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각자료
한국언어문화사진집[낱장자료] = Korean language & culture photo zip 2004.3(1) - 3(95), Knowing about Korea
표제/저자사항 한국언어문화사진집[낱장자료] = Korean language & culture photo zip 2004.3(1) - 3(95), Knowing about Korea / 백봉자, 최정순, 지현숙 [공]저
발행사항 서울: 한국언어문화원, [2005]
형태사항 인쇄자료 95장: 천연색; 30 x 43 cm
주기사항 권차는 사진의 순서에 따라 임의 부여함 내용:
3(1), 꽃샘추위 = Flower jealousy chill. - 3(2), 반갑지 않은 손님, 황사 = Unwelcomed guest, yellow sand. - 3(3), 벚꽃놀이 = Cherry blossom festivals. - 3(4), 등물 = Back water. - 3(5), 추수의 계절 = Season of harvest. - 3(6), 단풍놀이 = Fall foliage. - 3(7), 시내 빙판 길 = Icy roads downtown. - 3(8), 돌상과 돌잡이 = Dolsang & baby's first birthday feast. - 3(9), 금줄 = Straw festoon. - 3(10), 미역국 = Miyeokguk. - 3(11), 전통 혼례 = Traditional marriage. 1. - 3(12), 전통 혼례 = Traditional marriage. 2. - 3(13), 사모관대 = Samogwandae. - 3(14), 족두리 = Jokduri. - 3(15), 나무 기러기 = Wooden goose. - 3(16), 가마 타고 가는 신부 = Bride on a sedan chair. - 3(17), 현대식 결혼 = Modern style wedding. - 3(18), 축의금 접수대 = Congratulation money registration desk. - 3(19), 단군 = Dangun. - 3(20), 한국의 기념일 및 공휴일 = Korean holidays. - 3(21), 삼일절 = Anniversary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 3(22), 장승 = Road ldol. - 3(23), 장군 비석 = General monument. - 3(24), 한국 지도 = Korean map. - 3(25), 한국 전쟁 = Korean war. - 3(26), 태극기 = Korean flag. - 3(27), 한국의 화폐 = Korean currency. - 3(28), 국회 의사당 = National assembly building. - 3(29), 유치원 = Kindergarten. - 3(30), 초등학교 = Elementary school. - 3(31), 졸업 사진첩 = Graduation album. - 3(32), 공부하는 학생들 = Studying students. - 3(33), 교복 = School uniforms. - 3(34), 학원가 = Academies. - 3(35), 수능 시험 =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 3(36), 수능 선물 = College entrance exam gifts. - 3(37), 기도하는 어머니 = Praying mother. - 3(38), 수능 성적 발표날 = The day of getting college entrance exam results. - 3(39), 입학 원서 접수 창구 = College application registration desks. - 3(40), 합격자 발표 = The day of getting college entrance results. - 3(41), 송편 빚기 = Making Songpyeon. - 3(42), 추석 상차림 = Making Chuseok table. - 3(43), 벌초 = Mowing. - 3(44), 윷놀이 = The four-stick game. - 3(45), 설빔 = New year's garment. - 3(46), 떡국 = Ddeokguk. - 3(47), 부럼과 귀밝이술 = Bureom and Gwibalgisul. - 3(48), 오곡밥과 아홉 가지 나물 = Five-grain rice and 9 different types of wild greens. - 3(49), 젓가락 사용법 = Directions to use chopsticks. - 3(50), 찌개 = Pot stew. - 3(51), 남자 한복 : 조끼 = Hanbok for men : Joggi. - 3(52), 남자 한복 : 두루마기 = Hanbok for men : Durumagi. - 3(53), 여자 한복 : 치마 저고리 = Hanbok for women : Chimajeogori. - 3(54), 여자 한복 : 두루마기 = Hanbok for women : Durumagi. - 3(55), 버선 = Beoseon. - 3(56), 고무신 = Gomushin. - 3(57), 노리개 = Norigae. - 3(58), 비녀 = Binyeo. - 3(59), 남녀 생활 한복 = Casual Hanbok for men and wonmen. - 3(60), 고추 = Red pepper. - 3(61), 김치 공장 = Kimchi factory. - 3(62), 외국인 김치 담그기 대회 = Kimchi making festival for foreigners. - 3(63), 동치미 = Dongchimi. - 3(64), 깍두기 = Ggakdugi. - 3(65), 총각 김치 = Chonggak Kimchi. - 3(66), 김장하는 날 = Gimjang day. - 3(67), 상품화된 김치들 = Kimchi products. - 3(68), 즉석 김치 = Instant Kimchi. - 3(69), 김치로 만든 음식 = Food made out of Kimchi. - 3(70), 장 담그기 = Making soy sauce. - 3(71), 메주 = Fermented soybeans. - 3(72), 간장 = Soy sauce. - 3(73), 신선로 = Sinseonro. - 3(74), 설렁탕 = Seolleongtang. - 3(75), 파전 = Green onion pancake. - 3(76), 쌈 = Ssam. - 3(77), 구절판 = Gujeolpan. - 3(78), 식혜 = Sikhye. - 3(79), 수정과 = Soojunggwa. - 3(80), 친가와 외가 계보 = The genealogy of relatives. - 3(81), 환갑 = 60th birthday. - 3(82), 상여 = Sangyeo. - 3(83), 공원 묘지 = Cemetery park. - 3(84), 병원 장례식장 = The funeral place in the hospital. - 3(85), 휴일을 즐기는 모습 = The scene of family enjoying their weekends. - 3(86), 명동의 인파 = The population in Myeongdong. - 3(87), 탑골 공원의 노인들 = The old men of the Tapgol park. - 3(88), 여의도의 시위대 = The demonstration in Yeouido. - 3(89), 대학로 = Daehakro. - 3(90), 소풍가는 어린이들 = Children going on field trips. - 3(91), 거리의 교통 체증 = Traffic jam on the streets. - 3(92), 이산 가족 = Divided families. - 3(93), 문 드나드는 법 = Entering and exiting rooms. - 3(94), 가위를 주는 방법 = The way of handing scissors to others. - 3(95), 어른과 술 마시는 법 = Proper manners when drinking with elders
요약: "한국언어문화사진집 : Knowing about Korea(한국에 대해 알기)"편은 한국의 다양한 현대 생활 모습을 담은 낱장자료로 전체 시리즈는 300장중 95장으로 국내외에서 한국문화를 가르치는 교재임.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09.11[668]
출처 국립중앙도서관 바로가기
담당부서 : 국가서지과 (02-590-633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