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8 필드는 지시기호와 식별기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데이터 요소는 위치에 따라 정의된다.
00-05 입력일자 06 발행년유형
28 수정레코드
|
008 필드의 자릿수 위치 레코드의 유형과 관계없이 00-17, 26-28, 32, 35-39는 통합서지용 KORMARC 형식의 008 필드에 동일하게 정의된다. 008 필드의 18-25, 29-31, 33-34 자리는 리더/06의 레코드 유형과 리더/07의 서지수준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된다.
해당자료가 최초로 입력되는 일자를 6자리로 표시하며, 처음 2자리는 연도를 나타내고 나머지 4자리는 월과 일을 각각 2자리씩 나누어 나타낸다. 입력일자는 시스템이 자동 생성하며 데이터 수정이 있더라도 변경되지 않는다. 데이터 수정이 있거나 데이터에 변경이 생길 때에는 005 필드에 표시된다. 005 필드는 레코드가 최종적으로 언제 처리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 자리에는 채움문자(|) 표시를 하지 않는다.
발행년 유형부호는 알파벳 1자리로 표시하며 뒤이어 기술되는 발행년 1(07-10), 발행년 2 (11-14)에 따라 결정된다. 계속자료의 경우, 008/06에 주어진 부호는 간행상태를 나타내기도 한다. 008/06에 대한 부호 선택은 008/07-14에서 적합한 연도를 결정함으로써 동시에 만들어진다. 대부분의 레코드에서 이 데이터는 260(발행, 배포, 간사사항), 264(생산, 발행, 배포, 제작, 저작권표시), 362(권·연차, 연월차 사항) 필드의 정보로부터 얻는다. 발행연도는 4자리로 나타낸다. 발행연도가 불명인 경우, 문자 u로 표시한다.
연속적으로 발행되는 자료의 경우, 008/07-10 자리에는 출판물의 최초 연도(연도순)와 008/11-14 자리에 최종 발행 연도를 기술한다. 연속간행물의 복제 또는 영인 자료에 대해 기술부에 기술한 경우, 원본의 최초 연도와 최종 연도를 적용하여 입력한다.
부호적용 우선순위(단행자료) - 서지사항에 하나 이상의 발행연도에 대한 부호를 적용할 경우, 사용해야 할 적합한 부호 결정은 다음의 표에 의거한다. 앞에 열거된 부호가 뒤에 열거된 부호보다 우선하여 부여된다. 좌측의 부호는 한 해에 완전히 완성된 단일 자료와 다권 자료에 해당한다. 우측의 부호는 연도의 범위를 정해야 하는 다권 자료에 적용한다.
단일 연도에 완결된 단행/다권 자료 | 복수 연도에 걸쳐 완결된 집서/다권 자료 | ||
---|---|---|---|
b r e s p t q n |
기원전연도 복제연도/원본연도 상세 발행일 단일연도 배포연도/제작연도 발행연도/판권연도 추정연도 발행년 불명 |
b i k r m t n |
기원전연도 수집된 자료의 전체 포괄연도 수집된 자료 중 대다수 자료의 포괄 연도 복제연도/원본연도 복수연도 발행연도/판권연도 발행년 불명 |
규정 문자 - 발행년 1, 발행년 2는 보통 4자리로 구성되어 있다. 연도의 일부분을 알 수 없는 경우, 해당자리에는 "u"로 표시한다(예, 19??는 기술될 때 19uu로 표시). 만일 연도의 연대도 모를 경우, 천년 단위로 추정하여 표시한다(예, 1uuu). 일천년에 대하여 세기로 표시할 경우에는 오른쪽 자리부터 정의하여 사용되지 않는 자리에 아라비아 숫자 0을 입력한다(A.D. 946년은 0946으로 입력). 기원전 연도 기술과 같이 발행년 1이나 발행년 2를 적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모두를 빈칸으로 입력한다(예, b/b/b/b/). 계속 발행되고 있는 연속간행물이나 연속적이지는 않지만 다권자료로 계속 발행되는 자료의 경우, 008/11-14의 자리는 자료가 아직 완결되지 않았음을 나타내기 위해 9999로 표시된다. 채움문자(|)는 발행연도를 부호화 하지 않을 경우 008/06(발행년유형), 008/11-14(발행년 2)에 사용할 수 있으나 008/07-10(발행년 1) 자리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008/11-14에서 채움문자(|)를 사용할 때는 4자리수 모두에 채움문자를 사용하여야 한다. 채움문자(|)와 다른 문자를 혼합해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
발행년 유형과 발행년 1, 발행년 2에 입력되는 연도와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발행년 1은 4자리로 표시하며 발행년 유형에서 정의된 내용에 따라 기술한다.
