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각자료
한국언어문화사진집[낱장자료] = Korean language & culture photo zip 2004.[2(1) - 2(115)], Living in Korea
표제/저자사항 한국언어문화사진집[낱장자료] = Korean language & culture photo zip 2004.[2(1) - 2(115)], Living in Korea / 백봉자, 최정순, 지현숙 [공]저
발행사항 서울: 한국언어문화원, [2005]
형태사항 인쇄자료 115장: 천연색; 30 x 43cm
주기사항 권차는 사진의 순서에 따라 임의 부여함 내용:
2(1), 현관 = Entrance. - 2(2), 방석 = Sitting mats. - 2(3), 집들이 = House-warming party. - 2(4), 집들이 선물 = House-warming gift. - 2(5), 문패 = Doorplate. - 2(6), 상 = Table. - 2(7), 시내버스 = Downtown buses. - 2(8), 교통 카드 = Bus pass. - 2(9), 버스 전용 차로 = Bus-only-lane. - 2(10), 버스 벨 = Bus bell. - 2(11), 버스 정류장의 버스 노선표 = Bus line map at bus stops. - 2(12), 노약자석 = Seat for the old and the weak. - 2(13), 각종 버스들 = Various bus types. - 2(14), 서울 고속버스 터미널 = Seoul express bus terminal. - 2(15), 한국의 택시 : 일반택시 = Korean taxi : general taxis. - 2(16), 한국의 택시 : 모범택시 = Korean taxi : model taxis. - 2(17), 배달 오토바이 = Delivery motorbikes. - 2(18), 서울 지하철 노선도 = Seoul subway line map. - 2(19), 지하철 환승역 = Subway transfer stops. - 2(20), 지하철 유실물 센터 = Subway lost and found. - 2(21), 지하철 = Subway. - 2(22), 시각 장애인용 점자 블록 = Surface blocks for visually impared people. - 2(23), 지하철 전광판 = Subway electric display boards. - 2(24), 서울역 = Seoul station. - 2(25), 한국 전통 가옥 = Korean traditional house. - 2(26), 기와 = Giwa. - 2(27), 댓돌 = Terrace stones. - 2(28), 전통 가옥의 마당 = Yard of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 2(29), 서까래 = Seoggarae. - 2(30), 빗장 = Bitjang. - 2(31), 장독대 = Jangdokdae. - 2(32), 장작 = Jangjak. - 2(33), 창호지 = Changhoji. - 2(34), 초가집 = Chogajip. - 2(35), 슬레이트 지붕 = Slate roof. - 2(36), 아파트 구조도 = Apartment layout. - 2(37), 아파트 = Apartments. - 2(38), 하숙집 = Boarding house. - 2(39), 연립 주택 = Townhouses. - 2(40), 복덕방 = Bokdeakbang. - 2(41), 중고 물물 교환 센터 = Used exchange center. - 2(42), 생활 정보지 = Living informational papers. - 2(43), 아르바이트 = Part-time jobs. - 2(44), 대학교 취업 정보 게시판 = College job board. - 2(45), 도우미 = Helpers. - 2(46), 아르바이트 면접 = Part-time job interview. - 2(47), 아르바이트 광고 = Part-time job advertisement. - 2(48), 채용 박람회 = Job fair. - 2(49), 이력서 = Resume. - 2(50), 한국인들의 선호 직업 = Korean's preferring job. - 2(51), 청년 취업 현황 = Employment rate of young people. - 2(52), 각종 고지서 = Various types of bills. - 2(53), 현금 인출기 = ATM. - 2(54), 우체국 = Post office. - 2(55), 파출소 = Police box. - 2(56), 소방서 = Fire department. - 2(57), 미용실 = Beauty shop. - 2(58), 서점 = Bookstores. - 2(59), 구두 수선소 = Shoe repair shop. - 2(60), 빨래방 = Laundromats. - 2(61), 동대문 시장 = Dongdaemun market. - 2(62), 심야의 동대문 시장 = Night of Dongdaemun market. - 2(63), 동대문 시장의 먹거리 = Dongdaemun market's food stands. - 2(64), 동대문 시장의 노점상 = Dongdaemun market booths. - 2(65), 동대문 야외 무대 = Dongdaemun outdoors stage. - 2(66), 경동 시장의 약재 상가 = Kyeongdong medicine market. - 2(67), 자갈치 시장 = Jagalchi market. - 2(68), 인삼 도매 상가 = Ginseng wholesale store. - 2(69), 나물 가게 = Wild greens store. - 2(70), 재래 시장의 한복 가게 = Hanbok store in a traditional market. - 2(71), 시장의 횟집 = Raw fish store. - 2(72), 재래 시장 = Traditional markets. - 2(73), 칼국수 = Kalguksu. - 2(74), 회사원들의 점심시간 = Businessman's lunch time. - 2(75), 도시락 가게 = Lunch box stores. - 2(76), 먹자 골목 = Eatery alley. - 2(77), 건강식 : 쌈 = Health foods : Ssam. - 2(78), 불고기 = Bulgogi. - 2(79), 냉면 = Naengmyeon. - 2(80), 낙지 볶음 = Nakji Bokeum. - 2(81), 삼계탕 = Ssmgyetang. - 2(82), 비빔밥 = Bibimbap. - 2(83), 삼겹살 = Ssmgyeopsal. - 2(84), 찜닭 = Jjimdak. - 2(85), 닭갈비 = Dakgalbi. - 2(86), 순두부 찌개 = Sundubu Jjigae. - 2(87), 호박전 = Hobak Jeon. - 2(88), 휴대 전화 = Cellular phones. - 2(89), 휴대 전화 문자 메시지 = Cellular phone text message. - 2(90), 옥외 광고 = Outdoor advertisement. - 2(91), 카메라 폰 = Camera phones. - 2(92), 한국 젊은이의 전화 문화 = Telephone culture of Korean young people. - 2(93), 한국의 지역 전화번호 = Korea's regoinal area code. - 2(94), 정보 제공 전광판 = Informational electric light board. - 2(95), PC방 = PC room. - 2(96), 인터넷 설치대 = Internet connection booth. - 2(97), 인터넷 쇼핑 = Internet shopping. - 2(98), 현대적 결혼식 = Modern wedding ceremony. - 2(99), 남녀 만남 주선 행사 = Men and women meeting mediation events. - 2(100), 한국의 배우자 직업 선호도 = Korean people's spouse preference. - 2(101), 혼수 = Honsu. - 2(102), 약국 = Pharmacy. - 2(103), 피로 회복제 = Energy recovery medicine. - 2(104), 처방전과 의료보험증 = Prescription and medical insurance form. - 2(105), 종합 병원 = General hospitals. - 2(106), 외국인 전용 진료소 = Exclusive treatement center for foreigner. - 2(107), 한약 = Korea's traditional & medicine. - 2(108), 한의원 = Traditional Korean hospital. - 2(109), 침 = Acupuncture. - 2(110), 민간 요법 = Common prescriptions and treatments. - 2(111), 등산 = Mountain climbing. - 2(112), 약수터 = The mineral spring. - 2(113), 피트니스 센터 = Fitness center. - 2(114), 유기농 야채 = Organic vegetable. - 2(115), 건강 보조 식품 = Health support food
요약: "한국언어문화사진집 : Living in Korea(한국에서 살기)"편은 한국의 다양한 현대 생활 모습을 담은 낱장자료로 전체 시리즈는 300장중 115장으로 국내외에서 한국문화를 가르치는 교재임.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09.11[668]
출처 국립중앙도서관 바로가기
담당부서 : 국가서지과 (02-590-633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