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검색에 어려움이 있으신가요?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서비스 동향
  • 작성부서 국제교류홍보팀
  • 등록일 2023-09-13
  • 조회 2393
글자크기

_ 감미경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사서



가포르국립대학교(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NUS)는 싱가포르의 가장 오래된 고등교육 기관으로 1905년에 ‘영국령 해협 식민지 및 말레이 연방 정부 의과대학(Straits Settlements and Federated Malay States Government Medical School)’ 설립으로 시작됐다. 이후 NUS는 "더 나은 세상을 위한 혁신과 기업 정신으로 함께 일하는 학자, 연구원, 학생, 동문들의 중요한 공동체"를 목표로 삼고 선도적인 글로벌 대학으로 성장했다.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NUSL)’은 NUS와 함께 성장하여 싱가포르에서 가장 큰 학술연구도서관이 됐다. NUSL은 켄트 릿지(Kent Ridge)와 부킷 티마(Bukit Timah) 캠퍼스에 분산된 7개의 도서관에 다양한 언어, 학문과 주제를 다루는 300만 권 이상의 풍부한 컬렉션을 자랑한다.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사진 1.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출처: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누리집)


켄트 릿지 캠퍼스의 중심에 자리한 NUS 중앙도서관에 본부를 두고 있는 NUSL은 정보 자원, 지식 네트워크, 대화형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NUS 커뮤니티와 협력하여 학문과 연구를 발전시키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NUSL은 국가와 지역 유산의 관리인이자 저장소로서, 14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희귀 서적,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의 싱가포르 점령 상태에서 지켜낸 대체가 불가한 자료와 함께, 세계적으로 유명한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 싱가포르/말레이시아 컬렉션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브루나이와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의 경제적, 지리적, 역사적, 정치적, 사회적 발전에 대한 광범위하고 심층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NUSL은 설문조사를 통해서 도서관 이용자의 필요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기존의 서비스를 발전 변형시키거나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대학도서관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다. 근래의 중앙도서관 개증축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현대적이고 기능적인 디자인 접근 방식을 택했다. 2018년 6월에 착공해 1년 6개월에 걸쳐, 이동식 가구 등을 갖춘 더욱 유연한 학습 공간과 협업 공간, 개방돼 있는 다용도 공간, 혁신적인 기술 강화 학습 공간 등을 마련했다.

유연한 학습 공간 도입 외에, 개조된 중앙도서관에는 도서관 2층 외관을 압도하는 31미터 길이의 북브릿지(BookBridge)도 있다. NUSL의 희귀 컬렉션을 보존하기 위해 설치된 북브릿지는 싱가포르국립대학교 건축학과 신야 오쿠다(Shinya Okuda) 교수와 협력하여 설계했으며, 싱가포르 목공 회사 로저앤손즈(Roger&Sons)가 제작했다. 이는 대기 중 탄소를 견고한 상태로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재생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건축 자재인 열대 MET(대규모 조성 목재)를 사용하여 제작된 최초의 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지식 연결(Bridge Knowledge)이라는 NUSL의 사명을 상징하는 북브릿지는 2022년 인테리어 건축 분야에서 iF 디자인 어워드를 수상했다. 1953년부터 독일에서 시작된 이 권위 있는 상은 소비자와 디자인 커뮤니티에 친화적인 디자인에 주어진다.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북브릿지

사진 2.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북브릿지 (출처: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누리집)


희귀한 책의 취약성으로 인해 현재 북브릿지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어 있지만, 관심 있는 사람들은 NUSL의 버추얼 북브릿지 투어를 통해, 이 상징적인 시설에 소장된 흥미로운 책들을 읽을 수 있다.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버추얼 북브릿지 투어