008/07-10에서 연도를 결정하는 것은 008/06에 대한 부호 선택과 동시에 만들어진다.
이 자리에는 채움문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발행년 2는 4자리로 표시하며 발행년 유형에서 정의된 내용에 따라 기술한다.
008/11-14에서 연도를 결정하는 것은 008/06에 대한 부호 선택과 동시에 만들어진다.
이 자리에는 채움문자(||||)를 사용할 수 있다.
발행국명은 2자리 또는 3자리로 표시하며 해당 자료가 발행된 국가의 부호를 기술한다. 한국은 3자리의 부호로 나타내며 기타 각국은 2자리의 부호를 좌측으로 맞추고 1자리는 빈칸(b/)으로 채운다(부속서 1. 발행국부호표 참조). 발행국부호표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관리한다. 발행국부호표는 미국국회도서관 편 "MARC Code List for Countries"를 기초로 작성하였다. 이 자리의 정보는 일반적으로 260, 264 필드와 관련이 있다. 044(발행/제작국명 부호) 필드의 ▾a에 기술되는 첫 번째 부호는 008/15-17 자리에 기록된다. 3자리의 채움문자(|||)는 유효한 부호를 대신해서 사용될 수 있으나 008/15-17 자리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008 필드의 데이터 요소는 검색과 여러 시스템에서의 복본조사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 자리에는 채움문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부호가 2자리로 된 경우에는 왼쪽부터 자리를 채우고 사용되지 않는 자리는 빈칸(b/)으로 남겨둔다. 원자료의 크기로 복제된 자료의 경우, 부호는 자료가 재판(再版)된 행정관할구역에 기초하여 부여하는 것이지 원본출판물이 발행된 지역의 행정구역명에 대하여 부여하는 것이 아니다. 녹음자료의 경우 녹음회사가 위치해 있는 소재지를 부호로 부여한다. 원본 그래픽자료나 역사적 그래픽자료와 같은 화상자료(still images)의 경우, 사진자료에서처럼 지리 정보를 추론할 수 있다면 이 자리에 발행국명을 기술할 수 있다. 기록영상(archival moving images)의 경우, 257 필드의 제작국명을 부호로 부여한다. 대량생산된 비디오녹화자료의 경우, 260(발행,배포,간사사항) 필드의 발행처를 부호로 부여한다.
출판처/복제처/작성처 어느 하나도 알 수 없는 경우, 부호는 xx를 적용한다.
둘 이상의 발행처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첫 번째 행정지역명은 008/15-17에 부호를 부여한다. 부가되는 부호는 044(발행/제작국명부호표) 필드에 기록한다
시청각자료와 녹음자료 중 둘 이상의 나라에서 생산된 경우, 첫 번째 나타나 있는 발행처의 국명을 008/15-17에 기술한다. 044(발행/제작국명부호) 필드에 첫 번째 발행처에 해당하는 국가에 대한 부호를 반복하여 기술하고 이어서 두 번째 이하의 발행처에 해당하는 국명의 부호를 기술한다.
연속간행물 및 연속적으로 발행된 전자자료에 대해서는 발행국명 부호에 가장 최신 자료의 발행지를 기술한다. 만약 레코드가 후에 갱신되어 발행지가 바뀌면 주기에 변경 내용을 기술하고 발행처를 갱신한다.
복합자료의 경우에는 자료가 모여 있는 저장소, 즉 문고가 위치해 있는 곳을 기호로 부여한다.
한국대학부호는 2자리로 표시하며 대학에서 간행된 자료에 대하여 기술한다. 여기에는 학위논문도 대학간행물로 간주하여 포함한다.
대학간행물이 아닌 경우 빈칸(b/)으로 채운다(부속서 2. 한국대학부호표 참조).
이 자리에는 채움문자(||)를 사용할 수 있다.
