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8 - 공통
  • 반복불가
  • 필수

지시기호 및 식별기호

이 필드에서는 지시기호와 식별기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데이터 요소는 위치에 따라 정의된다.

00-05 입력일자

06 발행년유형
  • b 기원전연도
  • | 부호화하지 않음
  • 단일연도
  • e 상세 발행일
  • s 단일연도
  • 복수연도
  • i 수집된 자료의 전체 포괄연도
  • k 수집된 자료 중 대다수 자료의 포괄연도
  • m 복수연도
  • p 배포연도/제작연도
  • r 복제연도/원본연도
  • t 발행연도/판권연도
  • 연도를 알 수 없는 경우
  • n 발행년불명
  • q 추정연도
  • 연속간행물
  • c 계속 간행되고 있는 간행물
  • d 종간된 간행물
  • u 간행상태를 알 수 없음
07-10 발행년 1
  • (자릿수별 설명 참조)
11-14 발행년 2
  • (자릿수별 설명 참조)
15-17 발행국명
  • (자릿수별 설명 참조)
18-25 특정자료종별
  • (008/18-25 부문 중 해당부분 참조)
26-27 한국대학부호(고서는 미정의)

28 수정레코드
  • b/ 변형없음
  • b 문자를 빈칸(b/)으로 입력한 경우
  • h 한자를 한글로 입력한 경우
  • r 로마자 이외의 문자를 로마자로 입력한 경우
  • s 레코드의 단축
  • x 한자 이외의 문자를 한글로 변형 입력한 경우
  • | 부호화하지 않음
29-31 특정자료종별
  • (008/29-31 부문 중 해당부분 참조)
32 목록정보원
  • b/ 국가서지작성기관
  • a 자관
  • c 협력기관
  • d 기타 기관
  • u 미상
  • | 부호화하지 않음
33-34 특정자료종별
  • (008/33-34 부문 중 해당부분 참조)
35-37 언어
  • b/b/b/ 해당정보 없음
  • mul 복수 언어
  • sgn 수화
  • und 미상
  • zxx 언어콘텐츠 없음
  • ||| 부호화하지 않음
38-39 한국정부기관부호(고서는 미정의)

정의와 범위

레코드 유형과 관계없이 008 필드의 자릿수 위치 00-17, 26-28, 32, 35-39는 동일하게 정의된다. 008 필드의 18-25, 29-31, 33-34 자리는 리더/06의 레코드 유형과 리더/07의 서지수준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된다.

적용지침

■ 자수위치
/00-05 입력일자

해당 자료가 최초로 입력되는 일자를 6자리로 표시하며, 처음 2자리는 연도를 나타내고 나머지 4자리는 월과 일을 각각 2자리씩 나누어 나타낸다. 입력일자는 시스템이 자동 생성하며 데이터 수정이 있더라도 변경되지 않는다. 데이터 수정이 있거나 데이터에 변경이 생길 때에는 005 필드에 표시된다. 005 필드는 레코드가 최종적으로 언제 처리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 자리에는 채움문자(|) 표시를 하지 않는다.

/06 발행년 유형

발행년 유형부호는 알파벳 1자리로 표시하며 뒤이어 기술되는 발행년 1(07-10), 발행년 2(11-14)에 따라 결정된다. 계속자료의 경우, 008/06에 주어진 부호는 간행상태를 나타내기도 한다. 008/06에 대한 부호 선택은 008/07-14에서 적합한 연도를 결정함으로써 동시에 만들어진다. 대부분의 레코드에서 이 데이터는 260(발행, 배포, 간사 사항), 264(생산, 발행, 배포, 제작, 저작권표시), 362(권호차, 연월차 사항) 필드의 정보로부터 얻는다. 발행연도는 4자리로 나타낸다. 발행연도가 불명인 경우, 문자 u로 표시한다.

연속적으로 발행되는 자료의 경우, 008/07-10 자리에는 출판물의 최초 연도(연도순)와 008/11-14 자리에 최종 발행연도를 기술한다. 연속간행물의 복제 또는 영인 자료에 대해 기술부에 기술한 경우, 원본의 최초 연도와 최종 연도를 적용하여 입력한다.

부호적용 우선순위(단행자료) - 서지사항에 하나 이상의 발행연도에 대한 부호를 적용할 경우, 사용해야 할 적합한 부호 결정은 다음의 표에 의거한다. 앞에 열거된 부호가 뒤에 열거된 부호보다 우선하여 부여된다. 왼쪽의 부호는 한 해에 완전히 완성된 단일 자료와 다권 자료에 해당한다. 오른쪽의 부호는 연도의 범위를 정해야 하는 다권 자료에 적용한다.