그림 1.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버추얼 북브릿지 투어 (출처: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누리집)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의 서비스 트렌드
챗GPT(ChatGPT)로 상징되는 엄청난 기술 발전이 모든 산업과 일상생활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오늘, 도서관 또한 급변하는 디지털 시대의 한가운데에서 생존하기 위해 탄력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NUSL이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서 최근에 새롭게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를 소개하고자 한다. 도서관은 전통적으로 책과 유물을 보관하는 물리적 공간으로 정의되지만, NUSL은 기술, 사회, 학습의 변화 추세에 대응하여 지속적으로 도서관의 기능과 서비스 범위를 확장해 왔다. ChatGPT, 가상 현실, 지리 정보 소프트웨어(GIS)와 같은 혁신은, 학생과 학자가 정보에 접근하고 해석하는 방식을 극적으로 변화시켰으며, NUSL은 학습의 연결체이자 정보와 지식 관리 분야의 주제 전문가로서 진화하여 발전해 왔다.

1. 연구/강의 지원 서비스(Research/Teaching Support Services)
NUSL의 교육, 연구 및 기업 파트너십(Education, Research & Enterprise Partnerships) 부서와 디지털 전략 혁신(Digital Strategy Innovation) 부서는 교수진, 연구원, 학생, 그리고 각 학과와 긴밀히 협력해 도서관 프로그램과 컬렉션을 대학의 커리큘럼에 통합하고, 연구를 지원한다. 또한 소장하고 있는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통해 대학 커뮤니티와 협력한다. 그리고 기술과 공간을 활용하여 보다 몰입적이고 경험적인 피지탈(Phygital: Physical-Digital)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디지털 학술 도구의 사용을 늘려 학습과 연구를 위한 컬렉션과 프로젝트를 선보이고 있다.

제약없는 연구자(Researcher Unbound)”는 NUSL의 대표적인 연구지원 프로그램으로, 워크숍을 통해 문헌 검색, 참조, 출판, 연구 영향 측정 등과 같은 필수 연구 관련 기술의 학습을 촉진하고 대학 커뮤니티가 연구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면 학술 환경에서 ChatGPT의 확산이 증가함에 따라, 연구 사서들은 ChatGPT를 사용하여 문헌 검색 과 체계적 검토를 수행하는 제약없는 연구자 워크숍을 개최해, 연구에서 ChatGPT 활용의 장점과 단점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제공했다. 이 워크숍은 만석을 채웠고, 참석자들의 다양한 반응과 토론을 불러 일으키며 성황리에 마쳤다.

ChatGPT 활용을 위한 제약없는 연구자 워크숍 현장

사진 3. ChatGPT 활용을 위한 제약없는 연구자 워크숍 현장(출처: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페이스북)

또 하나의 주요한 프로그램은 교육, 연구 및 기업 파트너십 사서, NUS 교수진, 교육 기술 센터(Centre for Instructional Technology)와 교육 학습 개발 센터(Center for Development of Teaching & Learning) 사이의 협력의 산물인 대규모 온라인 공개 강좌 무크(Massive Online Open Course, MOOC)이다. 무크는 대학에서 혼합형 학습 방법을 가속화하도록, 수업내용 가운데 어느 부분의 정보라도 다시 찾아 볼 수 있게 해주며, 시간의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이다. 수업 전에 강의 영상을 미리 보고, 수업 중에는 이미 배운 개념을 여러 활동에 적용하는 방식인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에 무크를 활용할 수 있고, 수업 뒤에도 과제나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무크는 NUS 커리큘럼에서 채택되었고, 혼합형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6개 학부의 11개의 과목에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체계적 리뷰나 그와 관련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연구자와 학생도 사용한다. 118개국의 2,600명이 넘는 학습자가 무크 프로그램에 등록했다. 이 프로젝트는 2023년 미국도서관협회(ALA) 연례회의에서 발표되어 전 세계 사서들의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싱가포르국립대학교 개발 무크 강좌

그림 2. 싱가포르국립대학교 개발 무크 강좌(출처: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누리집)


싱가포르국립대학교 개발 무크 ALA 발표 현장

사진 4. 싱가포르국립대학교 개발 무크 ALA 발표 현장(출처: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페이스북)

