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KORMARC) - 부록은 A. 제어 식별기호 B. 역할어, 정보원 기술부호 C. 판단이 모호한 표목 D. 다문자 레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 A. 제어 식별기호 – 필드의 데이터를 특정 기관의 데이터와 연결하거나 다른 필드의 데이터와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대부분의 필드에서 정의되는 이들 식별기호의 기술은 이 부록에서 한꺼번에 다루었다.
  • B. 역할어, 정보원 기술부호 - 데이터 작성에서 사용되는 통제된 용어, 부호, 식별자 등의 정보원에 대한 목록을 수록하였다.
    정보원 부호(source code)는 정보원 유형에 따라 구분하고 관련 필드를 부기하였다
  • C. 판단이 모호한 표목. - X00, X10, X11 필드의 표목을 기술할 경우, 판단이 모호한 표목들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 D. 다문자 레코드. – 다문자로 된 데이터를 MARC 레코드로 기록할 때 적용되는 모델에 대해서 기술한다.
    레코드의 데이터 내용(data content)에 여러 문자가 쓰였을지라도, 하나의 문자가 주요 문자로 간주된다.
담당부서 : 국가서지과 (02-590-635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