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과 미디어 문해력 교육
  • 작성부서 국제교류홍보팀
  • 등록일 2024-03-12
  • 조회 881
글자크기

저자_ 박소라(Sora Park)

바바라 월시(Barbara Walsh)

징수(Jing Su)

발행처_캔버라대학교 뉴스미디어연구센터(News and Media Research Centre, University of Canberra)


※본 연구보고서는 저자로부터 이용 허가를 받았으며, 모든 저작권은 저자에게 있습니다.

핵심요약

뉴스와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소비하고 미디어 문해력 기술과 지식을 개발하도록 사람들을 교육시키고 안내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새로운 디지털 플랫폼, 허위 정보, 가짜 뉴스, 딥페이크, 광고성 콘텐츠 그리고 ‘관심 경제(attention economy)’가 급부상하면서 사람들이 정보와 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하는 방식과 그 영향을 이해해야 할 시급한 필요성이 있다.


도서관은 사람들이 미디어와 디지털 문해력을 개발하고 증진하도록 돕는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디어 기술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사람들이 공식 교육과정을 통해 배운 기술도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도서관을 비롯하여 지역사회의 정보 제공자와 교육자들이 당면한 과제는 또한 중요한 기회이기도 하다. 호주 성인의 미디어 문해력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호주인들은 자신의 미디어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하고, 필요할 때 미디어 문해력과 관련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미디어 문해력은 ‘삶의 모든 측면에서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소비할 수 있는 능력으로, 사회에 온전히 참여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평생 문해력의 한 유형’이라고 정의된다. 미디어 기술이 진화함에 따라 미디어를 이용하는 기술과 역량도 업데이트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미디어 문해력은 모든 사람들에게 평생 지속되는 여정이다(Notley, 2021).

우리는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들의 욕구를 바탕으로 한 미디어 문해력 단기 강좌를 개발하기 위해서 호주 전 지역을 대상으로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들의 의견을 조사했다. 그 결과,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들이 일반 국민, 특히 성인을 대상으로 한 미디어 문해력 교육에 강한 책임의식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들은 또한 미디어 문해력에 대해 더 배우고, 관련 교육을 받고 싶어 했다. 이에 부응하여 호주도서관정보협회(Australian Library and Information Association, ALIA)와 캔버라대학교(University of Canberra)는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를 위한 7주 단기 강좌를 개발했고, 2022년에 총 2회의 강좌를 제공했다. 참가자는 44명이었다. 그런 다음, 도서관이 미디어 문해력 교육을 개발하고 제공하는 데 있어서 이 강좌가 얼마나 효과가 있었는지를 평가했다.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를 위한 미디어 문해력 단기 강좌(Media Literacy for LIS Professionals Short Course)’는 뉴스와 정보 미디어에 초점을 맞추어 미디어와 관련한 실용적인 지식을 제공하도록 기획되었다. 이 강좌의 목적은 도서관 및 정보 분야에서 일하는 전문가들이, 평생학습의 일환으로서, 일반인들에게 미디어 문해력을 가르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업데이트하는 것이다.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찾아 결정을 내리고, 행동을 하고, 판단을 하고, 온라인 플랫폼과 소셜 미디어에서 책임성 있게 정보를 공유하는 능력은 미디어 문해력의 핵심 요소이다.

연구팀은 2022년에 두 차례에 걸쳐 강좌를 진행한 후 실시간 세미나, 강좌 중간 및 완료 후 평가 설문조사, 강좌 완료 후 질적 인터뷰를 통해 포괄적으로 강좌를 평가했다. 학생들은 강의 내용, 형식과 길이, 저널리즘과 광고를 포함한 다양한 주제, 자기 주도 형식의 온라인 강의, 총 7주의 과정 등에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점수를 주었다.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들은 1) 기존에 갖고 있던 암묵적인 지식을 구조화된 공식 강의로 전환시켰다는 점, 2) 미디어 문해력 교육자로서 역량이 증진되었다는 점, 3) 미디어와 미디어 시스템을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 4) 자신을 포함하여 사람들의 미디어 소비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게 되었다는 점 등에서 이 강좌가 도움이 되었다고 말했다.

주요 결과 – 요약

ALIA 회원 설문조사

2021년에 실시한 1차 설문조사에서는 536명이 설문을 완료했는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미디어 문해력 교육 제공과 관련하여 분야별로 자신감 수준과 경험이 다르다

o 학교도서관 종사자들은 용어와 서비스의 이해, 온라인에서 공유할 자료/정보의 결정 등 온라인 활동에 대한 자신감이 가장 높았다.

o 사서교사들은 미디어 문해력의 모든 측면에서 자신감이 가장 높았고, 도서관 보조인력(assistant)들의 자신감이 가장 낮았다.

o 공공도서관 종사자들은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보다 기기(노트북, 스마트폰, 도서관 기기) 이용과 관련하여 지역 주민이나 일반인들을 지원하는 일이

더 많았다.

o 일반적으로 인터넷 및 기기 사용과 관련하여 노인과 가족/부모들이 도움을 요청하는 경우가 많았다.

• 지역사회에서는 미디어 문해력과 관련한 욕구가 다양하고, 노인과 어린이청소년 집단의 욕구가 다르다.

o 5년 전에 비해 더 많은 사람들, 특히 성인층에서 미디어 문해력과 관련한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

• 설문 응답자들은 스스로를 성인 미디어 문해력 교육 제공자로 간주한다.

o 응답자들은 도서관이 일반인들에게 미디어 문해력 교육을 제공할 책임이 있다고 느낀다.

o 공공도서관 종사자들은 도서관이 일반인 교육에 가장 큰 책임이 있다고 믿는다.

• 응답자들은 미디어 문해력에 대해 배우고 관련 교육을 받고자 하는 욕구가 강했다.

o 공공도서관 종사자들이 그러한 욕구가 가장 강했다.

o 도서관 보조인력들은 미디어 문해력 강의에 등록하려는 욕구가 높아 전문성 개발 지원에 대한 욕구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o 노인과 가족/부모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들이 미디어 문해력 강의에 가장 높은 관심을 보였다.

• 관심 주제는 분야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o 학교도서관 종사자들은 신뢰할 수 있는 자료를 찾고 안전하게 인터넷을 이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데 관심이 많은 반면, 공공도서관 종사자들은

일반인과 지역 주민들에게 효과적으로 미디어 문해력을 가르치는 방법을 배우고 싶어 했다.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를 위한 미디어 문해력 단기 강좌 평가

주요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미디어 문해력 단기 강좌에 등록한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o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들이 갖고 있는 평생학습 문화와 호기심

o 공식 학습을 통해 암묵적으로 알고 있는 내용을 구조화하고자 함

o 교육자로서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들이 미디어 문해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함

o 전문성 개발을 위해 역량을 높이고자 하는 욕구

•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학 분야에서는 일반인들을 위해 다양한 미디어 문해력 서비스와 교육을 제공한다.

o 도서관에 와서 기술 도움을 받는 이용자들에게 ‘끼워넣기’식으로 제공하는 미디어 문해력에 대한 인식과 교육을 제공한다.

o 수동적인 교육 및 인식 증진

o 비공식적인 미디어 문해력 교육

o 공식 교육/강의

•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이 단기 강좌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o 암묵적인 지식을 명시적인 지식으로 전환시킴

o 일반인들에게 미디어 문해력을 가르칠 수 있는 역량 구축

o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이해

o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미디어 소비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게 됨

서론


배경

미디어 문해력은 ‘삶의 모든 측면에서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소비할 수 있는 능력으로, 사회에 온전히 참여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평생 문해력의 한 유형’이라고 정의된다(Notley et al, 2021, p.10). 미디어 기술이 진화함에 따라 미디어를 이용하는 기술과 역량도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디지털 플랫폼이 등장하고 사람들이 정보와 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하는 방식에 그러한 플랫폼이 끼치는 영향으로 인해 일반인들이 비판적으로 미디어를 소비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발표된 호주 성인의 미디어 문해력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호주인들은 자신의 미디어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하고, 필요할 때 미디어 문해력과 관련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Notley et al, 2021).

일반 국민들에게 지속적인 평생교육을 제공하는 일에서 공공도서관과 같은 공적 기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디지털 포용성에 관한 연구 등 다수의 연구에서 비공식적인 네트워크와 중개자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Diaz et al, 2009; Powell, et al, 2010; Park, 2014). 새로운 기술을 선택하고 이용할 때 사람들의 행동은 대체로 주위의 사회적 지원그룹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호주의 성인들은 미디어 이용과 관련하여 가족이나 친구들로부터 대부분의 도움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Notley et al, 2021).

디지털 세상의 혜택을 누리고자 하는 동기는 지역사회, 직장, 동네, 가까운 친구와 가족 등 비이용자의 국지적인 사회적 환경에서 발생한다. 지역의 전문가들은 도움을 청하는 주변 사람들을 도와주고, 새로운 기술의 선택에 큰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맥락에서 도서관은 사람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미디어 문해력을 개발하고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 적응하는 데 필수적인 인프라를 제공한다. 도서관은 역사적으로 지역사회의 정보 문해력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임무를 맡아왔다. 도서관은 인프라가 갖추어져 있고, 지역의 광범위하고 다양한 구성원들과 관계를 맺고 있으며, 또한 사람들의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캔버라대학교는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들의 욕구를 바탕으로 미디어 문해력 단기 강좌를 개발하기 위해서 호주 전 지역을 대상으로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들의 의견을 조사했다. 우리는 2021년 10월, 11월, 12월에 ALIA 회원들을 대상으로 전국적인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도서관이 어떻게 미디어 문해력 중개자로서 기능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우리는 미디어 문해력과 관련하여 사람들에게 어떻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 미디어 문해력 교육의 측면에서 ALIA 회원들은 자신의 전문성 개발 욕구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에 대해 물었다. 우리는 이 조사를 통해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들 사이에서 미디어 문해력에 대해 더 배우고 관련 교육을 받고자 하는 강한 욕구가 있음을 발견했다. 이에 부응하여 ALIA와 캔버라대학교는 개인적으로 미디어 문해력을 이해하는 것만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교육시키고 지원하는 역할을 맡은 사람들을 위해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를 위한 미디어 문해력 단기 강좌(Media Literacy for LIS Professionals Short Course)’를 개발했다. 그렇게 해서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들을 위한 7주 단기 강좌를 개발했고, 2022년에 두 세션을 진행했다. 이 강좌를 2회 진행한 후에 연구팀은 중간 설문조사, 강좌 전반에 걸친 실시간 세미나, 강좌 완료 후 반구조화된 인터뷰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강의와 제공방식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연구방법

전국 설문조사

데이터 수집

2021년 10월 7일 목요일부터 12월 3일 금요일까지 ALIA 회원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메일 수신을 승낙한 개인 및 기관 회원) 1,582명에게 설문조사 참여를 요청하는 이메일을 발송하고 다시 세 차례에 걸쳐 확인 이메일을 발송했다. ‘온라인 스토리타임 소식지(Online Storytime Newsletter)’ 11월호에도 설문조사 참여를 요청하는 기사를 실었다. 또한 ALIA 소셜미디어 페이지를 통해서도 설문조사를 홍보했다. 그 결과, 총 536개의 설문 응답지가 수집되었다. 응답자들의 인구학적 특징은 표1과 2에 요약되어 있다.

응답자들의 인구학적 특징

표1. 응답자 요약


%

성별

남성

10

여성

82

논바이너리(Non-binary)

3

밝히지 않음

6

호주 원주민 및 토레스해협 섬주민

아니오

98

원주민

1

토레스해협 섬주민

0.5

원주민 및 토레스해협 섬주민

1

문화 및 언어적으로 다양한 집단

16

아니오

76

모름

8

출신 민족

오세아니아인(예: 호주인, 뉴질랜드인, 폴리네시아인)

31

유럽인(예: 영국인, 동유럽인)

66

기타

4

교육 수준

고등학교

2

인증서/디플로마

15

대학교

22

대학원

61

나이

중윗값

50

평균값

47

밝히지 않음

7


응답자들의 직업적 특징



%

직책

사서

38%

매니저

22%

도서관 테크니션(technician)

15%

사서 교사

15%

프로그램 제공

15%

도서관 보조인력

11%

기술 지원

8%

가정 도서관 서비스를 포함한 아웃리치 활동

6%

마케팅을 포함한 관리 또는 행정 업무

6%

기타: 구체적으로 적어주십시오.