2. 기술중심: 기술강화 학습 이매지네리움(Tech Central: Technology Enhanced Learning (TEL) Imaginarium)
NUSL의 기술강화 교육과 학습시설로 구성된 기술 중심(Tech Central) 클러스터의 일부인 DSI 팀은 몰입형 기술을 위한 놀이터인 TELi(Technology Enhanced Learning Imaginarium)를 통해 학습을 향상하는 방법에 대해 NUS 교수진, 그리고 여러 학과와 적극적으로 협력해 왔다. 주목할만한 협력으로는 생명과학과 글로벌 과학 여름 프로그램의 법 독성학과 독극물질을 들 수 있다. 이 프로그램에서 학생들은 VR 앱을 사용하여 범죄 현장을 탐색하고 AR 앱을 사용하여 지문 증거를 수집하고 면밀히 조사한다. 이 앱은 치의학부와 의생명공학과의 치주염 환자를 위한 검사와 진단 수행 프로젝트에도 사용되어 학생들이 VR을 통해 환자를 대상으로 검사, 진단, 기본적인 치주수술을 수행했다. 또한 화학과에서는 학생들이 원자와 분자 궤도를 시각화할 수 있는 AR-bital: 시각화 궤도와 병합 큐브 AR 프로젝트를 통해서 TELi 팀과 협력했다. 이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AR 앱은 CM1102 화학 과목의 일부로 활용될 예정이다.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이매지네리움

그림 3.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이매지네리움(출처: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누리집)

2018년 10월에 시작된 이래로 5백명이 넘는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미니 워크숍에 참여해 새로운 도구 활용기술을 배웠고, 본인들의 과제물이나 프로젝트에 적용했으며, 학교에서 수여하는 디지털 배지를 받았다.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이 점프스타트 미니스(Jumpstart Minis) 워크숍은 싱가포르국립대학교에서 만든 여러 디지털 배지를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의 하나로 포함되어 있다. 도서관 이매지네리움에서는, 학생들이 성취 단계에 따라서 세 가지 레벨의 디지털 배지를 받을 수 있다.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이매지네리움 참여자 피드백

그림 4.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이매지네리움 참여자 피드백(출처: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누리집)

3. 기술 중심: 전방향 imx (Tech Central: 360imx)
싱가포르 교육기관 가운데 처음으로 NUS 중앙도서관에 설치된 360imx는 최신 몰입형 기술이 구현된 공간이다. 모두 6개의 WUXGA 5.1000 루멘 프로젝트와 서라운드 사운드 스피커가 장착된 폭 6미터, 높이 2.4 미터의 실린더는 완벽한 입체음향과 폭넓은 시야를 제공하여,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콘텐츠를 시청각화하는 독특한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해준다.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전방향 imx

사진 5.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전방향 imx (출처: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누리집)

360imx의 시각적 경험은 기존의 비디오 영상보다 매력적이어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한다. 교수들은 개인화된 탐색과 학습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영상 재생 과정을 완전히 통제할 수 있다. 학습 강화를 위해 특정 장면이나 관심 요소에 집중하고, 필요에 따라 다시 찾아볼 수 있다. 360imx 디스플레이의 몰입형 특성은 정보 보존을 향상시켜 학생들이 공간적 관계를 더 잘 이해하고, 풍경과 지형이 어떻게 상호 연결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지리와 환경 개념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촉진한다.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전방향 imx

사진 6.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전방향 imx (출처: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누리집)

4. 기술중심: 디지털 연구와 디지털 연구 실험실(Tech Central: Digital Scholarship and Digital Scholarship Lab [DS Lab])

NUSL의 Digital Scholarship (DS) 팀은 연구, 교육과 학습을 위한 새로운 기술과 디지털 도구를 사용해 관련 자료와 전문 지식을 제공한다. 특히 NUS 공동체에서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을 한 자리에 모아 학제간 연구를 촉진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DS팀은 디지털 연구와 관련된 워크숍이나 강연과 같은 프로그램을 만들어 제공한다.

