는 852 필드를 반복하여 사용한다. 소장정보용 KORMARC에서는 852 필드 및 그와 관련된 소장정보 필드를 연결하기 위한 기법을 제공하지 않는다. 852필드와 그와 관련된 소장데이터 필드가 연결되기 위해서는 다음의 소장정보 레코드 유형에 해당되어야 한다.
    • 관련 필드가 없는 경우 복수의 852 필드가 존재하고 그와 관련된 소장데이터 필드가 없는 경우에는 이를 서지레코드 내에 삽입형 방식으로 기술하거나, 하나의 독립된 소장레코드 또는 복수의 독립된 소장레코드에 기술할 수 있다.
    • 관련 필드를 갖는 경우 하나 이상의 852 필드가 007, 841, 842, 844, 853-855, 86X, 87X 필드와 관련이 있는 경우, 852 필드 및 그와 관련된 필드는 하나의 세트(cluster)로 취급된다.
      이러한 세트가 하나인 경우에는 서지레코드 내에 삽입형 방식으로 기술하거나 독립된 소장레코드에 기술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세트가 이미 서지레코드 내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외의 세트를 함께 기술할 수 없다. 이런 경우에는 독립형 소장레코드를 작성해야 한다.
    • 관련 필드가 복수의 852 필드에 일괄 적용되는 경우 복수의 852 필드가 존재하나 그와 관련된 소장데이터 필드들이 852 필드 모두와 관련되어 있을 때는 하나의 세트로 취급된다. 따라서 이 세트는 서지레코드 내에 삽입형 방식으로 기술할 수도 있고, 아니면 독립된 소장레코드에 기술할 수도 있다.
  4. 압축(compression)과 확장(expansion)

    압축은 소장자료의 권호 및 연대를 처음과 마지막 권호 또는 연대 범위로 기술하는 방식을 말한다. 확장은 각각의 소장사항을 개별자료마다 상세하게 기술하는 방식이다.

    v.1-4 [압축형 표시]
    v.4:no.1(1993.1.) v.4:no.2(1993.3.) v.4:no.3(1993.5.) [확장형 표시]

    소장자료의 권호나 연대에 대한 압축 또는 확장은 결호가 없는 경우에는 컴퓨터 알고리즘에 의해 자동 생성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853-878 소장데이터­개요>를 참조한다.
    기본서지자료(863 필드)와 부록(864 필드)에 대한 권호 및 연대의 압축 또는 확장 표시는 <853-855 권호 표시 및 형식­개요>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색인(865 필드)에 대한 권호 및 연대는 기계적으로 압축 또는 확장하는 경우 소장사항이 모호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 생성하지 않는다.