9%

고객 대면 업무

83%

아니오

17%

기관 유형

학교도서관

24%

공공도서관

52%

학술 및 연구도서관

9%

직업전문학교/대학 도서관

3%

특수 또는 정부도서관(보건도서관 포함)

4%

국립 및 주립도서관

4%

기타

5%

주요 고객

6세 이하 아동

38%

초중고등학생

46%

직업전문학교/대학생

22%

성인

54%

부모 및 가족

40%

노인

45%

전문집단(예: 연구원)

10%

기타

11%

고객 중 타문화 및 외국어 사용자 비율

전체

4%

대부분

13%

일부

55%

소수

24%

없음

0%

모름

3%

분석

설문조사 데이터의 분석에서는 기관에서의 역할, 기관 유형, 주요 고객 기반의 세 가지 요소를 고려했다. 기관에서의 역할은 프로그램 제공과 아웃리치 역할을 포함한 관리 또는 행정 업무, 사서, 사서교사, 도서관 보조인력, 도서관 테크니션으로 분류했다. 또한 학교도서관, 공공도서관, 기타 도서관으로 나누어 응답자들을 비교했다. 세 번째 요소인 주요 고객 기반은 노인, 성인, 가족/부모, 어린이청소년(12학년 이하)으로 구분했다. 응답자들은 하나 이상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

표2. 범주별 응답자 구분



개/명

기관

학교도서관

97

공공도서관

211

기타

100

역할

사서

156

사서교사

60

도서관 테크니션

62

도서관 보조인력

47

관리/행정/아웃리치

195

주요 고객 기반

어린이청소년

200

성인

184

부모/가족

135

노인

153

*역할 및 주요 고객 기반에 관한 질문들에서 응답자는 여러 개의 답변을 선택할 수 있었다.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를 위한 미디어 문해력 단기 강좌 평가

내용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를 위한 단기 강좌는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들이 전문성 개발 노력의 일환으로서 미디어 이용과 관련한 비판적 사고 능력을 개발하고 다른 사람들을 교육시킬 때 사용할 수 있는 자신만의 미디어 문해력 도구를 구축하도록 돕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강좌는 7주에 걸쳐 자기 주도식으로 온라인에서 진행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6개의 주제를 다루었고, 마지막 주에는 최종 정리시간을 가졌다.

참가자들이 강좌에서 얻은 지식을 체크해 볼 수 있도록 주제별 학습목표를 제공했는데, 여기에 이 강좌의 전반적인 목표가 반영되어 있다. 주제 목록과 주제별 학습목표는 부록 2에 있다. 이 강좌에서 이용된 학습자료는 캔버라대학교 캔바스 사이트(웹사이트 또는 모바일 앱 이용)에서 얻을 수 있다.

이 평가는 2022년에 두 차례에 걸쳐 강좌를 제공하면서 얻은 결과이다.

등록

2022년에 2회의 강좌가 모두 완료되었다. 1차는 5월 2일부터 6월 17일까지 진행되었고, 2차는 7월 18일부터 9월 2일까지 진행되었다. 총 44명이 29개 세션을 완료(학습자료 80% 이상 완료)하여 강좌 이수자에게 제공하는 디지털 배지를 받았다.

평가 방법

온라인 실시간 세미나, 중간 설문조사, 완료 후 설문조사, 사후 인터뷰 등 일련의 평가방법을 사용하여 강좌 중간에 그리고 종료 후에 참가자들로부터 피드백을 받았다. 참가자들은 또한 캔바스 사이트에서 또는 연구팀 이메일 계정(ucmedialiteracy@canberra.edu.au)으로 메일을 발송하여 강좌에 대해 질문하거나 관련 문제들을 논의했다.

온라인 실시간 세미나: 4주와 7주(마지막 주)차에는 한 시간 동안 다른 참가자 및 교육팀과 함께 하는 세미나를 진행했다. 세미나에서 참가자들은 자신의 수강 상황과 강의에서 어려운 점, 자신의 현장 경험, 미디어 문해력과 관련하여 강좌에서 배운 내용을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등에 대해 논의했다. 세미나 참가 인원은 2-5명이었다.

2022년에 총 4회의 세미나가 진행되었다.

표3. 세미나

강좌 차수

4

7

1

5월 25일

6월 16일

2

8월 11일

9월 1일


피드백 설문조사: 강좌 중간(4주)에 그리고 종료 후(7주)에 피드백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중간 설문조사에서는 참가자들에게 강좌에서 가장 유용하거나 재미있는 부분과 가장 유용하지 않거나 재미가 없는 부분이 무엇인지, 남은 강좌에서는 무엇을 하고 싶은가에 대해 물었다. 완료 후 설문조사에서는 참가자들에게 강좌를 이수하는 데 어느 정도의 시간을 투자했는지를 묻고, 이 강좌의 종합적인 가치와, 관심도와 유용성 측면에서 각 주제를 평가해 줄 것을 요청했다. 참가자들로부터 총 24개의 응답이 수거되었다.

표4. 피드백 설문조사 응답

강좌 차수

중간 설문조사

완료 후 설문조사

1

4

10

2

2

8



완료 후 인터뷰: 강좌를 완료한 후에는 참가자들에게 질적 인터뷰(60분)에 참여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인터뷰 참가자들에게는 보상으로 50달러 상당의 상품권을 제공했다. 교육팀은 2회의 강좌로부터 참가자 총 8명을 인터뷰했다. 인터뷰는 모두 녹음하여 주제 분석을 실시했다.

전국 설문조사 결과


서론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을 포함하여 도서관은 평생에 걸친 문해력을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인 대상의 미디어 문해력 교육과 관련하여 사서들이 자신의 역할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보기 위해 우리는 2021년 10월, 11월, 12월에 호주 전역에 거주하는 ALIA 회원들을 상대로 온라인상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미디어 문해력의 중개자로서 도서관이 어떻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조사한 이 설문조사에 총 536명이 응답했다. 이 설문조사에서는 이용자들의 미디어 문해력 욕구에 도서관이 어떻게 부응하고 있는지 그리고 ALIA 회원들은 미디어 문해력 교육과 관련하여 자신의 전문성 개발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에 대해 물었다.

설문조사 결과, 우리는 ALIA 회원들이 스스로를 미디어 문해력 교육 제공자로 간주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응답자들은 또한 도서관이 미디어 문해력 교육을 제공할 책임이 있다고 답했다. 공공도서관 종사자들이 성인 교육에 대한 책임감을 가장 많이 느꼈는데, 이것은 노인과 가족/부모들이 도움을 요청할 가능성이 가장 높고, 공공도서관 종사자들이 기기(노트북, 스마트폰, 도서관 기기 등) 이용법과 관련하여 지역 주민이나 일반 이용자들을 지원할 가능성이 가장 높기 때문일 것이다.

미디어 문해력과 관련한 도움이나 조언을 요청하는 건수가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공공도서관과 성인들에게서 이러한 동향이 두드러졌다. 코로나19 사태 중에 헌신적이고 전문성을 갖춘 직원들이 있는 안전한 장소로 간주되는 공공도서관에서 다양한 유형의 디지털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많은 도서관들은 코로나19 사태 중에 정부의 공중보건 조치에 관한 신뢰성 있는 정보를 얻으려는 사람, 봉쇄기간 중 스마트폰으로 통행증을 신청하거나 정부의 코로나19 ‘체크인’을 신청하는 방법 등 현실적인 도움을 원하는 사람 등 코로나19와 관련하여 정보와 지원을 요청하는 사람의 수가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기관 유형을 불문하고 설문에 참여한 모든 응답자가 미디어 문해력을 자신의 업무 영역 중 하나로 보았지만, 미디어 문해력 교육의 제공과 관련한 자신감 수준이나 경험은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문해력의 모든 측면에서 사서교사들이 가장 자신감이 높았고, 학교도서관에서 근무하는 응답자들이 온라인 활동에 가장 높은 자신감을 보였다. 공공도서관 종사자들은 자신감이 더 낮았는데, 모든 분야에서 도서관 보조인력들의 자신감이 가장 낮았다.

주요 결과

미디어 및 미디어 테크놀로지와 관련한 지원을 제공할 때 자신감이 높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인터넷과 도서관 자원, 디지털 기기나 앱을 이용한 일반적인 온라인 검색과 관련해서는 다른 사람들을 지원하는 데 상당한 자신감을 보였다. 그러나 웹사이트의 서비스 계약조건을 이해하고, 사진이나 비디오를 편집하고, 사이버폭력과 온라인 괴롭힘에 대응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자신감이 더 낮았다.

도서관 이용자 지원과 관련한 경험은 활동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예를 들어 기기나 온라인 자원의 이용과 관련해서 이용자들을 도와준 경험은 많지만,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이용하고, 온라인에서 결정을 내리고, 사이버폭력이나 온라인 괴롭힘에 대응하는 일과 관련해서는 이용자를 지원한 경험이 많지 않았다.


ALIA 회원들의 이용자 지원과 관련한 자신감 수준 및 경험(%)

그림1. ALIA 회원들의 이용자 지원과 관련한 자신감 수준 및 경험(%)

Q1. 다음과 같은 일에서 도움이 필요한 이용자가 있을 때 귀하는 어느 정도의 자신감을 갖고 있습니까? 높은 자신감 = ‘상당히 자신 있다’ 또는 ‘매우 자신 있다’

Q2 현재 하시는 업무에서 다음과 관련하여 이용자를 지원한 경험이 있습니까? 해당하는 활동을 모두 선택하십시오. 4.2%가 ‘해당사항 없음’이라고 답했다.

학교도서관 종사자들은 온라인 활동에서 다른 응답자들보다 자신감이 더 높다

학교도서관 종사자들은 공공도서관 종사자(70%)나 다른 도서관 종사자들(67%)에 비해 미디어 문해력 교육에 관한 정보와 자료를 찾는 일에서 더 높은 자신감(79%)을 보였다.

학교도서관 종사자들은 또한 온라인 사이트의 서비스 계약을 이해하고 온라인에서 공개할 정보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일에서도 더 높은 자신감을 보였다.



기관 유형별 자신감 수준(%)

그림2. 기관 유형별 자신감 수준(%)

사서교사들은 미디어 문해력의 모든 측면에서 자신감이 가장 높다

사서교사들이 미디어 문해력의 모든 측면에서 자신감이 가장 높았고, 도서관 보조인력들이 자신감이 가장 낮았다.


역할별 자신감 수준(%) *복수 응답

그림3. 역할별 자신감 수준(%) *복수 응답

공공도서관 종사자들은 디지털 기기의 사용과 관련하여 이용자들을 지원한 경험이 더 많다

기관 유형에 따라 이용자를 지원한 경험이 달랐다. 학교도서관 종사자들은 공공도서관이나 다른 도서관 종사자들에 비해 가정에서 또는 도서관 목록에서 자료 찾기, 미디어와 저작권, 온라인에서 공개할 정보 결정하기 등과 관련하여 이용자들을 지원한 경험이 많았다. 공공도서관 종사자들은 기기(노트북, 스마트폰, 도서관 기기 등) 사용과 관련하여 다른 도서관 종사자들에 비해 이용자를 지원한 경험이 더 많았다.