단일 연도에 완결된 단행/다권 자료 복수 연도에 걸쳐 완결된 집서/다권 자료
b
r
e
s
p
t
q
n
기원전 연도
복제연도/원본연도
상세 발행일
단일연도
배포연도/제작연도
발행연도/판권연도
추정연도
발행년 불명
b
i
k
r
m
t
n
기원전 연도
수집된 자료의 전체 포괄연도
수집된 자료 중 대다수 자료의 포괄 연도
복제연도/원본연도
복수연도
발행연도/판권연도
발행년 불명

규정 문자 - 발행년 1, 발행년 2는 보통 4자리로 구성되어 있다. 연도의 일부분을 알 수 없는 경우, 해당자리에는 ‘u’로 표시한다(예: 19??는 기술될 때 19uu로 표시). 만일 연도의 연대도 모를 경우, 천년 단위로 추정하여 표시한다(예: 1uuu). 일천년에 대하여 세기로 표시할 경우에는 오른쪽 자리부터 정의하여 사용되지 않는 자리에 아라비아 숫자 0을 입력한다(기원후 946년은 0946으로 입력). 기원전 연도 기술과 같이 발행년 1이나 발행년 2를 적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모두를 빈칸으로 입력한다(예, b/b/b/b/). 계속 발행되고 있는 연속간행물이나 연속적이지는 않지만 다권자료로 계속 발행되는 자료의 경우, 008/11-14의 자리는 자료가 아직 완결되지 않았음을 나타내기 위해 9999로 표시된다. 채움문자(|)는 발행연도를 부호화 하지 않을 경우 008/06(발행년 유형), 008/11-14(발행년 2)에 사용할 수 있으나 008/07-10(발행년 1) 자리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008/11-14에서 채움문자(|)를 사용할 때는 4자릿수 모두에 채움문자를 사용하여야 한다. 채움문자(|)와 다른 문자를 혼합해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
발행년 유형과 발행년 1, 발행년 2에 입력되는 연도와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 b - 기원전 연도
    자료와 관련 있는 하나 이상의 연도가 기원전 연도인 경우 기술하되, 발행년 1과 발행년 2에 빈칸(b/)으로 채운다. 기원전 연도 정보는 046(기원전 연도) 필드에 기술한다.
    • 008/06 b
    • 008/07-10 b/b/b/b/
    • 008/11-14 b/b/b/b/
    • 260 b/b/▾a경주 :▾b[발행처불명,▾c150-100 B.C.]
  • c - 계속 간행되고 있는 간행물(Continuing resource currently published)
    간행물이 현재 계속 간행되고 있는 경우, 008/07-10(발행년 1)에는 최초 연도를, 008/11-14(발행년 2)에는 계속 간행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9999를 기술한다. 계속 간행여부가 불확실한 경우, 최종 간행된 호수 이후 3년까지는 계속으로 보며 3년이 경과되면 ‘종간’으로 간주할 수 있다.
    • 008/06 c
    • 008/07-10 1988
    • 008/11-14 9999
    • 260 b/b/▾a서울 :▾b국립중앙도서관,▾c1988-
    • 008/06 c
    • 008/07-10 1953
    • 008/11-14 9999
    • 260 b/b/▾a서울 :▾b고려대학교 출판부,▾c[1953]-
    • 362 1b/▾a1953년 창간.▾z한국잡지총람 참조
    • 008/06 c
    • 008/07-10 195u
    • 008/11-14 9999
    • 500 b/b/▾aVol. 2, no. 2 (1956. 2월호)에 근거하여 기술함
      [최초 발행연도를 알 수 없는 경우]
    • 008/06 c
    • 008/07-10 1967
    • 008/11-14 9999
    • 362 0b/a1966/67-
      [2개 연도를 포괄하는 경우 나중 연도(1967) 입력]
    • 008/06 c
    • 008/07-10 1979
    • 008/11-14 9999
    • 260 b/b/▾aSeattle :▾bDepartment,▾c1980-
    • 362 0b/▾a1978/79-
      [Biennial report for 1978/79 (1980-)]
      [발행 연도보다 권호 연도(1979) 입력. 008 필드와 260 필드의 발행년이 일치하지 않는 예시]
  • d - 종간된 간행물(Continuing resource ceased publication)
    연속간행물이 종간된 경우, 발행년 1에는 창간연도를, 발행년 2에는 종간연도를 기술한다. 이에 따라 008/06(발행년 유형) 부호도 c에서 d로 고쳐 기술하고, 9999로 기술되어 있는 008/11-14(발행년 2)에는 종간연도를 기술한다.
    • 008/06 d
    • 008/07-10 1976
    • 008/11-14 1995
    • 260 b/b/▾a서울 :▾b삼익악기,▾c1976-1995
    • 008/06 d
    • 008/07-10 19uu
    • 008/11-14 1929
    • 260 b/b/▾a서울 :▾b서울대학교,▾cb/b/b/b/-1929
      [시작연도를 알 수 없으나 추정할 수 있는 경우]
  • e - 상세 발행일(Detailed date)
    연도에 부가하여 월(가능한 경우 일)까지 상세한 발행일자를 기술할 필요가 있는 경우, 발행년 1에는 연도 4자리, 발행년 2에는 월일을 각각 2자리씩 기술한다. 일자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빈칸(b/)으로 표시한다. 시청각자료에서는 텔레비전 방송을 녹화한 자료의 원래 방영일자가 기술될 수 있다.
    • 008/06 e
    • 008/07-10 1983
    • 008/11-14 0615
    • 260 b/b/▾a서울 :▾b문교부,▾c1983. 6. 15