DS팀은 또한 다양한 NUS 부서와 적극적으로 협력해 왔다. 특히 지리학과부와 함께 한 싱가포르 역사 지도 프로젝트의 결과물인 리브맵스(LibMaps)는 지리학과부에서 스캔하고 좌표를 표식한, 1846년부터 2010년까지 출판된 31종의 지도 세트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이다. LibMaps 프로젝트는 NUS 커뮤니티 안팎의 사용자로부터 호평을 받았으며, 뉴스 매체와 싱가포르 정부 기관에서의도 자주 사용하고 있다. 최근 들어 LibMaps는 싱가포르와 동남아시아의 생물 다양성 역사에 디지털 인문학을 연결하기 프로젝트에 사용됐다. 이 프로젝트에는 싱가포르국립대학교와 도서관, 예일-NUS 대학, 국립공원위원회, 리콩첸 국립역사박물관(LKCNHM), 국립도서관위원회(NLB), 그리고 옥스퍼드 대학 자연사 박물관이 참여했고, LibMaps를 활용하여 급격한 생물 다양성 변화와, 그에 따른 부정적 영향에 대한 GIS 기반의 다층적 시각화를 구현했다. 이를 통해 디지털과 환경 인문학 분야의 교육을 혁신했을 뿐 아니라 대중 홍보와 정책 참여도 촉진시켰다. 이 프로젝트는 또한 공간적, 시간적, 네트워크, 시각적 분석을 위해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는 방법을 보여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싱가포르와 동남아시아의 급속한 생물 다양성 변화와 관련된 과거, 현재, 미래의 영향을 스스로 탐색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준다.


싱가포르 역사 지도 프로젝트의 결과물 LibMaps

그림 5. 싱가포르 역사 지도 프로젝트의 결과물 LibMaps (출처: 싱가포르국립대학교 LibMaps 누리집)

LibMaps를 활용하는 또 다른 협업의 사례로는 심리의학과, 싱가포르 예술 컨설팅 기관인 마마 마그넷(Mama Magnet)과 진행 중인 싱가포르 청소년 하위문화의 웰빙과 정신건강을 탐구하는 “예술기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청소년 하위문화 구성원의 웰빙조사이다. 지금까지 모두 7개의 프로젝트가 완성돼 도서관 포털에 소개되었다.

LibMap 활용 사례

그림 6. LibMap 활용 사례(출처: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누리집)

5. 스페셜 컬렉션(Special Collections)
현재 NUSL에는 모두 24,000권이 넘는 희귀 도서가 있으며, 가장 오래된 것은 원나라 왕조(1271~1368)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다양한 출판물로 구성되어 있다. NUSL의 스페셜 컬렉션 팀은 동남아시아 컬렉션을 강화해 NUSL을 동남아시아 관련 자료와 연구의 중심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디지털 젬스(Digital Gems) 포털은 스페셜 컬렉션 팀이 구상한 것으로, 이를 통해 NUSL이 보관하고 있는 주요한 희귀 역사자료를 온라인으로 접근할 수 있다. 디지털 젬스의 희귀한 콘텐츠 대부분은 누구나 볼 수 있고 디지털 젬스의 콘텐츠는 광학 문자 인식(OCR) 검색을 지원할 뿐 아니라, 메타데이터 수집(OAI-PMH)을 위한 개방형 아카이브 이니셔티브 프로토콜도 지원하여, 외부 연구자가 디지털 젬스 포털에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 2017년부터 2023년 사이에 전 세계에서 20만 명에 가까운 방문자가 디지털 젬스를 이용했다.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디지털 젬스

그림 7.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디지털 젬스(출처: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디지털 젬스 누리집)

디지털 젬스 방문자 통계

그림 8. 디지털 젬스 방문자 통계(출처: 구글 애널리틱스(2023.07.23 기준)