표5. 기관 유형별 이용자 지원 경험(%)


학교도서관

공공도서관

기타

도서관 목록에서 자료 찾기

36

21

22

일반적인 인터넷 사용법

27

47

29

도서관이 제공하는 기기의 이용

16

15

7

노트북이나 컴퓨터 이용하기

28

46

27

가정에서 도서관의 전자자료 이용하기

32

26

29

인터넷에서 필요한 정보 찾기(예: 건강 관련 정보, 구직 정보)

51

51

48

스마트폰 이용하기

5

56

27

도서관에서 인터넷 이용하기

2

5

13

미디어와 저작권(예: 보고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개방형 라이선스 이미지 찾기)

21

0

10

스마트폰에서 사용할 앱 선택하기

4

6

8

사진이나 비디오 편집하기

1

4

4

미디어 문해력 관련 교육에 도움 되는 자료 찾기

6

2

11

소셜미디어(예: 페이스북)에서 프라이버시 설정 변경하기

12

10

16

온라인에서 어떤 정보를 공개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 내리기

21

9

18

온라인 사이트의 서비스 계약조건 이해하기

16

1

7

온라인 커뮤니티 찾기

3

1

1

사이버폭력에 대응하도록(중단시키거나/예방하거나/신고하도록) 돕기

9

2

8

온라인 괴롭힘에 대응하도록(중단시키거나/예방하거나/신고하도록) 돕기

5

1

7


호주의 노인과 어린이청소년 집단은 미디어 문해력 관련 욕구가 다르다

지역사회의 구성원 중 노인과 가족/부모들이 일반적인 인터넷 사용 및 기기 이용과 관련하여 도움을 요청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젊은 사람들은 정보 검색이나 도서관 자원 이용과 관련하여 도움을 요청할 가능성이 더 높다. 도서관에서 앱이나 사진/비디오 편집, 온라인 사이트 관련 정보에 대해 도움을 요청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표6. 고객 기반별 이용자 지원 경험(%) *복수 응답


어린이청소년

성인

가족/부모

노인

도서관 목록에서 자료 찾기

26

21

23

22

일반적인 인터넷 사용법

37

44

48

50

도서관이 제공하는 기기의 이용

14

11

16

16

노트북이나 컴퓨터 이용하기

43

45

50

48

가정에서 도서관의 전자자료 이용하기

30

27

26

24

인터넷에서 필요한 정보 찾기(예: 건강 관련 정보, 구직 정보)

46

47

43

44

스마트폰 이용하기

34

53

53

57

도서관에서 인터넷 이용하기

5

7

3

7

미디어와 저작권(예: 보고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개방형 라이선스 이미지 찾기)

9

4

1

1

스마트폰에서 사용할 앱 선택하기

6

5

7

7

사진이나 비디오 편집하기

3

3

3

4

미디어 문해력 관련 교육에 도움 되는 자료 찾기

4

3

3

2

소셜미디어(예: 페이스북)에서 프라이버시 설정 변경하기

11

11

10

10

온라인에서 어떤 정보를 공개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 내리기

15

11

10

8

온라인 사이트의 서비스 계약조건 이해하기

7

5

3

1

온라인 커뮤니티 찾기

2

1

2

1

사이버폭력에 대응하도록(중단시키거나/예방하거나/신고하도록) 돕기

5

2

2

2

온라인 괴롭힘에 대응하도록(중단시키거나/예방하거나/신고하도록) 돕기

3

1

1

1


이용자들은 정보 검색 및 기기 이용과 관련하여 가장 많은 도움을 필요로 한다

이용자들이 가장 흔히 도움을 요청하는 활동은 (1) 인터넷에서 정보 찾기 (2) 일반적인 인터넷 사용 (3) 기기(스마트폰, 노트북과 컴퓨터 등) 이용이다.

표7. 이용자들이 가장 도움을 요하는 활동


상위 3개에 포함됨

인터넷에서 필요한 정보 찾기(예: 건강 관련 정보, 구직 정보)

50

일반적인 인터넷 사용법

39

스마트폰 이용하기

37

노트북이나 컴퓨터 이용하기

36

가정에서 도서관의 전자자료 이용하기

27

Q3 이용자들이 가장 도움을 요하는 활동 세 개를 고르십시오.

과거에 비해 더 많은 사람들이 도움을 필요로 한다

응답자들은 도움이나 조언을 요청하는 이용자의 수가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응답자의 45%는 미디어 및 미디어 테크놀로지와 관련하여 과거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도움이나 조언을 요청한다고 답했고, 수요가 줄어들었다고 답한 비율은 8%에 불과했다. 응답자의 3분의 1 가량(32%)은 과거와 대체로 비슷하다고 생각했다.


도움이나 조언에 대한 이용자 수요 변화

그림4. 도움이나 조언에 대한 이용자 수요 변화


Q4 지난 5년간 앞의 질문(Q2와 Q3)에 나열된 활동과 관련하여 도움이나 조언을 요청하는 사람들의 수에 변화가 있었습니까?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은 과거보다 더 많은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

공공도서관 종사자들(54%)은 학교도서관 종사자들(31%)에 비해 지난 5년간 도움을 요청한 사람들의 수가 증가했다고 느꼈다. 학교도서관 종사자의 절반 이상(55%)은 5년 전과 수요가 비슷하다고 답했다. 도움 요청이 줄었다고 답한 응답자는 소수였다.

표8. 기관 유형별 도움이나 조언에 대한 이용자 수요 변화


학교도서관

공공도서관

기타 도서관

더 많은 사람들이 도움이나 조언을 요청한다

31

54

42

수요가 과거와 대체로 비슷하다

55

24

30

수요가 줄어들었다

4

7

9

잘 모름

10

16

19


호주 성인들의 미디어 문해력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도서관 종사자들이 느끼는 변화는 고객 유형에 따라 상당히 차이가 있었다. 일반인, 가족/부모, 노인 이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답자들은 지난 5년간 도움이나 조언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고 느꼈다.

주요 고객 기반별 도움이나 조언에 대한 이용자 수요 변화

주요 고객 기반별 도움이나 조언에 대한 이용자 수요 변화

그림5. 주요 고객 기반별 도움이나 조언에 대한 이용자 수요 변화 *복수 응답

미디어 문해력 교육에 책임을 느낀다

시민들의 미디어 문해력을 높이는 일은 누구의 책임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가장 많은 수의 응답자(75%)가 학교를 꼽았고, 도서관(73%)이 그 뒤를 이었다. 응답자의 40%는 미디어 문해력을 증진할 책임이 개인에게 있다고 답했다.

시민들의 미디어 문해력 교육에 대한 책임성(상위 3개)(%)

그림6. 시민들의 미디어 문해력 교육에 대한 책임성(상위 3개)(%)


Q5. 시민들의 미디어 문해력을 증진할 책임이 누구에게 있다고 생각합니까? 책임성 수준이 높은 순서대로 세 개를 고르십시오.


공공도서관이 일반인들에게 미디어 문해력 교육을 제공할 책임이 있다고 믿는다

응답자들은 기관 유형에 따라 시민들의 미디어 문해력 교육에 대한 책임 수준이 다르다고 생각했다. 학교도서관 종사자들은 대부분(94%)이 중고등학교를 시민 교육에 책임이 있는 3대 기관 중 하나로 꼽았다. 반면, 공공도서관 종사자는 78%가 도서관을 3대 기관 중 하나에 포함시켰다.



기관 유형별 시민들의 미디어 문해력 교육에 대한 책임성(상위 3개)(%)

그림7. 기관 유형별 시민들의 미디어 문해력 교육에 대한 책임성(상위 3개)(%) *복수 응답



주요 고객 기반별 시민들의 미디어 문해력 교육에 대한 책임성(상위 3개)(%)

그림8. 주요 고객 기반별 시민들의 미디어 문해력 교육에 대한 책임성(상위 3개)(%) *복수 응답


미디어 문해력 강좌에 대한 관심도

미디어 문해력 교육에 대한 수요가 높다

우리는 응답자들에게 미디어 문해력 강좌가 있으면 등록할 의향이 있는지를 물었다. 응답자의 대다수(73%)는 온라인 단기 강좌를 통해 미디어 문해력 교육을 받고 싶다는 의사를 표현했다. 온라인 단기 강좌에 관심이 없다고 답한 경우는 11%에 불과했다.

온라인 미디어 문해력 단기 강좌에 대한 관심

그림9. 온라인 미디어 문해력 단기 강좌에 대한 관심


Q6 ‘이용자들의 미디어 문해력 관련 욕구를 보다 잘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 온라인 미디어 문해력 단기 강좌에 관심이 있습니까?


공공도서관 종사자들이 미디어 문해력 강좌에 가장 관심이 많다

학교도서관 종사자(67%)나 기타 도서관 종사자(60%)에 비해 공공도서관 종사자들(83%)이 미디어 문해력 강좌에 등록할 의향이 높았다. 또한 사서교사(72%)와 도서관 테크니션(63%)에 비해 도서관 보조인력(85%)과 사서(76%), 관리/행정/아웃리치 담당자(74%)가 미디어 문해력 단기 강좌에 더 높은 관심을 보였다. 부모/가족(84%)과 노인(84%) 집단에 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답자들이 성인(80%)이나 어린이청소년(76%)을 주로 상대하는 응답자에 비해 미디어 문해력 강좌에 관심이 더 많았다.

관심 주제

미디어 문해력 강좌에 포함될 수 있는 주제들 중에서 응답자들은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검색하고 식별하는 방법’, ‘이용자들을 가장 잘 지원/교육할 수 있는 방법’, ‘안전한 인터넷 이용’에 가장 큰 관심을 보였다. 저작권과 소셜미디어의 동향에 대한 관심이 가장 적었다.

표9. 관심 주제


상위 3개에 포함된 비율(%)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검색하고 식별하는 방법

57

이용자들을 가장 잘 지원/교육할 수 있는 방법

49

안전한 인터넷 이용

36

소셜미디어 및 인기 있는 디지털 플랫폼의 이용과 관련한 실질적인 기술

35

디지털 기술이 사람들의 정보 검색 및 정보 행동에 끼치는 영향

32

이용자들의 미디어 문해력 관련 욕구 평가

57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의 지구적,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맥락 이해하기

19

디지털 기기와 앱 및 연결성

18

소셜미디어의 동향과 영향

12

저작권

9

Q7 ‘이용자들의 미디어 문해력 관련 욕구를 보다 잘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중심으로 한 미디어 문해력 단기 강좌에서 어느 주제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중요도 순으로 세 개를 선택하십시오.


학교도서관 종사자와 사서교사들에게 가장 관심 있는 주제는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찾고 안전하게 인터넷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관심 주제는 기관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다. 학교도서관 종사자들은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찾고 안전하게 인터넷을 이용하는 방법에 가장 관심이 있는 반면, 공공도서관 종사자들은 이용자들에게 미디어 문해력을 가르치는 방법에 가장 관심이 높았다.



. 기관 유형별 관심 주제(%)

그림10. 기관 유형별 관심 주제(%)


사서들은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찾는 방법(56%), 미디어 문해력을 가르치는 방법(51%), 소셜미디어와 관련한 실질적인 기술(37%)에 관심이 있었다. 사서교사들은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찾는 방법(55%), 디지털 기술이 사람들의 행동에 끼치는 영향(49%), 안전한 인터넷 이용(37%)에 관심이 있었다.

역할별 관심 주제

그림11. 역할별 관심 주제 * 복수 응답


어린이청소년들에게 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답자들은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51%)과 이용자들을 가장 잘 지원하고 교육시킬 수 있는 방법(50%)에 가장 큰 관심을 보였다.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답자들은 디지털 문해력을 가르치는 방법(60%),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48%), 안전하게 인터넷을 이용하는 방법(36%)에 관심이 있었다. 노인층을 주요 고객 집단으로 하는 응답자들은 디지털 문해력을 가르치는 방법(62%),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45%), 소셜미디어 및 인기 있는 디지털 플랫폼의 이용과 관련한 실질적인 기술(36%)을 관심 주제로 꼽았다.



주요 고객 기반별 관심 주제(%)

그림12. 주요 고객 기반별 관심 주제(%) * 복수 응답


선호하는 강좌 유형과 형식

선호하는 강좌 기간을 묻는 질문에 대다수의 응답자들(65%)이 3-13주 사이의 단기 강좌를 원했다. 13주 이상 강좌가 좋다는 응답자는 8%, 1주일 미만을 선호한 응답자는 7%였다.


선호하는 강좌 기간

그림13. 선호하는 강좌 기간

Q8. 온라인 미디어 문해력 단기 강좌의 학습 시간이 약 50시간(강의 12시간, 자료 읽기와 온라인 활동 38시간)이라고 가정할 때, 강좌의 길이와 강도에 대한 다음 질문에 답변해 주십시오. 귀하가 선호하는 기간은 어느 정도입니까?

좌의 형식에 대해 응답자의 대다수(75%)는 학습 시간을 자신이 선택할 수 있는 100% 자기 주도형 학습을 선호했다. 집중 강좌를 선택한 사람은 극소수였다.

표10. 선호하는 학습 방법


선호하는 강좌 제공방식(%)

비교적 짧은 기간에 집중된 학습

10

비교적 긴 기간에 여유 있는 학습 일정

16

학습의 강도와 기간을 내가 선택할 수 있는 자기 주도형 학습

73

Q9 강좌의 제공방식에서 선호하는 유형은 무엇입니까?

응답자들은 강사(55%) 및 다른 참가자들(52%)과의 상호작용 모두에서 온라인 토론게시판을 가장 선호했다. 실시간 상호작용을 원하는 응답자의 비율은 강사에 대해 43%, 다른 참가자들에 대해서는 34%였다.

표11. 선호하는 학습 활동 유형


선호하는 활동(%)

온라인 토론게시판을 통해 강사와 상호작용

55

온라인 토론게시판을 통해 다른 참가자들과 상호작용

52

이메일 또는 문자 메시지를 통해 강사와 상호작용

47

강사와 온라인에서 실시간으로 상호작용

43

다른 참가자들과 온라인상에서 실시간으로 상호작용(온라인 회의)

34

이메일 또는 문자 메시지를 통해 다른 참가자들과 상호작용

25

Q10 온라인 강좌에서 선호하는 상호작용의 유형은 무엇입니까? 선호하는 유형을 모두 선택하십시오.