    • 008/06 e
    • 008/07-10 1977
    • 008/11-14 05b/b/
    • 260 b/b/▾a서울 :▾b을지문화사,▾c1977. 5
      [출판연월까지만 알 수 있기 때문에 날짜를 적용할 수 없는 경우]
  • i - 수집된 자료의 전체 포괄연도(Inclusive dates of collection)
    개인문고처럼 의도적으로 수집된 자료(collection) 전체를 포괄하는 연도 또는 그 연도 범위를 기술한다. 008/07-10(발행년 1)에는 수집된 자료의 가장 빠른 연도를, 008/11-14(발행년 2)에는 자료의 가장 늦은 연도를 기술한다. 다만 전체를 포괄하는 연도가 단일연도일 경우에는 발행년 1과 발행년 2에 해당연도를 모두 기술한다. 수집된 자료 하나 하나가 출판된 자료로 구성되어 있든지 아니든지 간에 수집된 자료(collection) 자체를 출판 형태로 간주하지 않는다. 다권자료는 수집된 자료(collection)로 취급하지 않는다(부호 m 참조).
    이 부호는 주로 문서자료에 사용된다.
    • 008/06 i
    • 008/07-10 1765
    • 008/11-14 1770
    • 260 b/b/▾a漢城 :▾b[發行處不明],▾c1765-1770
    • 008/06 i
    • 008/07-10 18uu
    • 008/11-14 1890
    • 260 b/b/▾a漢城 :▾b[發行處不明],▾c[18--?]-1890
  • k - 수집된 자료 중 대다수 자료의 포괄연도(Range of years of bulk of collection)
    개인문고처럼 의도적으로 수집된 자료(collection)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자료와 관련된 연도 또는 연도의 범위를 008/07-10과 008/11-14 자리에 기술한다. 수집된 자료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자료의 연도(bulk dates)가 단일연도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단일연도를 발행년 1, 2 자리에 모두 기술한다. 수집된 자료 하나 하나가 출판된 자료로 구성되어 있든지 아니든지 간에 수집된 자료(collection) 자체를 출판된 형태로 간주하지 않는다. 다권자료는 수집된 자료(collection)로 취급하지 않는다.(부호 m 참조)
    • 008/06 k
    • 008/07-10 1796
    • 008/11-14 1896
    • 260 b/b/▾a慶州 :▾b慶州府,▾c1796-1896
    • 008/06 k
    • 008/07-10 1854
    • 008/11-14 1854
    • 260 b/b/▾a陜川郡 :▾b海印寺,▾c1854
  • m - 복수연도(Multiple dates)
    008/07-10과 008/11-14 자리에 다권자료의 발행연도 범위를 기술한다. 008/07-10 자리에는 보통 시작연도를, 008/11-14 자리에는 마지막 연도를 기술한다. 단일연도에 발행된 다권자료에 대한 발행년 유형에는 부호 s를 적용한다. 여러 해에 걸쳐 완성된 원화나 예술작품의 제작 시작연도와 제작 종료연도에 추정연도를 적용할 경우 부호 m을 적용한다.
    • 008/06 m
    • 008/07-10 1972
    • 008/11-14 1975
    • 260 b/b/▾a서울 :▾b연세대학교,▾c1972-1975
    • 008/06 m
    • 008/07-10 uuuu
    • 008/11-14 1981
    • 260 b/b/▾a서울 :▾b대한출판문화협회,▾c -[1981]
      [최초 발행자료를 가지고 있지 않은 다권자료]
    • 008/06 m
    • 008/07-10 1943
    • 008/11-14 197u
    • 260 b/b/▾a경성 :▾b경성제국대학,▾c1943-[197-?]
      [최종 호의 발행연도를 알 수 없는 다권자료]
  • n - 발행년 불명(Dates unknown)
    008/07-10과 008/11-14 자리에 적합한 발행연도를 알 수 없는 경우 발행년 1과 발행년 2를 모두 u로 채운다(예: 260 필드에 발행년이 없는 경우).
    • 008/06 n
    • 008/07-10 uuuu
    • 008/11-14 uuuu
    • 260 b/b/▾a[부산] :▾b해양대학교,▾c[발행년불명]
    • 008/06 n
    • 008/07-10 uuuu
    • 008/11-14 uuuu
      [자연상태의 실물자료는 260필드를 기술하지 않는다.]
  • p - 배포연도/제작연도(Date of distribution/release/issue and production/recording session when different)
    배포년과 제작년이 다른 경우 발행년 1은 배포년(배포, 개봉, 발행연도)을, 발행년 2는 제작년(생산, 녹음연도)을 기술한다. 발행년 2가 여러 개 나타날 경우 가장 빠른 연도를 기술한다. 전자자료의 경우 부호 p는 보통 대리점을 통해 출시된 연도와 기계가독형식으로 처리된 제작연도가 다른 경우에 적용한다. 동화상자료에 대해서는 다른 매체로 된 동일한 콘텐츠가 원작보다 나중에 만들어진 경우 부호 p를 적용한다(예: 원래 2000년 영화로 제작된 것이 2001년에 비디오녹화자료로 만들어진 경우). 이 경우 부가 영상이나 자막 등의 추가 없이 원래의 영화와 내용이 동일하게 제작된 경우에 적용한다.
    • 008/06 p
    • 008/07-10 2001
    • 008/11-14 2000
    • 260 b/b/▾a서울 :▾b강제규필름,▾c2000 :▾b[세음미디어 배포],▾c2001
  • q - 추정연도(Questionable date)
