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다문자 레코드
부록 C에서는 다문자로 된 소장 데이터를 MARC 레코드로 기록할 때 적용되는 모델에 대해서 기술하고 예를 든다.
레코드의 데이터 내용(data content)에 여러 문자가 쓰였을지라도, 하나의 문자가 주요 문자로 간주된다.
1)
다문자 데이터의 일반적인 모델은 아래에서 기술한다.
-
A 모델: 자국어와 문자변환(Vernacular and transliteration)
상이한 문자로 된 데이터 및 자국어 문자로 된 데이터나 문자변환이 된 데이터를 일반 필드에 기술한다. 데이터를 원(原)자국어 문자(original vernacular script)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다른 문자로
변환한 문자로도 표현하기 위해서 880 필드를 사용한다. 연결이 되지 않는(unlinked) 880 필드가 있을 수도 있다.
-
B 모델: 단순 다문자 레코드(Simple multiscript records)
일반필드에 기술된 모든 데이터와 문자는 데이터의 요구사항에 따라 달라진다. 반복여부는 각 필드의 반복 명세에 따른다. 동일한 데이터가 원(原)자국어 문자(original
vernacular script)와 변환문자
두 가지로 기술되었다면, B 모델 레코드가 문자 변환이 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을지라도 A 모델을 우선 적용한다. 880 필드는 쓰이지 않는다.
일반 필드에서 A 모델의 데이터는 연관된 필드 양쪽 모두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기호 ▾6에 의해 880 필드의 데이터와 연결된다. 880 필드의 상세 사항은 해당 필드에 기술되어 있다.
문자 세트(character
sets)에 대한 상세 사항, 글자 레퍼토리(repertoires for scripts)는 MARC 21 "Specifications for Record Structure,
Character Sets, and
Exchange Media" (http://www.loc.gov/marc/specifications/spechome.html)에 제시되어 있다.
예시규칙 - 아래 레코드의 데이터를 실제 소장데이터에서 가져왔더라도, 이 레코드들은 소장의 목적으로 사용한 것이 아니라 단지 예를 든 것이다. 이 데이터에는 소장데이터
작성자와 확장문자(escape sequence)가
명시되어 있지 않다.
1) ASCII가 레코드의 구조요소로 쓰였고, 대부분의 부호화 된 데이터도 ASCII 문자 범위 안에서 명시된다.
-
A 모델 - 자국어와 문자변환 (MODEL A - VERNACULAR AND TRANSLITERATION)
목록언어 – 한국어(한글), 소장위치 언어 – 영어(라틴문자)의 예
아래의 다문자 레코드 예시는 A 모델을 적용한 것이다. 이 예시의 목록언어는 한국어(한글)이고, 소장위치를 영어(라틴문자)로 기재한 것이다.
- 040 b/b/▾a***▾bkor▾c***
- 852 b/b/▾6880-01▾a국립중앙도서관
- 880 b/b/▾6852-01/(B▾aGungnip Jungang Doseogwan
-
B 모델 - 단순 다문자 레코드 (MODEL B - SIMPLE MULTISCRIPT RECORDS)
목록언어 - 한국어(한글), 소장위치 언어 – 영어(라틴문자)의 예
아래의 다문자 레코드 예시는 B 모델을 적용한 것이다. 이 예시의 목록언어는 한국어(한글)이고, 소장위치를 영어(라틴문자)로 기재한 것이다.
- 040 b/b/▾a***▾bkor▾c***
- 852 b/b/▾a국립중앙도서관
- 852 b/b/▾aGungnip Jungang Doseogw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