미디어 문해력 단기 강좌에 관심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들은 근무시간보다는 퇴근 후와 주말에 학습하는 것을 선호했다(42%). 휴가를 내어 강좌를 수강하겠다고 답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

표12. 선호하는 학습 패턴


선호하는 학습 패턴(%)

퇴근 후 및 주말

42

근무시간

17

휴가를 낸다

0.3

위의 패턴이 혼합된 형태

40

Q11 단기 강좌에 등록한다면 언제 강의를 수강하시겠습니까?


선호하는 수료 형식에 대해 물었을 때 응답자의 44%는 자신의 전문성 개발을 위해 등록할 것이라고 답했다. 약 4분의 1(26%)은 대학교에서 제공하는 마이크로 자격증 강좌를 원한다고 답했고, 27%는 선호사항이 없다고 답했다.


선호하는 수료 형식

그림14. 선호하는 수료 형식

Q12 선호하는 미디어 문해력 온라인 단기 강좌를 선택하십시오.


학교도서관 종사자들은 마이크로 자격증 형식으로 제공되는 강좌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공공도서관 종사자의 절반 가량은 자신의 전문성 개발을 위해 미디어 문해력 강좌를 수강할 것이라고 답했다.


기관별 선호하는 수료증 형식

그림15. 기관별 선호하는 수료증 형식



우리는 또한 수강료를 내고 그러한 강좌에 등록할 의향이 있는지를 물었다. 마이크로 자격증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30%가 수강료를 낼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은 잘 모르겠다고 답해 마이크로 자격증의 가치에 대해 확신이 없음을 내비쳤다.

수강료를 내고 마이크로 자격증 강좌에 등록하려는 의향

그림16. 수강료를 내고 마이크로 자격증 강좌에 등록하려는 의향

Q13 대학교에서 제공하는 마이크로 자격증 강좌인 경우 수강료를 낼 의향이 있습니까?


교육과 전문성 개발

전문성 개발 활동에의 참여

응답자의 대다수(89%)가 지난해에 전문성 개발 활동에 참여했다고 답해 ALIA 회원들이 정기적으로 전문성 개발 교육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표13. 전년도에 교육이나 전문성 개발 활동에 참여 여부


전년도 참여(%)

있음

89

없음

11

Q14 지난 12개월간 교육이나 전문성 개발 활동에 참여한 적이 있습니까?

전문성 개발 활동 중 가장 흔한 유형은 (1) 웨비나 및 세미나 참석 (2) 전문성 관련 독서(3) 교육 이수였다. 응답자의 약 4분의 1(23%)은 전문성 개발의 일환으로 연구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전문성 개발 활동의 유형(%)

그림17. 전문성 개발 활동의 유형(%)

Q15 참가하신 주요 교육/전문성 개발 활동을 선택하십시오. 해당하는 모든 활동을 선택하십시오.


학교도서관 종사자의 대다수(90%)는 웨비나 또는 세미나에 참석했고, 87%는 전문성 관련 독서를 했다고 답했다. 연구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의 수는 많지 않았다(19%). 공공도서관 종사자들은 웨비나 또는 세미나에 참석하는 비율이 높았고(84%), 외부 교육자가 제공하는 교육을 이수한 사람도 많았다(75%).

기관별 전문성 개발 활동의 유형(%)

그림18. 기관별 전문성 개발 활동의 유형(%)


사서교사들이 전문성 개발 활동에서 가장 적극적이었는데, 95%가 지난해에 전문성 관련 독서를 했고, 81%가 웨비나 또는 세미나에 참석했으며, 70%가 기관 내외부에서 제공하는 교육에 참가했다.

역할별 전문성 개발 활동의 유형(%)

그림19. 역할별 전문성 개발 활동의 유형(%)

전문성 개발을 위한 지출

지난해에 응답자의 약 3분의 1(34%)이 자비를 들여 교육에 참가했다. 48%는 기관에서 참가비를 지원받았다. 무료 강의에 참가한 비율은 18%에 불과했다.

표14. 교육 참가비


참가비(%)

무료

18

기관에서 지불

48

200달러 미만

12

200-400달러

12

400-800달러

3

800달러 이상

5

기억 안남

2

Q16 지난해에 교육비로 얼마를 지출하셨습니까? 하나 이상의 교육을 받으셨다면 가장 최근 이수한 교육에 지출한 비용을 답해주십시오.


전문성 개발에 대한 욕구

개방형 질문으로써 전문성 개발이 가장 필요한 영역이 무엇인지를 물었을 때 응답자들은 ‘미디어 문해력(디지털 문해력/정보 문해력 포함)’을 1위로 꼽았다. 관리 및 리더십 기술과 연관 분야의 전문 지식/기술 역시 수요가 높았다.

표15. 전문성 개발이 가장 필요한 영역(제1순위)

전문성 개발이 가장 필요한 영역

미디어 문해력

97

관리 및 리더십

29

연관 분야의 전문 지식/기술

29

교육방법

20

기술 동향

14

소프트웨어/기기 등의 기술 이용

11

커뮤니케이션

10

고객 서비스

9

저작권

8

소외집단에 대한 포용성 및 문화 교육

8

연구

8

마케팅

5

전략

4

재정

1

Q17 귀하에게 가장 필요한 전문성 개발 또는 교육 주제는 무엇입니까? 참고로, 미디어 문해력은 디지털 문해력이나 정보 문해력과 같은 유사한 문해력 영역을 포함합니다.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를 위한 미디어 문해력 단기 강좌 평가 결과



“대안적 사실이라든지 (...) 지금은 어느 것이나 정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 너무도 많은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잖아요. 그래서 도대체 무엇이 옳은지를 알 수 없는 지경이 되었습니다. 이런 혼돈 속에서 어떻게 다시 질서를 잡을 수 있을까요? 혼돈 속에서 질서를 잡는 일을 잘하는 사람이 누구인가요? 바로 정보 전문가와 사서들입니다.” (인터뷰 #4)

서론

이 섹션에서는 2022년에 뉴스미디어연구센터(News and Media Research Centre)의 교육팀이 2회에 걸쳐 제공한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를 위한 미디어 문해력 단기 강좌’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평가 결과를 요약하였다. 온라인에서 제공된 이 강좌는 동영상 강의 자료, 참고자료, 퀴즈 등 활동 자료, 대화형 비디오와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수업 후 교육팀과 참가자들이 만나는 실시간 온라인 워크숍(1시간)을 차수당 두 차례씩 진행했다. 강좌가 진행되는 기간 동안 우리는 참가자들에게 패들렛(Padlet)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여 자신만의 ‘미디어 문해력 도구모음’을 만들도록 권장했다. 참가자들은 주로 뉴사우스웨일스 주에서 왔지만, 서호주, 캔버라, 빅토리아, 퀸즐랜드, 태즈메이니아 주와 뉴질랜드에서도 왔다. 미국과 슬로바키아에서도 두 명이 참가했다. 참가자들은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 도서관, 학교도서관, 공공도서관 등 다양한 도서관에서 근무했다.

총 44명이 29개 세션을 완료(학습자료 80% 이상 완료)하여 강좌 이수자에게 제공하는 디지털 배지를 받았다. 강좌 중간에 그리고 완료 후에 피드백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중간 설문조사의 경우, 1차 강좌에서 4개 그리고 2차 강좌에서 2개의 설문지가 수거되었다. 종료 후 설문조사는 1차에서 10개, 2차에서 8개의 설문지가 수거되었다. 강좌를 종료한 후에는 참가자들에게 질적 인터뷰(60분)에 참여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인터뷰 참가자들에게는 보상으로 50달러 상당의 상품권을 제공했다. 교육팀은 2회 강좌로부터 총 8명의 참가자를 인터뷰했다. 인터뷰는 모두 녹음하여 주제 분석을 실시했다.

평가 설문조사 결과

2회의 강좌를 통해 중간 설문조사와 강좌 완료 후 설문조사부터 총 24개의 유효한 설문지가 수집되었다. 설문조사 결과는 이 24개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강좌 콘텐츠와 활동

설문 응답자들은 미디어 문해력에 대한 기존 지식을 발전시키고 새로운 지식과 도구를 습득하는 데 본 강좌가 좋은 출발점이 되었다고 말했다. 대부분은 또한 이 강좌의 콘텐츠가 자신이 가지고 있던 기존 지식을 보완해 주었다고 답했다(중간 설문조사 100%, 완료 후 설문조사 70%).

응답자들이 유용하다고 생각했던 상위 5가지 콘텐츠 유형과 활동은 ‘실제 사례’, ‘자신만의 미디어 문해력 도구모음 개발하기’, ‘읽기 자료’, ‘짧은 대화형 비디오’, ‘대화형 콘텐츠’였다. 가장 흥미롭고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 세 가지 주제는 ‘미디어란 무엇인가’, ‘미디어 문해력은 왜 중요한가’, ‘관심 경제’, ‘광고와 나’, ‘뉴스와 미디어 편향성 이해하기’였다.

응답자들은 또한 다른 참가자들과의 교류와 토론이 도움이 되었다고 말했다.

강좌를 이수하는 데 투자한 시간과 학습 성과

강좌를 이수하는 데 들인 주당 학습시간은 참가자마다 달랐는데, 19.5시간이 가장 많았고 2.5시간이 가장 적었다. 주당 3시간 이상이 가장 보편적이었다.

응답자들은 뉴스와 정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미디어 문해력 자원을 잘 활용하는 방법을 배운 것이 이 강좌에서 얻은 가장 중요한 성과라고 답했다.

가치

응답자들은 본 강좌에서 다양한 최신 자료와 도구, 실제 사례와 상호적인 활동이 유용하고 재미가 있었다고 답했다.

이 강좌의 전체적인 가치에 대한 물음에 설문 응답자들은 들인 비용만큼 가치가 있었다(83%), 강좌가 재미있었다(94%), 새로운 기술을 배웠다(94%), 다른 동료들에게 추천할만하다(94%)라고 답했다.

향후 강좌를 위한 제언

응답자들은 향후 강좌에서 고려할 점으로 다음을 제안했다.

• 코로나와 호주 상황을 넘어서 사례를 확대할 것

• 실시간 교류를 늘릴 것

• 강의 녹취록 공유

강좌 완료 후 인터뷰 결과

강좌에 대한 평가 설문조사와 실시간 세미나 중에 받은 피드백에 더하여 우리는 또한 강좌를 완료한 후 참가자들과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2022년 8월부터 10월 사이에 총 8명의 참가자를 인터뷰했다. 인터뷰 참가자들의 인적 사항은 표13에 요약되어 있다.

표13. 인터뷰 참가자

유형

범주

성별

1

7

도서관 유형

공공도서관

5

학교도서관

1

학술도서관

1

기타

1


미디어 문해력 강좌에 등록하게 된 이유

강좌가 진행되는 동안 그리고 중간 및 강좌 완료 후 진행된 조사에서 참가자들은 사서와 정보서비스 전문가들이 갖고 있는 평생학습 문화와 호기심이 주된 동기라고 말했다. ‘우리는 언제나 배울 게 있는 것 같아요.’(인터뷰 #1) 참가자들은 또한 정보를 공유하는 문화,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 새로운 주제에 대해 배우려는 열정에 대해 언급했다.

“대체로 우리 사서들은 전문성 개발에 목말라 있습니다. 더 배우고 싶어 하고, 특히 우리 분야와 관련해서 새롭게 부상하는 주제가 있다면 더욱 그렇죠.” (인터뷰 #6)

일부 참가자들은 공식적인 학습을 통해 이미 암묵적으로 알고 있는 내용을 구조화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경험을 통해 배운 것들이 많은데 거기에 대해 한 번도 공식적으로 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거죠 (...) 내가 배운 것을 공식적으로 구조화할 수 있는 기회가 없었어요. 그래서 이 강좌가 그렇게 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인터뷰 #1)

몇몇 참가자들은 미디어/저널리즘과 정보 서비스를 혼합하여 교육의 범위를 확대한 것이 좋았다고 말했다.

“이 강좌에서는 정보 전문가들이 이 지식을 이용하는 방법과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나 저널리즘 전문가들이 이 지식을 이용하는 방법, 이 두 가지를 연결시킨 것 같아요 (…) 그래서 저는 이 강좌가 좋더라고요. 드디어 미디어와 정보 전문가들이 서로 연결된 거죠.” (인터뷰 #4)

호주 도서관에서 현재 제공하는 미디어 문해력 관련 서비스

참가자들은 소속기관의 프로그램에서 미디어 문해력 교육이 통합된 다양한 방식들에 대해 이야기했다. 첫 번째 유형은 미디어 문해력에 대한 ‘우발적인’ 인식 증진과 교육 활동이다. 즉, 이용자들이 기술적인 도움을 요청하러 왔을 때 도서관 직원이 미디어 문해력과 관련하여 개인정보나 허위 정보 등에 대한 내용을 살짝 알려주는 것이다.