    단일연도 자료의 정확한 발행연도는 알 수 없으나 일정한 연도의 범위를 정할 수 있는 경우 발행년 1에는 시작 추정연도, 발행년 2에는 마지막 추정연도 사이를 기술한다. 추정연도가 단일연도인 경우에는 부호 s를 적용하고, 추정연도에 범위가 있는 경우에는 부호 q를 적용한다.
    • 008/06 q
    • 008/07-10 1963
    • 008/11-14 1966
    • 260 b/b/▾a서울 :▾b 서울대학교,▾c[1963-1966사이]
  • r - 복제연도/원본연도(Reprint/reissue date and original date)
    재판된 자료의 연도와 원본의 발행연도를 알 수 있다면, 008/07-10 자리에 복제 또는 재발행연도를, 008/11-14 자리에 원본연도를 기술한다. 원자료에 제작연도가 복수연도로 나타나 있는 경우, 008/11-14 자리에 더 빠른 연도를 기술한다. 원본 사진자료가 있으면서 처음 단계에서 만들어진 음화자료로부터 나중에 만들어진 사진인쇄자료에 대한 연도를 기술한다. 원본 인쇄자료가 있으면서 보통은 작가 사후에 이전에 만들었던 판이나 판목으로부터 다시 찍어낸 자료의 연도를 기술한다. 이런 경우, 발행년 1에 재판 또는 복제물의 연도를 기술하고 발행년 2에는 원본의 발행연도를 기술한다.
    원본의 발행연도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발행년 2를 u로 채운다.
    • 008/06 r
    • 008/07-10 1983
    • 008/11-14 1857
    • 260 b/b/▾aBoston :▾b[s.n.,▾c1983?]
    • 500 b/b/▾aOriginal version: Pittsburgh, Pa. : W'm Schuchman & Bro. Lith., [1857]
    • 008/06 r
    • 008/07-10 uuuu
    • 008/11-14 1963
    • 260 b/b/▾aNew York :▾b[s.n.,▾cn.d.]
    • 500 b/b/▾aPreviously published in 1963
  • s - 단일연도(Single known date/probable date)
    4자리로 나타날 수 있는 배포, 출판, 개봉, 생산, 실행, 저술연도가 단일연도로 구성된 경우에 적용한다. 이 연도는 008/07-10 자리에 부여되고 008/11-14 자리는 빈칸으로 처리한다. 해당 자료의 단일연도는 실제 연도일 수도 있고 근사치 또는 발행연도 불명인 경우에는 추정연도일 수도 있다. 해당 자료의 제작연도가 단일연도인 경우, 원화나 역사적인 그림자료와 같이 출판되지 않는 자료에도 단일연도를 적용한다.
    • 008/06 s
    • 008/07-10 1998
    • 008/11-14 b/b/b/b/
    • 260 b/b/▾a서울 :▾b나남출판,▾c1998
    • 008/06 s
    • 008/07-10 1990
    • 008/11-14 b/b/b/b/
    • 260 b/b/▾a서울 :▾b음악춘추사,▾c[1990]
    • 008/06 s
    • 008/07-10 19uu
    • 008/11-14 b/b/b/b/
    • 260 b/b/▾a서울 :▾b일신서적공사,▾c[19--?]
      [그 세기의 어느 해로 추정할 때]
    단일자료의 추정연도는 q를 적용하고, 단일자료가 복수연도에 걸쳐 발행된 경우에는 부호 m을 적용한다.
    수집된 자료(collection)가 단일연도 자료이거나 복수연도에 걸친 자료인 경우에는 ‘수집된 자료 중 대다수 자료의 포괄연도(k)’나 ‘수집된 자료의 전체 포괄연도(i)’를 참조한다.
    그림자료처럼 여러 해에 걸쳐 완성된 출판형식이 아닌 자료에 대해서도 발행년 유형은 s를 적용한다.
    도서의 경우 최초 발행년과 제작년 또는 인쇄년이 다를 경우에도 발행년 유형은 s를 적용한다.
    비디오녹화자료의 경우 판권년만 있거나 추정 발행년을 입력해야 할 경우에도 발행년 유형은 s를 적용한다.
  • t - 발행연도/판권연도(Publication date and copyright date)
    발행년과 판권년이 각각 다르게 나타날 경우 008/07-10(발행년 1)에는 발행, 출시, 생산, 실행(publication, release, production, execution)연도를, 008/11-14(발행년 2)에는 저작권 표시 연도나 음반 저작권 표시 연도를 각각 기술한다.
    발행년과 판권년이 같을 경우 발행년 유형부호는 s를 적용한다.
    • 008/06 t
    • 008/07-10 1992
    • 008/11-14 1990
    • 260 b/b/▾a서울 :▾b삼중당,▾c1992, c1990
    • 008/06 t
    • 008/07-10 1970
    • 008/11-14 1958
    • 260 b/b/▾aNew York :▾bTime Life Books,▾c1970, c1958
  • u - 간행상태를 알 수 없음(Continuing resource status unknown)
    자료의 계속 간행여부를 알 수 없는 경우, 008/07-10(발행년 1)에는 시작연도를 기술한다. 최종연도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008/11-14(발행년 2)에 ‘uuuu’를 기술한다.
    • 008/06 u
    • 008/07-10 1948
    • 008/11-14 uuuu
    • 362 0b/▾a서울 :▾b단국대학교,▾c1948-
    • 008/06 u
    • 008/07-10 19uu
    • 008/11-14 uuuu
    • 260 b/b/▾a서울 :▾b高麗館,▾c[19--]-
    • 500 b/b/▾a제26권 제3호(1983년) 자료에 근거하여 기술함
    • 008/06 u
    • 008/07-10 1uuu
    • 008/11-14 uuuu
      [발행년에 대한 정보가 어디에도 없는 경우]
  • | - 부호화하지 않음
/07-10 발행년 1