디지털 젬스 안에는 NUSL과 리콩첸 자연사 박물관의 주요 협업의 산물인 동남아시아 생물다양성 도서관(BLSEA)이 있다. 이 가상 도서관은 두 기관이 소장하고 있는 1830년대부터 내려오는 생물다양성에 대한 희귀한 자료를 개방해 제공하고 있다. 누구나 이 자료에 접근할 수 있고, BLSEA는 이 가운데 일부 선정된 콘텐츠를 스미스소니언 협회의 생물다양성 유산 도서관에 제공하고 있다. NUS 생물과학과와 역사학과 과목인 “환경사와 환경사의 기초”, 그리고 리콩첸 자연사 박물관의 연구자들은 BLSEA를 교육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싱가포르/말레이시아 컬렉션(SMC)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등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의 경제, 지리, 역사, 정치, 사회 발전을 광범위하고 심층적으로 다루는 NUSL의 귀중한 연구 컬렉션이다. SMC가 보관된 중앙 도서관 5층에는 아세안에 대한 권위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아세안 코너도 있다. 아세안 코너에서는 주기적으로 관련 주제에 대한 교수들의 발표를 주관하고 있으며, 종종 연구 사서들이 이런 발표회에서 사회를 보기도 한다.

NUSL은 최근 20세기 초에 출판된 사이드 셰이크 아흐마드 알 하디(Syed Sheikh Ahmad Al-Hadi)의 작품들을 인수했다. 이 주요 자료 컬렉션에는 싱가포르, 말레이 반도, 그리고 말레이 군도에서 출판된 최초의 말레이 이슬람 개혁주의 정기 간행물, 종교 개혁과 교육에 관한 두 편의 단행본, 그리고 알 하디의 소설 10권이 포함되어 있다. 희귀하고 수요가 높은 자료는 도서관의 말레이 반도 컬렉션에 추가되었다. 이 자료들은 이미 ‘MS2219 네트워크와 말레이 세계’, ‘MS2215말레이 세계의 군주, 항구, 화려, 문필’, ‘MS2211 현대 말레이 문학 비평’과 같은 말레이 학문 과정의 교육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말레이학 연구 사서는, 남아시아 후기 식민주의를 주제로 2023년 10월 필리핀의 리잘 도서관 학회에서 열리는 학회에서, 이 컬렉션에 대한 작업을 토대로, 탈식민지화를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싱가포르/말레이시아 컬렉션

그림 9.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싱가포르/말레이시아 컬렉션(출처: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도서관 누리집)

NUSL은 전통적인 도서관 시설과 서비스뿐만 아니라, 기술과 교육학적 접근법을 활용하는 끊임없는 혁신을 통해, NUS안팎의 학문과 연구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소속 대학과 싱가포르 그리고 전 세계의 유익을 위한 새로운 지식 창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도서관 컬렉션과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NUSL의 목표이다.



참고자료 (References)

https://libguides.nus.edu.sg/nusltimeline
https://news.nus.edu.sg/bridging-knowledge-for-a-sustainable-future/
https://cde.nus.edu.sg/arch/news_and_events/ay2122_news_bookbridge_ifdesign_award_180422/
https://www.facebook.com/photo?fbid=638314048339694&set=pcb.638314098339689
https://www.facebook.com/photo/?fbid=676626434508455&set=pcb.676626584508440
https://nus.edu.sg/nuslibraries/spaces/tel-imaginarium/
https://nus.edu.sg/nuslibraries/spaces/tel-imaginarium/about/feedback
https://news.nus.edu.sg/new-360imx-takes-immersive-learning-to-new-heights-and-depths/
https://libmaps.nus.edu.sg/
https://nus.edu.sg/nuslibraries/services-help/research-support/digital-scholarship
https://nus.edu.sg/nuslibraries/services-help/research-support/digital-scholarship/digital-scholarship-projects
https://nus.edu.sg/nuslibraries/services-help/research-support
https://nus.edu.sg/nuslibraries/collections/special-collections
https://www.thinglink.com/card/1729811676544369317

담당부서 : 국제교류홍보팀 (02-590-0797 )
관련단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