“정보 이용에 관해서 가볍게 대화를 시작할 수 있겠죠. 기술 지원을 제공하면서 이용자에게 보안 설정은 어떻게 하고 있으시냐고 물어보면서 그런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겁니다 (…) 그렇게 해서 기회가 될 때마다 자연스럽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많이 있어요.” (인터뷰 #3)

응답자들은 소셜미디어나 컴퓨터 관련 기술을 잘 이용하지 않거나 어렵게 생각하는 사람들을 가르치는 문제와 관련하여 이러한 우발적인 교육을 언급했다.

두 번째 유형은 수동적인 교육과 인식 개선으로, 대표적인 예는 정보 문해력 관련 웹사이트를 볼 수 있는 QR코드가 있는 팸플릿과 자료를 도서관에 비치해 두는 것이다. 건강이나 약물 남용 관련 자료를 모아둔 거치대처럼 미디어 문해력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는 도서관이 있다.

세 번째 유형은 비공식적인 미디어 문해력 교육이다. 이러한 교육은 사전등록이 필요하거나 필요 없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또는 데스크에 찾아온 이용자들에게 도움을 제공하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비공식적인 교육과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의 예로 정부 웹사이트의 회원 가입을 도와줄 때, 디지털 사진 관리를 도와줄 때, 호주 도서관 앱인 ‘바로우박스(Borrowbox)’ 이용을 도와줄 때 등이 언급되었다.

네 번째 유형은 공식 교육/강좌이다. 이러한 유형의 예로는 주로 노인들을 대상으로 4-10주 기간에 걸쳐 제공되는 ‘아이패드 기본 강좌’, 매달 정기적으로 제공되는 기술 관련 강좌, ‘크리스마스 기간에 온라인에서 안전하게 쇼핑하는 방법’과 같은 공식 강좌가 있다.

타기관에서 제공하는 미디어 문해력 프로그램

인터뷰 참가자들은 또한 다른 기관에서 제공하는 유사한 미디어 문해력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언급했는데, 특히 아래 프로그램들이 매우 유용했다고 말했다.

• 굿씽스재단(The Good Things Foundation): https://www.goodthingsfoundation.org.au/

• 호주대학도서관협회(Council of Australian University Libraries)가 제공하는 ‘숙련된 디지털 챔피언/네트워크(Digital Dexterity Champions/Network)’. 디지털

숙련도 프레임워크(Digital Dexterity Framework)를 바탕으로 한다. https://www.caul.edu.au/about-caul/communities-practice/digital-

dexterity-community-practice

• 호주 멜버른에 자리한 스테이인터치(Stay In Touch). 사람들이 안전하게 기술을 이용하고, 기술이 주는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과 교육을 제공한

미디어 문해력 교육과 관련한 도서관의 역할

인터뷰 참가자들은 교육자로서 미디어 문해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도서관이 미디어 문해력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할 계획을 갖고 있기 때문에, 교육자로서의 역할이 있는 사서를 비롯하여 모든 사람이 디지털 문해력에 대해 알아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또는 자신의 역량을 확대하고 전문성을 개발하기 위해서 등을 언급했다.

도서관 종사자들은 스스로가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또한 그렇게 할 책임이 있다고 느꼈다. 이것은 1차 설문조사에서도 확인되었는데, ALIA 회원들의 73%가 도서관이 미디어 문해력 교육을 제공할 책임이 있다고 답했다. 이 점은 또한 허위 정보와 싸우는 일선 전문가로서의 정체성과 관련한 인터뷰에서도 등장했다.

“사서인 저에게는 허위 정보와 가짜 뉴스의 문제가 매우 중요한데, 사서들이 언제나 맞서 싸워야 하는 것 중 하나가 허위 정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3)

미디어 문해력 교육과 관련한 어려움

인터뷰 참가자들은 교육과 관련하여 느끼는 시간적 부담과 직원이나 동료들이 역량을 높이도록 독려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야 하는 어려움에 대해 이야기했다. 도서관 종사자들은 학습에 투자할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꼈다.

“모두 다 자기 일로 바쁩니다. 그래서 관리직에 있는 사람으로서 하루 종일 일선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시간 있을 때 이런 교육을 받으라고 말하기가 쉽지 않죠 (...) 해야 할 일이 너무 많거든요. 디지털 문해력이 왜 중요한지를 직원들이 절실히 깨닫도록 할 방법을 찾는 게 제 일입니다.” (인터뷰 #1)

“직장에서는 다른 일을 하느라 시간이 너무 없습니다. 교육을 조직하고 사람들을 참석시키고 그런 일을 할 시간이 없어요.” (인터뷰 #6)

미디어 문해력 교육에서 특히 어려움을 겪는 두 집단으로 문화적 및 언어적으로 다양한 이용자들과 젊은층이 언급되었다. 사서들은 이 두 집단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유형의 소셜미디어에 익숙하지 않아서 허위 정보나 가짜 뉴스를 식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또한 젊은 사람들은 소셜미디어나 허위 정보만이 아니라 전반적으로 도서관 활동에 참여시키기가 더 어렵다고 말했다.

많은 인터뷰 참가자들은 특별한 지원을 필요로 하는 집단으로 노인들을 꼽았다. 멀리 떨어져 있는 가족과의 화상전화 등을 목적으로 가족에게서 아이패드를 선물 받은 노인들은 아이패드나 앱 사용법을 몰라서 스트레스를 받았다.

“노인들이 크리스마스 같은 때에 가족들로부터 아이패드를 선물 받는 경우가 많은데, 이용자 한 분은 차라리 손수건 한 박스를 받았으면 좋겠다고 말씀하더라고요. 아이패드가 너무 싫으시대요.” (인터뷰 #1)

또한 요즘에는 앱을 통해서 병원 예약을 하고, 식당 등에 갈 때 코로나 앱을 다운로드하여야 하고, QR 코드를 이용하고, 지역에서 구할 수 없는 물건을 인터넷에서 구입하는 일이 보편화되면서 노인들이 기업과 정부에 의해 ‘온라인으로 내몰리는 상황’이지만, 앱의 이용이 끼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한다.

“기업이나 정부에서는 앱을 다운로드하면 일이 더 쉽다고 말을 해요. 그래서 노인들이 앱을 다운로드해서 쓰는 데 그러한 것들이 어떻게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는 모르는 거죠. 그런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지식과 인식이 없거든요.” (인터뷰 #8)

한 참가자는 젊은 층과 관련해서 선택적인 비판적 사고의 문제를 지적했다. 교육 환경에서는 비판적인 사고를 할지 몰라도 그것을 개인적인 삶의 영역으로까지 확장시키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학교 과제를 위해서 자료 조사를 할 때는 비판적 사고 능력을 활용할지 모르지만 일상에서 소셜미디어를 이용할 때도 항상 그렇게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아니거든요. 제가 볼 때는 그 간격을 좁히기가 아주 어렵습니다.” (인터뷰 #6)

일부 참가자들은 도서관에서 이용자들을 교육시킬 때 겪는 어려움 중 하나로 미디어 문해력 수준이 너무도 다양하다는 점을 들었다. 공공도서관은 이용자 집단의 연령이나 기타 인구학적 특징이 다양해서 특히 어려운 측면이 있다.

“사람들의 수준이 똑같지 않아요. 대학 강의에서는 대체로 수강생들이 비슷한 이해 수준을 갖고 있을 것으로 기대하지만, 도서관에 오는 사람들을 아주 다양하거든요.” (인터뷰 #1)

한 인터뷰 참가자는 미디어 문해력 교육에서 게임과 퀴즈를 이용해서 사람들이 ‘인터넷과의 게임에서 인터넷을 이길 수 있도록’ 역량을 강화시키고 이러한 교육과 역량 강화를 긍정적으로 볼 수 있도록 돕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했다.

“제가 볼 때 사람들이 허위 정보에 끌리는 이유는 자신이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이 알고 있다는 느낌을 갖고 싶기 때문이거든요. 그래서 큐아논(Q anon) 같은 극우주의 음모론에 빠지는 거예요. 그런 음모론은 사람들의 불안감이나, 어떤 식으로든 특별해지고 싶은 욕구를 이용하니까요. 그래서 저는 그걸 역으로 이용해서 이렇게 하면 인터넷을 이길 수 있다고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거죠.” (인터뷰 #4)

강좌에서 좋았던 점

콘텐츠

참가자들은 주제의 범위를 좋아했는데, 특히 저널리즘, 미디어 편향성, (자신을 홍보하는 데 집중하는) 홍보 문화와 관심 경제에 관한 내용을 좋아했다. 마케팅과 광고, 저널리즘 분야는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들에게는 새로운 영역인데, 일부 참가자들은 이러한 분야의 주제가 포함된 것을 보고 이 강좌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또한 강좌를 수강하면서 이 분야의 내용으로부터 가장 많은 것을 배웠다고 말했다.

“주로 도서관 일만 하니까 뉴스룸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는 잘 모르잖아요. 어떤 것이 좋은 저널리즘을 만드는지 (...) 저널리즘 같은 주제는 제게 새로운 내용이었어요.” (인터뷰 #4)

개인정보와 보안에 대한 관심은 더 적었는데, 그러한 주제에는 참가자들이 더 익숙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강좌 제공방식

참가자들은 강좌의 제공방식에 특히 관심이 많았는데, 모든 인터뷰 참가자가 자기 주도식 학습으로 인해 자신의 일정에 따라 학습할 수 있었다는 점이 가장 매력적이었다고 말했다. 참가자들은 대화형 비디오, 시나리오와 퀴즈를 좋아했으며, 읽기 자료 등 다양한 학습 방식이 혼합되어 지루하지 않게 강좌를 마칠 수 있었다고 했다.

“내용이 다양하고 균형 잡혀서 좋았어요. 사람마다 배우는 방식이 다양하다는 점에서 그렇게 여러 방식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인터뷰 #7)

반면, 패들렛의 토론게시판에 대해서는 반응이 좀 더 미온적이었다. 참가자들은 상호 간 교류와 토론을 중시했고 패들렛도 그러한 방향으로 나아갔다고 느꼈지만, 다른 참가자들과의 상호작용이 부자연스러울 수 있으며 캔바스의 토론게시판이 좀 더 유동적인 옵션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한 참가자는 어떤 주제가 올라올 때 모든 사람이 동시에 답변할 수 없기 때문에 주제별로 1-2주일 정도 답변 시간을 두어서 모두가 토론에 참여할 수 있게 하면 좋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일부 참가자들은 패들렛에 로그인을 해야 글을 쓸 수 있기 때문에 온라인 토론에 쉽게 참여할 수가 없었다고 말했다.

또한 몇몇 참가자들은 이 기회를 최대한 활용해서 모든 참고자료를 읽고 열심히 공부했다고 답했다. 디지털 배지를 받은 사람들이 이 강좌를 이수하는 데 투자한 시간은 192시간(주 평균 27시간)에서 10시간으로, 학습량을 늘리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해 참고자료 목록과 링크를 제공한 것이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강좌 길이와 비용

인터뷰와 설문조사에 응한 참가자들은 거의 만장일치로 강좌의 길이가 충분했다고 답했으나, 강좌가 재미있고 ‘콘텐츠가 좋아서’ 더 길었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답한 사람도 많았다(인터뷰 #3). 깊이를 더하고 강사 및 다른 참가자들과의 상호작용을 늘리기 위해 12주로 하면 좋겠다는 제안이 있었고, 특정 주제를 더 깊이 있게 다루는 심화과정이 있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있었다.

“강의들이 너무 좋아서 적어도 두 세션은 충분히 더 할 수 있었을 것 같아요.” (인터뷰 #3)

“더 했으면 싶었어요.” (인터뷰 #4)

인터뷰 참가자 8명 중 7명은 투자한 비용만큼 가치가 있었고, ALIA를 통해 제공되는 다른 강좌들과 비슷하거나 더 좋았고, 참가비가 적절했다고 생각했다. 참가자 한 명은 참가비가 약간 비싸다고 느꼈는데 자비로 참가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강좌의 효과

암묵적인 지식을 명시적인 지식으로 전환

참가자들은 암묵적인 지식이 명시적인 지식으로 전환되었다고 말했다. 이전에도 직관적으로 했던 일들인데 구조가 있는 것을 몰랐던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수평적 읽기(lateral reading)가 특별히 언급되었다.