발행년 1은 4자리로 표시하며 발행년 유형에서 정의된 내용에 따라 기술한다.
008/07-10에서 연도를 결정하는 것은 008/06에 대한 부호 선택과 동시에 만들어진다. 이 자리에는 채움문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11-14 발행년 2

발행년 2는 4자리로 표시하며 발행년 유형에서 정의된 내용에 따라 기술한다.
008/11-14에서 연도를 결정하는 것은 008/06에 대한 부호 선택과 동시에 만들어진다. 이 자리에는 채움문자(||||)를 사용할 수 있다.

/15 - 17 발행국명

발행국명은 2자리 또는 3자리로 표시하며 해당 자료가 발행된 국가의 부호를 기술한다. 한국은 3자리의 부호로 나타내며 기타 각국은 2자리의 부호를 왼쪽 자리부터 채우고 오른쪽 1자리는 빈칸(b/)으로 채운다(<부속서 1. 발행국부호표> 참조). 발행국부호표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관리한다. 발행국부호표는 미국의회도서관 편 ‘MARC Code List for Countries’를 기초로 작성하였다. 이 자리의 정보는 일반적으로 260, 264 필드와 관련이 있다. 044(발행/제작국명부호) 필드의 ▾a에 기술되는 첫 번째 부호는 008/15-17 자리에 기록된다. 3자리의 채움문자(|||)는 유효한 부호를 대신해서 사용될 수 있으나 008/15-17 자리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008 필드의 데이터 요소는 검색과 여러 시스템에서의 복본조사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 자리에는 채움문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부호가 2자리로 된 경우에는 왼쪽부터 자리를 채우고 사용되지 않는 자리는 빈칸(b/)으로 남겨둔다. 원자료의 크기로 복제된 자료의 경우, 부호는 자료가 재판(再版)된 행정관할구역에 기초하여 부여하는 것이지 원본출판물이 발행된 지역의 행정구역명에 대하여 부여하는 것이 아니다. 녹음자료의 경우 녹음회사가 위치해 있는 소재지를 부호로 부여한다. 원본 그래픽자료나 역사적 그래픽자료와 같은 화상자료(still images)의 경우, 사진자료에서처럼 지리 정보를 추론할 수 있다면 이 자리에 발행국명을 기술할 수 있다. 기록영상(archival moving images)의 경우, 257 필드의 제작국명을 부호로 부여한다. 대량생산된 비디오녹화자료의 경우, 260(발행, 배포, 간사 사항) 필드의 발행처를 부호로 부여한다.