4) 소장레코드의 구성요소

소장레코드는 리더, 디렉터리, 가변길이필드로 구성된다. 리더를 제외한 모든 필드의 끝에 필드 종단기호(ASCII 1E(16))를 기술하며, 이 문헌에서는 문자 형태(FT)를 사용하였다. 마지막 데이터 필드의 끝에는 필드 종단기호 다음에 레코드 종단기호(ASCII lD(16))를 기술한다. 이 문헌에서는 문자 형태(RT)를 사용하였다. 소장레코드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리더 디렉터리 가변길이필드
제어필드 1 FT 2 3 4 ... nFT 데이터필드 1 FT 2 3 4 ... nFT RT
  1. (1) 리더(Leader) 리더는 소장레코드의 첫 번째 필드로서 24자리로 편성된 고정길이 필드이며, 소장레코드의 처리에 관한 정보를 갖는다. 리더는 지시기호와 식별기호를 갖지 않으며 각각의 위치에 의해 성격이 결정된다.
  2. (2) 디렉터리(Directory) 디렉터리는 해당 레코드의 25번째 자수위치부터 시작되며 표시기호별로 필드의 길이, 필드의 시작위치를 가지고, 디렉터리 끝에는 필드종단기호 ASCII 1E(16)이 기입된다. 디렉터리는 지시기호와 식별기호를 갖지 않으며 시스템에서 자동 생성한다.
표시기호
00-02
필드길이
03-06
필드시작위치
07-11
... 필드종단기호
FT
  1. (3) 가변길이필드(Variable fields) 가변길이필드는 각각의 필드를 유형별 또는 기능별로 표시하는 표시기호가 부여되며, 제어필드와 데이터필드로 구성된다. 제어필드는 00X 표시기호가 부여되며 지시기호와 식별기호 없이 데이터와 필드종단기호만으로 구성된다. 데이터필드는 00X 이외의 표시기호가 부여되며 지시기호와 식별기호, 데이터 및 필드종단기호로 구성된다. 표시기호는 디렉터리 형성시 디렉터리로 옮겨지므로 가변길이필드에는 해당필드의 지시기호부터 나오게 된다. 데이터필드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지시기호 식별기호 1 데이터
내용1
... 식별기호 n 데이터
내용n
필드
종단
기호
FT
제1
지시기호
제2
지시기호
구분기호 데이터
식별기호
구분기호 데이터
식별기호
  1. 표시기호는 가변길이필드의 각 필드를 유형별 또는 기능별로 표시하고자 사용하는 부호로서 세 자리의 숫자로 구성된다.
  2. 지시기호는 표시기호가 나타내는 정보 이외의 정보를 추가하여 나타내고자 사용하는 부호로서 한 데이터필드에 대하여 두 자리의 지시기호를 사용한다.
  3. 식별기호는 가변길이 필드내의 각 데이터요소를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호로서 각 데이터요소에 두 자리로 나타내며, 구분기호 ASCII lF(16) 한 자리와 데이터 식별기호 한 자리로 구성된다.
  4. 종단기호는 각 필드와 레코드가 끝남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호로서 필드종단기호는 ASCII 1E(16)이 기입되며, 레코드 종단기호는 ASCII lD(16)이 기입된다.

5) 소장정보용 KORMARC의 내용식별기호

  1. (1) 표시기호 가변길이필드는 표시기호의 첫 번째 숫자에 따라 레코드 내의 기능을 식별할 수 있도록 그룹을 만들고, 데이터의 종류는 표시기호 나머지 문자로 구분하였다.
    • 0XX 제어정보, 식별정보 등
    • 3XX, 5XX, 84X 주기
    • 852, 856 소장위치와 접속
    • 853-878 소장데이터
    • 88X 변형문자 등
    853-878 소장데이터 필드는 표시기호의 마지막 두 자리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이 필드들은 권호 표시와 연대, 개별 자료 정보를 기술하는데 하위 식별기호가 동일하게 정의된다.
    • 853/863/876 기본서지자료
    • 854/864/877 부록
    • 855/865/878 색인
    가변길이 데이터필드는 지시기호와 식별기호를 사용한다.
  2. (2) 지시기호(Indicator positions) 표시기호가 나타내는 정보 이외의 정보를 추가하여 나타내고자 사용하는 부호이다. 하나의 데이터 필드에 두 자리의 지시기호를 사용한다. 가변길이 데이터필드에서 처음 두 자리 문자위치에 기술되며 지시기호의 값은 각각 독립적으로 해석된다. 지시기호는 숫자 혹은 빈칸(ASCII Space)을 사용한다. 이 문헌에서는 빈칸 표시로 "b/"을 사용하였으며, 빈칸은 지시기호가 정의되지 않은 것을 의미하거나 정의되어 있을 때는 어떤 의미를 갖거나 관련 정보가 없음을 나타낸다.
  3. (3) 식별기호(Subfield codes) 가변길이필드 내의 각 데이터요소를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호로서, 각 데이터요소에 대하여 두 자리로 나타내며, 구분기호 ASCII lF(16) 한 자리와 ASCII 영문 소문자나 숫자 한 자리를 사용한 데이터 식별기호로 구성되어 있다. 소장정보용 KORMARC에서는 KS X 1001에서 지원하는 문자 ▾를 사용하였다. 식별기호는 데이터요소의 식별을 위해 정의된 것으로서 배열과는 무관하다. 각 표시기호에서 데이터가 기술되는 순서에 따라 입력한다.

6) 표시기호 및 식별기호의 반복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