“수평적 읽기에 대해서 알고는 있었지만 그 명칭을 사용하지는 않았어요 (...) 여러 가지 자료를 서로 비교해봐야 한다는 식으로 말했죠.” (인터뷰 #2)

“수평적 글쓰기에 대해서 알고 나니 안심이 되더라고요 (...) 사실 누구나 그렇게 하는 것 같은데 (...) 이 강좌를 통해서 제가 하는 많은 일들이 구조화되었습니다.” (인터뷰 #3)

참가자들은 또한 특정 영역에 대해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의 한계와 미흡함을 인지하고 있었다. 여기에는 정보의 검증 및 평가 도구, 광고의 이해 등이 포함되었다.

“처음에 그걸(체콜로지(Checkology) 수업, 퀴즈) 했을 때 절반 이상을 틀렸어요. 그동안 디지털 문해력과 디지털 미디어의 비판적인 이해를 다루어왔기 때문에 정말 충격을 받았죠. 그래서 제 자신에게 화가 나기도 했지만 새로운 눈을 뜨게 된 계기가 된 것 같아요.” (인터뷰 #1)

“퀴즈도 정말 좋았어요. 그렇게나 제가 모르는 게 많은지 몰랐거든요.” (인터뷰 #3)

“그 문제에 대해 제가 꽤 자신 있고 경험이 많은 이용자라고 생각했거든요. 광고를 선택하는 것이 정말 어렵다는 게 문제인 거 같아요.” (인터뷰 #8)

자신의 미디어 소비에 대한 비판적 인식

다수의 참가자들은 광고와 마케팅 등 미디어를 보다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인식하게 되었으며, 자신의 미디어 소비 행동도 비판적으로 고찰하게 되었다고 답했다.

“예를 들어, 제 인스타그램 피드가 스폰서 콘텐츠를 올리는 사람들로 가득 차 있는데 이제 그걸 훨씬 더 잘 알아보게 되었어요. 그리고 게시글의 상단 같은 곳에 스폰서 콘텐츠를 넣는 사람들에 대해 배우고 나니까 어떤 사람들이 그걸 하고 어떤 사람들이 안 하는지를 알아볼 수 있겠더라고요. 그런데 그게 쉽지는 않았어요.” (인터뷰 #2)

“이제는 모든 것을 분석하게 되었어요.” (인터뷰 #3)

일부 참가자들은 마케팅과 광고를 이해하고 나니 미디어를 경험하는 방식이 달라졌다고 말했다. 참가자들은 이구동성으로 프로그래매틱(programmatic) 광고와 그것이 소비자를 타켓팅하는 방식을 알고 나니 자신의 데이터가 온라인 광고에서 사용되는 방식을 이해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참가자들은 또한 미디어 소비 방식을 바꾸는 것에 대해 이야기했으며, 자신에게 특정한 온라인 광고가 보이는 이유를 훨씬 더 비판적으로 성찰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가장 인상에 남은 것은 프로그래매틱 광고였어요 (...) 이 강좌 덕분에 정말로 그러한 문제에 눈을 뜨게 되었죠. 이제는 모든 것을 분석하게 되었어요. 그런 것들이 얼마나 내 영역을 침범하는지, 얼마나 모든 것에 침투해 있는지를 깨닫게 되었습니다.” (인터뷰 #3)

“프로그래매틱 광고가 정말 놀라웠어요.” (인터뷰 #1)

다른 사람들의 미디어 소비에 대한 비판적 인식

많은 참가자들이 사람들의 미디어 사용에 대한 통계와 콘텐츠를 보고 놀랐으며, 특히 젊은 층의 뉴스 소비에 대해 우려했다.

“틱톡에서 뉴스를 얻는다면 정말 우려스러운 일입니다. 정말 정말 문제예요. 지식은 지식을 바탕으로 해서 쌓이고, 이런저런 정보 조각들을 수집하면 우리 뇌가 그런 정보들을 하나로 이어주는 건데 (...)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점들을 마구잡이로 모으면 그런 점들을 어떻게 연결하겠어요? 비판적 사고능력이 없고, 성찰할 시간이 없다면요.” (인터뷰 #8)

“사람들이 적절하게 정보를 처리하고 분석해서 좋은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이 우려스럽습니다. 어떤 통계들은 정말 경각심을 들게 하더라고요. 그 문제에 대해 더 깊이 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어요.” (인터뷰 #8)

날로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허위 정보 및 가짜 뉴스를 맥락화하기

인터뷰 참가자들은 본 강좌를 완료한 후 마케팅과 광고, 미디어 환경 그리고 미디어의 배후에서 어젠다와 미디어 이용을 조종하는 영리 기업들에 대해 보다 잘 이해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그전까지는 어떻게 우리가 가짜 뉴스에 둘러싸이게 되었는지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없거든요 (...) 어떻게 이런 상황에 이르렀는지 그런 거에 대해서 (...) 왜 그것을 하고, 그게 왜 존재하게 되었는가에 대해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어요. 왜 그런 것이 유행하고, 왜 사람들이 그런 걸 만들게 되었는지. 허위 정보가 일종의 사업과 같은 거죠. 요즘 세상에서 잘 나가는 사업인 거예요. 그걸 알고 나니까 굉장히 명료해졌어요. (인터뷰 #6)

몇몇 참가자들은 광고와 프로모션이 작동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자신의 업무로까지 확장시켜서 도서관을 홍보하는 데 그러한 지식을 활용할 방법을 고민했다.

“그런 작은 것들이 우리에게 도달하기까지 배후에서 어떤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지 (...) 영향력 있는 언어라는 것에 대해 배우고 나니까 어떻게 하면 우리도 그걸 이용해서 사람들이 우리를 지지하도록 만들 수 있을까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어요.” (인터뷰 #2)

참가자들이 그동안 이용자들에게 미디어 문해력 교육을 제공한 방식 또는 앞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방식

응답자들의 피드백을 보면 이 단기 강좌가 참가자 한 명에게만 영향을 끼친 것이 아니라 주위 동료와 도서관 이용자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들은 다음과 같은 행동을 통해 이 강좌에서 얻은 지식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었다고 말했다.

동료들을 위해 마이크로소프트 팀즈(Microsoft Teams)에 글을 올림: 강좌를 이수하면서 참가자들은 동료 팀원들이 이용하는 사내 게시판에 정기적으로 글을 올려서 이 강좌에서 논의된 내용과 정보를 공유했다.

참가자들은 또한 강좌를 완료한 후에 이 강좌의 콘텐츠와 미디어 문해력 도구를 이용해서 동료 직원들에게 프레젠테이션을 하거나, 다른 직원들이 (도서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자료조사나 고객 지원 방법 등에 관한) 프레젠테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미디어 문해력과 허위 정보에 관한 슬라이드를 제공했다.

학교 방문과 같은 다른 프로그램에 끼워넣기. 허위 정보와 관련해서 도서관이 개최하는 워크숍에 어린이청소년들의 관심을 끌기는 어려울 수 있지만, 사서들이 학교를 방문해서 도서관 이용법에 대해 설명할 때 분위기 전환용으로 ‘고우 바이럴(Go Viral)’과 같은 게임을 진행하거나 학생들과 함께 ‘ABC 사실 체크(ABC Fact Check)’를 해볼 수 있다.

“도서관에서 ‘거짓 vs. 진실’ 프로그램 같은 걸 하면 아이들이 별로 안 올 거예요. 아이들이 있는 곳으로 가서 해야죠.” (인터뷰 #6)

참가자들은 패들렛의 미디어 문해력 도구모음이 배운 내용을 기록하는 것만이 아니라 배운 내용에 대해 성찰해 보는 데에도 매우 유용하다고 답했다.

“일상에서 업무를 할 때 가장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까를 생각하게 해 줘요. 단순히 중요한 것에 표시하고 논의한 내용을 적어 넣는 것만이 아니라, 그것을 넘어서 생각하게 해 준다고 할까요?” (인터뷰 #1)

참가자들은 자신과 동료들의 학습을 위해서 그리고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유용한 자료를 골라 미디어 문해력 도구모음을 만들라는 제안에 적극 호응했다. 참가자들은 비디오, 링크, 읽기 자료 등 다양한 미디어를 수집하는 데 패들렛이 융통성 있고 유용했다고 답했다.

참가자들은 패들렛을 참고자료로 이용했다.

“사서들은 선정도서목록 같은 걸 좋아하잖아요 (...) 이것도 그런 좋은 자료목록 중에 하나인 거죠.” (인터뷰 #4)

참가자들은 또한 미디어 문해력 도구모음이 다른 사람들을 교육시킬 때도 유용한, 이 강좌에서 얻은 실용적인 자료가 되었다고 말했다.

“이 강좌를 통해서 지식만이 아니라 실제 현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미디어 도구모음까지 얻은 게 좋았습니다. 그리고 공공도서관에서 일하는 다른 사서들에게도 나눠줬어요.” (인터뷰 #4)

참가자들은 다른 사람들의 패들렛 링크도 수집해서 여러 사람이 다양한 관점에서 모은 자료들을 통합했다.

개선사항

상호작용 기회를 높일 것

설문조사와 인터뷰에 참여한 거의 모든 사람들이 다른 참가자들과의 교류가 더 많았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표했다. 응답자들은 미디어 문해력 영역에서 다른 참가자들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배운 내용을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 다른 참가자들의 관점과 생각은 무엇인지를 알고 싶어 했다.

“저는 토론을 좋아하는데,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를 하다 보면 항상 흥미롭고 배울 게 있거든요. 영감을 얻거나 때로는 논쟁거리를 찾게 되기도 하죠.” (인터뷰 #4)

참가자들은 보다 쉽게 답변하고 참여할 수 있는 캔바스에서 온라인 토론을 진행할 것을 제안했다.

“온라인 토론도 다른 사람들이 쓴 글에 답글을 달면서 대면으로 하는 것만큼이나 쉽게 할 수 있거든요. 패들렛은 그게 좀 어려워요.” (인터뷰 #2)

지식의 적용: 사례와 교육 방법

참가자들은 공통적으로 다른 도서관에서는 미디어 문해력 교육과 관련하여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알고 싶어 했다. 참가자들은 사례를 궁금해했고, 배운 내용을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 서로 다른 이용자 집단에 대해서는 프로그램을 어떻게 개발하고 있는지에 대해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하고 싶어 했다. 참가자들은 또한 다른 사람들과 협력해서 새로운 접근법을 개발하기를 원했다.

“강의에서 배운 게 엄청 많았는데, 이걸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나 고민이 되었어요. 그래서 프로그램의 사례가 있으면 좋겠다 싶었죠. 다른 도서관들에서는 어떻게 하고 있는지 (...) 그런 예가 있으면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거 같아요.” (인터뷰 #6)

다른 참가자들은 사서들의 상황에 맞게 성인 교육에 관한 기본 원칙이나 관련 정보를 강좌에 포함시킨다면 다른 사람들을 가르치는 방법을 보다 잘 이해하고 강좌에서 배운 내용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강좌를 시작했을 때 ‘도서관에서는 이렇게 할 수 있다’라는 걸 배울 거라고 생각했던 것 같아요. 패널 토론이라든지, 아니면 적어도 다양한 환경에서 미디어 문해력 교육을 어떻게 제공할 수 있는가에 대한 자료 같은 걸 얻을 수 있을 거라고 기대했거든요.” (인터뷰 #7)

“다른 사람들을 돕기 위해서 이걸 배우는 거니까, 실제 교육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좀 알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인터뷰 #8)

한 참가자는 자신이 학위과정 이수 중에 작성한 ‘미디어 문해력: 도서관을 위한 지침(Media Literacy: Guidelines for Libraries)을 참조하여 그러한 문제와 관련한 자료가 부족하다는 사실을 보여주면서 ALIA나 캔버라대학교가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 참가자는 이 강좌의 다음 단계로, 현장 프로젝트를 통해 여기서 배운 지식을 적용하는 고급 과정을 열 것을 제안했다. 참가자들을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눈 후, 각 그룹이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한 미디어 문해력 프로그램을 개발해 보는 것이다.

더 많은 소셜미디어 유형을 포함시킬 것

강의 내용이 페이스북에 집중되었는데 그것도 유용했지만 페이스북은 주로 연령대가 높은 집단에서 사용하는 플랫폼이기 때문에 틱톡이나 트위터와 같은 다른 소셜미디어에 대한 내용도 강의에 포함되면 좋겠다는 의견이 있었다.

동기 모임 혹은 실행 커뮤니티를 구성할 것

모든 참가자들은 링크드인(LinkedIn) 그룹이나 ALIA가 관리하는 네트워크 또는 온라인상에서 미디어 문해력 교육에 관심이 있는 다른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들이나 본 단기 강좌 수강생들과 연락을 유지하는 것에 큰 열의를 보였다. 웹사이트를 별도로 만들거나 ALIA 웹사이트의 회원 구역에 한 자리를 만들어 관련 정보와 콘텐츠를 공유하고 서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하자는 제안이 있었다.