  • 008/15-17 ulk
  • 260 b/b/▾a서울 :▾b문화출판사,▾c1990
  • 008/15-17 usb/
  • 260 b/b/▾a[New York] :▾bGardner & Co.,▾cc1899
  • 008/15-17 usb/
  • 245 00▾a[Portrait of Cyrus Patten] /▾dAnson, New York
  • 260 b/b/▾a[S.l.] :▾b[s.n.],▾c1852
    [단일의 출판되지 않은 그림자료]

출판처/복제처/작성처 어느 하나도 알 수 없는 경우, 부호는 xxb/를 적용한다.

  • 008/15-17 xxb/
  • 260 b/b/▾a[발행지불명] :▾b[발행처불명],▾c1983
    [발행처를 완전히 모르는 경우]
  • 008/15-17 xxb/
  • 245 00▾a[Hope diamond]▾h[3D]
    [260 필드가 레코드에 없는 경우]

둘 이상의 발행처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첫 번째 행정지역명은 008/15-17에 부호를 부여한다. 부가되는 부호는 044(발행/제작국명부호) 필드에 기록한다.

  • 008/15-17 ukb/
  • 260 b/b/▾aLondon ;▾aNew York :▾bAcademic Press,▾c1979
  • 044 b/b/▾auk▾aus

시청각자료와 녹음자료 중 둘 이상의 나라에서 생산된 경우, 첫 번째 나타나 있는 발행처의 국명을 008/15-17에 기술한다. 044(발행/제작국명 부호) 필드에 첫 번째 발행처에 해당하는 국가에 대한 부호를 반복하여 기술하고 이어서 두 번째 이하의 발행처에 해당하는 국명의 부호를 기술한다.

연속간행물 및 연속적으로 발행된 전자자료에 대해서는 발행국명 부호에 가장 최신 자료의 발행지를 기술한다. 만약 레코드가 후에 갱신되어 발행지가 바뀌면 주기에 변경 내용을 기술하고 발행처를 갱신한다.

복합자료의 경우에는 자료가 모여 있는 저장소, 즉 문고가 위치해 있는 곳을 기호로 부여한다.

  • xxb/ - 발행지 없음, 불명, 미정의
    xxb/ 부호는 발행지 또는 제작지를 알 수 없는 경우에 적용한다. 그러한 자료의 예는 자연적으로 발생한 실물이나 고대 사본류가 이에 해당한다.
  • vpb/ - 다양한 발행지
    vpb/ 부호는 일반적으로 수집된 자료(collection)에 해당하는데 이는 수집된 자료의 발행지가 각각 다르므로 여러 개의 다른 발행지를 가지는 경우를 말한다.
/18 - 25 특정자료종별

각 자료유형별로 정의되어 있다.
/26 - 27 한국대학부호(고서는 미정의)

한국대학부호는 2자리로 표시하며 대학에서 간행된 자료에 대하여 기술한다. 여기에는 학위논문도 대학간행물로 간주하여 포함한다.

대학간행물이 아닌 경우 빈칸(b/)으로 채운다(<부속서 2. 한국대학부호표> 참조).
이 자리에는 채움문자(||)를 사용할 수 있다.

/28 수정레코드

수정레코드는 1자리로 표시하며 레코드 생성 시 서지정보의 일부분이 단축되었거나, 입력이 불가능한 특수문자․수학기호․부호 등이 생략된 경우, 서지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기계적 한계로 인하여 한글이나 로마자로 풀어서 입력하는 등 데이터의 단축 또는 변형이 발생하였을 때 그 유형을 나타낸다. 채움문자(|)는 이 자리에 부호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적용한다.

  • b/ - 변형없음
  • b - 문자를 빈칸(b/)으로 입력한 경우
  • h - 한자를 한글로 입력한 경우
  • r - 로마자 이외의 문자를 로마자로 입력한 경우
  • s - 레코드의 단축
  • x - 한자 이외의 문자를 한글로 변형 입력한 경우
  • | - 부호화하지 않음

수정레코드 항목의 b, h, r, s, x 중 해당되는 코드를 사용한 경우에는 890 필드(미입력문자표시)를 기술한다.