수정레코드는 1자리로 표시하며 레코드 생성 시 서지정보의 일부분이 단축되었거나, 입력이 불가능한 특수문자·수학기호·부호 등이 생략된 경우, 서지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기계적 한계로 인하여 한글이나 로마자로 풀어서 입력하는 등 데이터의 단축 또는 변형이 발생하였을 때 그 유형을 나타낸다. 채움문자(|)는 이 자리에 부호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적용한다.
사용되는 부호는 다음과 같다.
목록전거는 레코드의 원목(original cataloging source) 정보를 1자리로 표시하여 나타낸다. 목록의 정보원을 알 수 있는 경우 040 필드의 식별기호 ▾a에 기술한다. 이 부호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기관에서는 채움문자(|)를 적용한다.
해당자료에 사용된 언어는 3자리로 나타낸다. 이 부호는 국립중앙도서관이 관리하는 언어구분부호표에 의거하여 부여된다(부속서 3. 언어구분부호표 참조). 부호의 선택은 해당자료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언어에 기초하여 부여한다. 이 자리를 사용하지 않기로 한 경우 채움문자(|||)를 적용한다.
문자자료에 대한 언어부호는 해당자료의 본문에 기초하여 부여한다. 본문(text)이라는 용어는 서문, 서언, 부록 등을 제외한 출판물 내에 포함된 주요 저작을 말한다.
전자자료에 대한 언어부호는 데이터 및 이용자 인터페이스에 표기된 언어에 기초하여 008/35-37 자리에 부여한다(예, 문자로 디스플레이되는 자료, 들을 수 있도록 언어로 출력되는 자료). 프로그래밍 언어는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지도자료에 대한 언어부호는 지도나 구체(球體)상의 지명, 본문의 언어에 기초하여 부호를 부여한다.
음악/녹음자료의 경우, 악보나 녹음자료에 수록된 노래나 소리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언어의 해당 부호를 008/35-37 자리에 부여한다.
시청각자료의 경우, 언어부호는 자료의 유형에 따른다.
영상자료(moving image)의 경우, 사운드트랙, 딸림 녹음자료(accompanying sound), 수화의 언어에 기초하여 부호를 부여한다. 소리(sound)나 수화 콘텐츠가 없는 영상자료, 또는 소리는 있지만 내레이션이 없는 영상자료의 경우에는 zxx 부호(언어콘텐츠 없음)를 사용한다.
필름스트립과 슬라이드의 경우에는 필름에 기술된 문자, 딸림 녹음자료(accompanying sound), 또는 딸림 인쇄 대본(소리가 없거나 소리는 있지만 내레이션이 없는 저작물의 경우)을 기초로 언어 부호를 부여한다.
원본 그래픽자료나 역사적 그래픽자료, 오패크와 오패크가 아닌 그래픽자료, 3차원 자료를 포함한 기타 화상자료(still image)의 경우에는 해당 자료와 관련된 언어를 기초로 언어 부호를 부여한다. 으뜸정보원의 부분인 개별자료나 컬렉션과 관련된 캡션이나 기타 설명자료 등에 기초하여 언어부호를 부여하는 것이 그 예이다.
복합자료의 경우는 해당자료나 컬렉션의 자료 중 우위를 차지하는 언어에 기초하여 언어부호를 부여한다.
한 가지 언어로 되어 있는 경우, 그 언어를 부호로 부여한다.
둘 이상의 언어로 되어 있는 경우, 우선하는 언어의 부호를 008/35-37에 부여하고 우선하는 언어를 포함하여 나머지 언어에 대한 부호는 041(언어부호) 필드에 기술한다. 008/35-37에 부여된 언어부호는 041(언어부호) 필드의 식별기호 ▾a 또는 ▾d(녹음자료의 경우)에 기술하는 첫 번째 언어부호와 동일하다.
우선하는 언어가 없는 경우, 언어부호는 041 필드에 영어 알파벳순으로 기술하고 008/35-37 자리에는 제일 첫 번째로 기술되는 언어부호를 부여한다.
번역물에 대한 서지레코드를 구축할 경우, 원본의 언어가 아니라 번역물의 언어에 대한 부호를 008/35-37 자리에 부여한다(원본에 대한 언어부호는 041 필드의 ▾h에 기술한다).
한국정부기관부호는 2자리로 표시하며 한국정부기관에서 발행한 자료에 대하여 기술한다.
해당사항이 없으면 빈칸(b/)으로 채운다(부속서 4. 한국정부기관부호표 참조).
이 부호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기관에서는 채움문자(||)를 적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