한 참가자는 3-6개월 후에 단기 강좌 수강생들이 화상회의를 열어 강좌에서 배운 내용을 프로그램에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서로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갖자고 말했다. 다른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들에게 패들렛과 자료를 전달해서 배운 내용을 공유하자는 의견도 있었다.

콘텐츠 제작과 더 많은 사례/관점 제공

한 참가자는 ‘많은 사람들이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고, 또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이라 해도 그것이 결국 콘텐츠를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콘텐츠 제작에 대해 좀 더 알려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인터뷰 #1).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저작권과 크리에이티브커먼스(Creative Commons) 사용에 대한 정보를 추가할 것을 제안했다.

한 참가자는 코로나만이 아니라 기후변화와 같은 다른 주제로도 허위 정보의 사례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참가자는 강좌에 다른 관점/인터뷰(예: 마케팅 강사 댄 앤드류(Dan Andrew))를 포함시키고, 미디어 업계에 종사하는 다른 사람들과의 인터뷰가 포함되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접근성

참가자들은 강좌에서 제공된 비디오와 강의 녹음자료에 대체로 만족했으나, 필기를 하면서 강의 비디오를 시청하는 것이 피곤할 수 있기 때문에 강의 녹취록이 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있었다.

권고사항

1. ALIA와 캔버라대학교는 수강생 모임이나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서비스 전문가 미디어 문해력 네트워크를 만들어 정보와 자료를 공유하고 미디어 문해력 교육이 지속되도록 돕는다.

2. ALIA 회원들을 통해 도서관 유형별로 미디어 문해력 교육과 관련한 모범 사례를 수집하는 연구를 수행하여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들을 위한 단기 강좌에 포함시킨다. 연구 결과는 또한 ALIA 미디어 문해력 네트워크에서도 공유한다.

3. 향후 제공되는 단기 강좌는 다음과 같이 한다.

- 참가자들 간의 토론 기회를 늘린다.

- 현장 사례와 모범 사례, 참가자들이 현장에서 미디어 문해력을 포함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포함시킨다.

- 강의 녹취록을 제공한다.

- 콘텐츠 제작에 관한 내용 그리고 공중보건만이 아닌 다른 분야에서의 허위 정보 사례도 포함시킨다.

- 미디어 업계 전문가나 기자 등 다양한 사람들의 목소리를 포함시킨다.


참고문헌

Díaz Andrade, A. E., & Urquhart, C. (2009). The value of extended networks: Social capital in an ICT intervention in rural Peru. Information Technology for Development, 15(2), 108-132.

Goolsbee, A. & Klenow. P. (2002). Evidence on Learning and Network Externalities in the Diffusion of Home Computers. The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45(2), 317-343.

Notley, T., Chambers, S., Park, S., Dezuanni, M. (2021). Adult Media Literacy in Australia: Attitudes, Experiences and Needs. Western Sydney University,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University of Canberra.

Park, S. (2014). The role of local Intermediaries in the process of digitally engaging non-users of the internet. Media International Australia, 151(June), 137-145.

Powell, A., Bryne, A., & Dailey, D. (2010). The Essential Internet: Digital Exclusion in Low-Income American Communities. Policy & Internet, 2(2), 161-192.









부록

부록 1: ALIA 설문지

미디어 문해력 교육 설문조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본 연구는 캔버라대학교 인간윤리위원회(Human Ethics Committee)의 승인을 받았습니다(승인번호 9219).

설문 참여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발성 – 귀하는 100% 자발적으로 본 설문에 참여하는 것이며, 언제든지 참여를 거부하거나 취소할 수 있습니다.

• 익명성 – 본 연구의 결과물로 나온 모든 보고서와 출판물에서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정보를 전혀 포함하지 않으며, 모든 정보는 캔버라대학교에 의해 엄격히 기밀로 유지될 것입니다.

• 기밀성 – 완료된 설문지는 캔버라대학교의 연구자들만이 볼 것입니다.

• 데이터 저장 –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동안 수집된 정보는 암호 장치가 있는 컴퓨터에 안전하게 보관되며, 5년간 캔버라대학교에서 저장한 후 대학교 규정에 의거하여 영구적으로 삭제될 것입니다. 귀하가 익명으로 제공하는 답변들은 설문 결과를 취합하여 보고하는 데 사용되며, 향후 연구에서도 이용될 수 있습니다.

본 설문을 완료함으로써 귀하는 이러한 조건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Q1 이용자가 귀하의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다고 상상합니다. 다음과 관련하여 귀하는 얼마나 자신 있게 도움을 제공할 수 있습니까?


전혀 자신이 없다 (1)

별로 자신이 없다 (2)

약간 자신 있다 (3)

꽤 자신 있다 (4)

매우 자신 있다 (5)

온라인 커뮤니티 찾기 (1)





소셜미디어(예: 페이스북)에서 프라이버시 설정 변경하기 (2)





노트북이나 컴퓨터 사용하기 (3)


스마트폰 이용하기 (4)


스마트폰에서 사용할 앱 선택하기 (5)

사진이나 비디오 편집하기 (6)

온라인 사이트의 서비스 계약조건 이해하기 (7)


온라인 괴롭힘에 대응하도록

(중단시키거나/예방하거나/신고하도록) 돕기 (8)


사이버폭력에 대응하도록

(중단시키거나/예방하거나/신고하도록) 돕기 (9)


일반적인 인터넷 사용법 (10)

도서관 목록에서 자료 찾기 (11)

가정에서 도서관의 전자자료 이용하기 (12)


도서관에서 인터넷 이용하기 (13)


도서관이 제공하는 기기의 이용 (14)

미디어 문해력 관련 교육에 도움 되는 자료 찾기 (15)

미디어와 저작권(예: 보고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개방형 라이선스 이미지 찾기) (16)

온라인에서 어떤 정보를 공개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 내리기 (17)

인터넷에서 필요한 정보 찾기

(예: 건강 관련 정보, 구직 정보) (18)




Q2 현재 업무에서 다음 활동과 관련하여 이용자를 도와준 경험이 있습니까?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하십시오.

온라인 커뮤니티 찾기 (1)

소셜미디어(예: 페이스북)에서 프라이버시 설정 변경하기 (2)

노트북이나 컴퓨터 이용하기 (3)

스마트폰 이용하기 (4)

스마트폰에서 사용할 앱 선택하기 (5)

사진이나 비디오 편집하기 (6)

온라인 사이트의 서비스 계약조건 이해하기 (7)

온라인 괴롭힘에 대응하도록(중단시키거나/예방하거나/신고하도록) 돕기 (8)

사이버폭력에 대응하도록(중단시키거나/예방하거나/신고하도록) 돕기 (9)

일반적인 인터넷 사용법 (10)

도서관 목록에서 자료 찾기 (11)

가정에서 도서관의 전자자료 이용하기 (12)

도서관에서 인터넷 이용하기 (13)

도서관이 제공하는 기기의 이용 (14)

미디어 문해력 관련 교육에 도움 되는 자료 찾기 (15)

미디어와 저작권(예: 보고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개방형 라이선스 이미지 찾기) (16)

온라인에서 어떤 정보를 공개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 내리기 (17)

인터넷에서 필요한 정보 찾기(예: 건강 관련 정보, 구직 정보) (18)

해당사항 없음 (19)

Q3 이용자들이 가장 도움을 필요로 하는 활동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세 가지를 선택해 주십시오.

_____ 온라인 커뮤니티 찾기 (1)

_____ 소셜미디어(예: 페이스북)에서 프라이버시 설정 변경하기 (2)

_____ 노트북이나 컴퓨터 이용하기 (3)

_____ 스마트폰 이용하기 (4)

_____ 스마트폰에서 사용할 앱 선택하기 (5)

_____ 사진이나 비디오 편집하기 (6)

_____ 온라인 사이트의 서비스 계약조건 이해하기 (7)

_____ 온라인 괴롭힘에 대응하도록(중단시키거나/예방하거나/신고하도록) 돕기 (8)

_____ 사이버폭력에 대응하도록(중단시키거나/예방하거나/신고하도록) 돕기 (9)

_____ 일반적인 인터넷 사용법 (10)

_____ 도서관 목록에서 자료 찾기 (11)

_____ 가정에서 도서관의 전자자료 이용하기 (12)

_____ 도서관에서 인터넷 이용하기 (13)

_____ 도서관이 제공하는 기기의 이용 (14)

_____ 미디어 문해력 관련 교육에 도움 되는 자료 찾기 (15)

_____ 미디어와 저작권(예: 보고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개방형 라이선스 이미지 찾기) (16)

_____ 온라인에서 어떤 정보를 공개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 내리기 (17)

_____ 인터넷에서 필요한 정보 찾기(예: 건강 관련 정보, 구직 정보) (18)

Q4 지난 5년을 생각할 때 위 질문(Q2 & Q3)에 나열된 활동 중 이용자들이 도움이나 조언을 요청하는 정도에 변화가 있었습니까?

도움이나 조언을 요청하는 사람의 수가 늘고 있다 (1)

수요가 대체로 비슷하다 (2)

도움이나 조언을 요청하는 사람의 수가 줄어들고 있다 (3)

잘 모름 (4)

Q5 본 연구에서는 (신문과 같은 전통적인 미디어와 함께 페이스북이나 틱톡과 같은 디지털 미디어를 포함하여) 미디어를 이용하고, 분석하고, 제작하는 능력을 미디어 문해력으로 정의합니다. 또한 뉴스 문해력, 디지털 문해력, 정보 문해력, 그리고 미디어 및 미디어 테크놀로지와 연관된 기타 새로운 형태의 문해력을 모두 ‘미디어 문해력’이라는 개념으로 포괄하여 사용합니다.

일반인들의 미디어 문해력을 높이는 일에 누가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책임성 수준의 순서대로 세 개를 선택하십시오.

초등학교 (1)

중고등학교 (2)

대학교 (3)

도서관 (8)

지역사회 기관 (12)

개인 (13)

기타: 구체적으로 적어주십시오. (14)


Q6 ‘이용자들의 미디어 문해력 관련 욕구를 보다 잘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 온라인 미디어 문해력 단기 강좌에 관심이 있습니까?

(1)

아니요 (2)

잘 모름 (3)

(2)인 경우 블록의 마지막으로 갈 것.

(2)가 아닌 경우 Q7으로 갈 것.

Q7 ‘이용자들의 미디어 문해력 관련 욕구를 보다 잘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 온라인 미디어 문해력 단기 강좌에서 어떤 주제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중요도의 순서대로 세 개를 선택하십시오.

중요한 주제 상위 3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검색하고 식별하는 방법 (1)

안전한 인터넷 이용 (2)

디지털 기기와 앱 및 연결성 (3)

저작권 (4)

디지털 기술이 사람들의 정보 검색 및 정보 행동에 끼치는 영향 (5)

소셜미디어의 동향과 영향 (6)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의 지구적,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맥락 이해하기 (7)

소셜미디어 및 인기 있는 디지털 플랫폼의 이용과 관련한 실질적인 기술 (8)

이용자들의 미디어 문해력 관련 욕구 평가하기 (9)

이용자들을 가장 잘 지원/교육할 수 있는 방법 (10)

기타: 구체적으로 적어주십시오. (11)

Q8 온라인 미디어 문해력 단기 강좌의 학습 시간이 약 50시간(강의 12시간, 읽기와 온라인 활동 38시간)이라고 가정할 때, 강좌의 길이와 강도에 대한 다음 질문에 답변해 주십시오.

귀하가 선호하는 기간은 어느 정도입니까?

1주일 미만 (1)

1-3주 (2)

3-7주 (3)

8-13주 (4)

13주 이상 (5)

Q9 강좌의 제공방식에서 선호하는 유형은 무엇입니까?

비교적 짧은 기간에 집중된 학습 (1)

비교적 긴 기간에 여유 있는 학습 일정 (2)

학습의 강도와 기간을 전적으로 내가 선택할 수 있는 자기 주도형 학습 (3)

Q10 온라인 강좌에서 선호하는 상호작용의 유형은 무엇입니까? 선호하는 유형을 모두 선택하십시오.

▢ 강사와 온라인상에서 실시간으로 상호작용 (1)

▢ 이메일 또는 메시지를 통해 강사와 상호작용 (2)

▢ 다른 참가자들과 온라인상에서 실시간으로 상호작용(온라인 회의) (3)

▢ 온라인 토론게시판을 통해 강사와 상호작용 (4)

▢ 이메일 또는 문자 메시지를 통해 다른 참가자들과 상호작용 (5)

▢ 온라인 토론게시판을 통해 다른 참가자들과 상호작용 (6)

▢ 기타: 구체적으로 적어주십시오. (7)

Q11 단기 강좌에 등록한다면 언제 강의를 수강하시겠습니까?