/32 목록정보원

목록정보원은 레코드의 원목록(original cataloging source) 정보를 1자리로 표시하여 나타낸다. 목록의 정보원을 알 수 있는 경우 040 필드의 식별기호 ▾a에 기술한다. 이 부호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기관에서는 채움문자(|)를 적용한다.

  • b/ - 국가서지작성기관
    국립중앙도서관과 같은 국가서지작성기관이 최초의 목록을 작성한 것임을 나타낸다.
    • 008/32b/
    • 040 b/b/▾a011001▾c011001
    • [국립중앙도서관에 의해 목록이 작성되었고 국립중앙도서관이 그대로 목록 내용을 옮겨 기술한 경우]
    • 008/32b/
    • 040 b/b/▾a011001▾c211032▾d211046▾d211040▾d211053
      [국립중앙도서관에 의해 최초로 레코드가 작성되었고 서울대학교도서관에서 그대로 옮겨 기술하였으며 연세대학교도서관, 성균관대학교도서관, 중앙대학교도서관에 의해 목록이 수정된 경우]
  • a - 자관
    각 로컬도서관에서 자체적으로 원목록(original cataloging source)으로 목록을 작성한 경우임을 나타낸다.
    • 008/32 a
    • 040 b/b/▾a111003▾a111003
      [서울 강남도서관이 자체적으로 원목록을 작성한 경우]
  • c - 협력기관
    원목록의 작성기관이 국가자료공동목록프로그램(KOLIS-NET)이나 KERIS 협력망에 의한 종합목록에 참여하고 있는 경우에 적용한다.
    • 008/32 c
    • 040 b/b/▾a111021▾c111021
      [서울종로도서관이 국가자료공동목록을 통해 온라인으로 원목록을 작성하여 입력한 경우]
    • 008/32 c
    • 040 b/b/▾a011001▾c111020
      [국립중앙도서관이 CIP 레코드를 작성하고 이를 서울정독도서관이 옮겨 기술한 경우]
  • d - 기타 기관
    목록 데이터가 국가서지작성기관이나 협동목록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도서관 이외의 기관인 경우이다.
    • 008/32 d
    • 040 b/b/▾a211032▾c211032▾d211040
      [서울대 도서관이 목록을 작성, 입력하고 성균관대 도서관에서 수정한 경우]
    • 008/32 d
    • 040 b/b/▾aWyU▾cWyU
      [와이오밍대학도서관에 의해 레코드가 작성되고 와이오밍대학도서관이 입력한 경우]
  • u - 미상
    목록작성기관을 알 수 없음을 나타낸다. 이 부호는 기관이 불명의 목록정보원에서 손으로 작성한 목록데이터를 옮겨 기술한 경우임을 나타낸다. 이 경우, 040 필드는 식별기호 ▾a를 기술하지 않으며 ▾c에 목록을 옮겨온 도서관명을 부호로 부여한다.
    • 008/32 u
    • 040 b/b/▾c011001
      [국립중앙도서관이 출처를 알 수 없는 목록에서 옮겨 기술한 경우로써 국립중앙도서관이 그 내용에 책임을 지는 경우]
  • | - 부호화하지 않음
/35 - 37 언어

해당 자료에 사용된 언어는 3자리로 나타낸다. 이 부호는 국립중앙도서관이 관리하는 언어구분부호표에 의거하여 부여된다(<부속서 3. 언어구분부호표> 참조). 부호의 선택은 해당 자료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언어에 기초하여 부여한다. 이 자리를 사용하지 않기로 한 경우 채움문자(|||)를 적용한다.

문자자료에 대한 언어부호는 해당 자료의 본문에 기초하여 부여한다. 본문(text)이라는 용어는 서문, 서언, 부록 등을 제외한 출판물 내에 포함된 주요 저작을 말한다.

전자자료에 대한 언어부호는 데이터 및 이용자 인터페이스에 표기된 언어에 기초하여 008/35-37 자리에 부여한다(예: 문자로 디스플레이되는 자료, 들을 수 있도록 언어로 출력되는 자료). 프로그래밍 언어는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지도자료에 대한 언어부호는 지도나 구체(球體)상의 지명, 본문의 언어에 기초하여 부호를 부여한다.

음악/녹음자료의 경우, 악보나 녹음자료에 수록된 노래나 소리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언어의 해당 부호를 008/35-37 자리에 부여한다.

시청각자료의 경우, 언어부호는 자료의 유형에 따른다.

영상자료(moving image)의 경우, 사운드트랙, 딸림 녹음자료(accompanying sound), 수화의 언어에 기초하여 부호를 부여한다. 소리(sound)나 수화 콘텐츠가 없는 영상자료, 또는 소리는 있지만 내레이션이 없는 영상자료의 경우에는 zxx 부호(언어콘텐츠 없음)를 부여한다.

필름스트립과 슬라이드의 경우에는 필름에 기술된 문자, 딸림 녹음자료(accompanying sound), 또는 딸림 인쇄 대본(소리가 없거나 소리는 있지만 내레이션이 없는 저작물의 경우)을 기초로 언어 부호를 부여한다.

원본 그래픽자료나 역사적 그래픽자료, 오패크와 오패크가 아닌 그래픽자료, 3차원 자료를 포함한 기타 화상자료(still image)의 경우에는 해당 자료와 관련된 언어를 기초로 언어 부호를 부여한다. 으뜸정보원의 부분인 개별자료나 컬렉션과 관련된 캡션이나 기타 설명자료 등에 기초하여 언어부호를 부여하는 것이 그 예이다.

복합자료의 경우는 해당 자료나 컬렉션의 자료 중 우위를 차지하는 언어에 기초하여 언어부호를 부여한다.

한 가지 언어로 되어 있는 경우, 그 언어를 부호로 부여한다.

  • 008/35-37 kor
  • 245 00▾a도서관학개론

두 가지 이상의 언어로 되어 있는 경우, 우선하는 언어의 부호를 008/35-37에 부여하고 우선하는 언어를 포함하여 나머지 언어에 대한 부호는 041(언어부호) 필드에 기술한다. 008/35-37에 부여된 언어부호는 041(언어부호) 필드의 식별기호 ▾a 또는 ▾d(녹음자료의 경우)에 기술하는 첫 번째 언어부호와 동일하다.

  • 008/35-37 rus
  • 041 0b/▾arus▾aeng
  • 546 b/b/▾aChiefly in Russian; with some contributions in English

우선하는 언어가 없는 경우, 언어부호는 041 필드에 영어 알파벳순으로 기술하고 008/35-37 자리에는 제일 첫 번째로 기술되는 언어부호를 부여한다.

  • 008/35-37 eng
  • 041 0b/▾aeng▾aspa
  • 546 b/b/▾aText in English and Spanish

번역물에 대한 서지레코드를 구축할 경우, 원본의 언어가 아니라 번역물의 언어에 대한 부호를 008/35-37 자리에 부여한다(원본에 대한 언어부호는 041 필드의 ▾h에 기술한다).

  • 008/35-37 kor
  • 041 1b/▾akor▾hger
    [독일어로 되어 있는 원본자료를 한국어로 번역한 경우]
  • b/b/b/ - 해당정보 없음
  • mul - 복수 언어
    복수 언어로 되어있는 자료에서 특별히 두드러진 언어가 없거나 목록작성기관에서 특정 언어를 기술하지 않고자 할 때 적용한다.
  • sgn - 수화
    해당 자료의 주된 언어가 수화(手話)인 경우 적용한다. 문자를 손모양의 그림으로 표현한 책이나 수화를 담고 있는 비디오녹화자료 등이 이에 해당한다. 특정 언어에 대한 수화는 041(언어부호) 필드와 546(언어주기) 필드에 기술할 수 있다.
    • 008/35-37 sgn
    • 041 0b/▾asgn▾aeng
    • 546 b/b/▾aAmerican Sign Language, with some text in English
  • und - 미상
    해당 자료의 언어를 결정할 수 없는 자료이다. 이 부호는 임의적인 음절, 허밍(humming), 어떤 언어인지 명시할 수 없는 사람이 만들어낸 소리로 구성된 콘텐츠를 가지는 자료에도 적용한다.
  • zxx - 언어콘텐츠 없음
    해당 자료에 노래나 말, 글로 된 콘텐츠가 없음을 나타낸다. 예로 1) 악기로 연주한 음악 또는 전자음악, 2) 비언어적 소리로 구성된 녹음자료, 3) 소리나 수화 콘텐츠가 없는 영상자료, 또는 소리는 있지만 내레이션이 없는 영상자료 4) 인쇄된 표제, 캡션 등이 없는 시청각자료(영상자료는 제외), 5) 단순히 소스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언어(예: COBOL)나 문자코드(예: ASCII)로만 이루어진 컴퓨터 파일을 들 수 있다.
  • ||| - 부호화하지 않음
/38 - 39 한국정부기관부호 (고서는 미정의)

한국정부기관부호는 2자리로 표시하며 한국정부기관에서 발행한 자료에 대하여 기술한다.
해당사항이 없으면 빈칸(b/)으로 채운다(<부속서 4. 한국정부기관부호표> 참조).
이 부호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기관에서는 채움문자(||)를 적용한다.

입력 규칙

  • 필드 길이 - 008 필드는 항상 40자리의 문자수로 구성된다.

변경 이력

  • /32 목록정보원 ← 목록전거 [2022년, 부호명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