퇴근 후 및 주말 (1)

근무시간 중 (2)

휴가를 낸다 (3)

위의 패턴이 혼합된 형태 (4)

Q12 선호하는 미디어 문해력 온라인 단기 강좌를 선택하십시오.

나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단기 강좌 (1)

디지털 배지를 수여하는 단기 강좌 (2)

대학교에서 인증하는 마이크로 자격증 (3)

선호사항 없음 (4)

Q13 대학교에서 인증하는 마이크로 자격증 강좌인 경우, 별도의 비용을 지불하시겠습니까?

(1)

아니요 (2)

잘 모름 (3)

Q14 지난 12개월간 교육이나 전문성 개발 활동에 참여한 적이 있습니까?

(1)

아니요 (2)

(2)인 경우 블록 맨 뒤로 갈 것.

Q15 참가하신 주요 교육/전문성 개발 활동을 선택하십시오. 해당하는 모든 활동을 선택하십시오.

▢ 행사(콘퍼런스 포함) (1)

▢ 외부 교육자가 제공하는 교육 (2)

▢ 기관 내부에서 개발하여 제공한 교육 (3)

▢ 웨비나 및 세미나 (4)

▢ 전문성 관련 독서 (5)

▢ 연구 (6)

▢ 기타: 구체적으로 적어주십시오. (7)

Q16 지난해에 교육비로 얼마를 지출하셨습니까? 하나 이상의 교육을 받으셨다면 가장 최근에 이수한 교육에 지출한 비용을 답해주십시오.

무료 강의 (1)

기관에서 지불 (2)

200 달러 미만 (3)

200-400 달러 (4)

400-800 달러 (5)

800 달러 이상 (6)

기억 안 남 (7)

Q17 귀하에게 가장 필요한 전문성 개발 또는 교육 주제는 무엇입니까?

첫 번째 선택 (1) 두 번째 선택 (2) 세 번째 선택 (3)

Q18 도서관에서 귀하의 직책은 무엇입니까? 해당되는 것을 모두 선택하십시오.

▢ 마케팅을 포함한 관리 또는 행정 업무 (1)

▢ 매니저 (2)

▢ 사서 (3)

▢ 사서교사 (4)

▢ 도서관 테크니션 (5)

▢ 도서관 보조인력 (6)

▢ 프로그램 제공 (7)

▢ 기술 지원 (8)

▢ 가정 도서관 서비스를 포함한 아웃리치 활동 (9)

▢ 기타: 구체적으로 적어주십시오. (10)

Q19 현 업무에서 고객을 대면하는 일을 하십니까?

(1)

아니요 (2)

(2)인 경우 Q22로 갈 것.

Q20 귀하의 고객은 다음 중 대체로 어느 그룹에 속합니까? 해당하는 그룹을 모두 선택하십시오.

▢ 6세 이하 아동 (1)

▢ 초중고등학생 (2)

▢ 직업전문학교/대학생 (3)

▢ 성인(18-60세) (4)

▢ 부모 및 가족 (5)

▢ 노인(60세 이상) (6)

▢ 전문집단(예: 연구원) (7)

▢ 기타: 구체적으로 적어주십시오. (8)

Q21 고객 중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가정에서 외국어를 사용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전부 (1)

대부분 (2)

일부 (3)

소수 (4)

없음 (5)

모름 (6)

Q22 귀하가 근무하는 도서관 또는 정보서비스 기관의 유형은 무엇입니까?

학교도서관 (1)

공공도서관 (2)

학술 또는 연구도서관 (3)

직업전문학교/대학 도서관 (4)

특수 또는 정부도서관(보건도서관 포함) (5)

국립 및 주립도서관 (6)

기타: 구체적으로 적어주십시오. (7)

Q23 귀하가 근무하는 기관은 어느 주에 있습니까? 해당사항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 수도 특별행정자치구 (1)

▢ 뉴사우스웨일스 (2)

▢ 북부 준주 (3)

퀸즐랜드 (4)

▢ 남호주 (5)

▢ 태즈메이니아 (6)

▢ 빅토리아 (7)

▢ 서호주 (8)

Q24 귀하의 기관은 어디에 자리하고 있습니까?

도심/도시 (1)

교외지역 (2)

지방 (3)

시골 또는 벽지 지역 (4)

Q25 귀하의 나이는 몇 살입니까?

18 (1) ... 답변 거부 (44)


Q26 귀하의 현재 성정체성은 무엇입니까?

남자 (1)

여자 (2)

논바이너리(Non-binary) (3)

답변 거부 (4)

Q28 귀하는 호주 원주민 또는 토레스해협 섬주민입니까?

아니요 (1)

원주민 (2)

토레스해협 섬주민 (3)

원주민 및 토레스해협 섬주민 (4)

Q29 귀하는 민족적 또는 문화적으로 다양한 집단 출신입니까?

(1)

아니요 (2)

잘 모름 (3)

(1)이 아닌 경우 블록 맨 뒤로 갈 것.

Q30 귀하의 민족 또는 문화적 배경은 무엇입니까?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하십시오.

▢ 오세아니아인(예: 호주인, 뉴질랜드인, 폴리네시아인) (1)

▢ 유럽인(예: 영국인, 동유럽인) (2)

▢ 북아프리카인 또는 중동인(예: 아랍인, 유대인, 수단인) (3)

▢ 동남아시아인(예: 태국인, 베트남인) (4)

▢ 동북아시아인(예: 중국인, 일본인, 한국인) (5)

▢ 남아시아인 또는 중앙아시아인(예: 방글라데시인, 인도인) (6)

▢ 북미인(예: 미국인, 캐나다인) (7)

▢ 남미인(예: 브라질인, 아르헨티나인) (8)

▢ 중미인(예: 멕시코인, 니카라과인) (9)

▢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인(예: 나이지리아인, 남아프리카인) (10)

Q27 귀하의 교육 수준은 무엇입니까?

공식 교육을 이수하지 않음 (1)

초등학교 (2)

중/고등학교 중퇴 (3)

10학년 졸업 (4)

고등학교 졸업 (5)

디플로마 또는 어소시어트 학위 (6)

학사 학위 (7)

대학원 디플로마 (8)

석사 또는 박사 학위 (9)

부록 2: 주제 및 학습 성과

주제

학습 성과

1

미디어’란 무엇이며,

미디어 문해력은 왜 중요한가?

호주의 현재 미디어 문해력 현황을 조사하고 부족한 부분이

어디인지를 확인한다.

자신의 미디어 문해력 수준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자신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용자 집단의 미디어 문해력 수준을 이

해한다.

뉴스미디어연구센터가 개발한 미디어 문해력 교육 프레임

크의 다섯 가지 요소를 이해하고 적용한다.

2

뉴스와 미디어 편향성의 이해

미디어에 맞는 메시지와 콘텐츠를 생성함으로써 다양한 커뮤

니케이션 방식을 살펴본다.

뉴스 소비자들이 이용하는 커뮤니케이션 모드와 주요 플랫폼

의 차이를 이해한다.

뉴스 미디어에서 미디어 대표성, 다양성, 포용성에 영향을 끼

치는 요소들을 분석한다.

3

진실과 거짓

디지털 시대에 허위 정보의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 비판적으

로 성찰한다.

허위 정보를 식별하고 사실을 규명하기 위한 도구를 적용한

다.

법률 및 책임성 관련 현황을 이해한다.

4

관심 경제’, 광고와 나

미디어 환경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미디어 소비자들이 정치적 또는 상업적인 의도가 있는 커뮤

니케이션의 타깃이 되는 방식을 이해하고 평가한다.

광고와 마케팅, 정치적 커뮤니케이션, 전략적 캠페인이 설득

하고 영향을 끼치는 방식을 맥락화한다.

광고와 사설을 구분한다.

5

우리 모두 인플루언서가 될 수 있다

개인의 미디어 사용이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미디어가 개

인의 가치와 신념에 끼치는 영향을 이해한다.

서로 다른 미디어가 소비자를 구축하고 콘텐츠를 생산하여

유포하는 방식을 이해한다.

미디어가 현실을 보여주는 방식을 이해하고, 디지털 시대에

미디어 소비자들이 행동하는 방식을 이해한다.

자신의 미디어 사용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책임을 느낀다.

6

안전한 인터넷 이용

알고리즘, 데이터 저장, 개인정보, 보안, 정보 공유, 제3자 데

이터 공유를 포함하여 소셜미디어와 온라인 플랫폼이 작동하

는 방식을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미디어의 이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개인정보 및 온라인 안전

성의 문제를 이해한다. 즉, 기관과 개인들이 미디어를 운영하

거나 미디어에 대응하는 방식을 이해한다.

안전하게 온라인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평가하고 다른 사

람들이 안전하게 온라인을 이용하도록 도울 수 있는 도구들

고안한다.

7

성찰과 평가

미디어 문해력 도구모음을 공유한다.


부록 3: 평가 설문지

중간 설문지

미디어 문해력 단기 강좌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래의 질문들에 답해주시면 본 강좌를 더욱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소중한 시간을 내어주신 데 대해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1. 현재까지 진행된 강좌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o 매우 불만족

o 약간 불만족

o 보통

o 상당히 만족

o 매우 만족

2. 이 강좌에서 가장 유용하거나 재미있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3. 가장 유용하지 않거나 재미가 없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4. 현재 상황에서 이 강좌와 관련하여 더 원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5. 더 줄였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6. 강의 내용의 수준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o 상당히 앞서 있다.

o 기존에 내가 가지고 있던 지식을 보완한다.

o 내가 가지고 있는 지식과 대체로 비슷하다.

o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이 많다.

o 새로운 내용이 전혀 없다.

7. 강좌의 후반부에 진입하기 전에 저희에게 전하고 싶은 의견이나 피드백이 있으십니까?

강좌 완료 후 설문지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서비스 전문가 단기 강좌(2022년도 2차) 수강생 여러분! 강좌를 완료하신 것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본 설문지는 강좌 완료 후 여러분의 피드백을 듣기 위해 마련된 것입니다. 성실히 답변해 주시면 향후 강좌를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소중한 시간을 내어 설문에 답변해 주신 데 대해 감사드립니다.

1. 강의 내용의 전반적인 수준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o 상당히 앞서 있다.

o 기존에 내가 가지고 있던 지식을 보완한다.

o 내가 가지고 있는 지식과 대체로 비슷하다.

o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이 많다.

o 새로운 내용이 전혀 없다.

2. 이 강좌의 전반적인 가치를 어떻게 평가하시겠습니까?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다

잘 모름

비용만큼 가치가 있다.




새로운 지식 또는 기술을 배웠다.


동료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강좌가 재미있었다.




3. 어떤 유형의 콘텐츠와 활동이 유용했습니까?


전혀 유용하지
않았다

그다지 유용하지

않았다

다소 유용했다

매우 유용했다

잘 모름

짧은 대화형 비디오



강의 녹음자료




읽기 자료

대화형 콘텐츠(퀴즈)


토론 포럼

나만의 미디어 문해력 도구모음 개발하기

(패들렛 생성)



실제 사례

4. 다음 6가지 주제를 흥미 있고 유용했던 순서대로 나열하십시오. (각 주제를 클릭해서 순서대로 정렬할 수 있습니다.)

주제 1: ‘미디어’란 무엇이며, 미디어 문해력은 왜 중요한가?

주제 2: 뉴스와 미디어 편향성의 이해

주제 3: 진실과 거짓

주제 4: ‘관심 경제’, 광고와 나

주제 5: 우리 모두 인플루언서가 될 수 있다

주제 6: 안전한 인터넷 이용

5. 본 강좌를 이수하기 위해 일주일에 평균 몇 시간을 투자하셨습니까? ____시간 ____분

6. 이 강좌에서 귀하가 배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입니까?

7. 가장 유용하거나 재미있었던 것은 무엇이었습니까?

8. 다른 사람들에게 이 강좌를 어떻게 설명하시겠습니까?

9. 그 외에 저희에게 전하고 싶은 말씀이 있으십니까?

부록 4: 강좌 중간 및 완료 후 설문조사에서 나온 주요 답변

이 강좌에서 귀하가 배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입니까?

“미디어 문해력과 도서관 전문가의 욕구를 바탕으로 도서관과 사서를 지원하는 방법”

“가짜 뉴스에 대한 내용이 정말 놀라웠다.”

“온라인 미디어를 이용할 때 비판적이며 신중하게 사고해야 한다는 점!”

가장 유용하거나 재미있었던 것은 무엇이었습니까?

“패들렛을 이용한 것이 좋았다. 새로운 도구였고 바로바로 참조할 수 있었다. 패들렛에서 다른 참가자들과 상호작용한 것. 새로운 도구들을 이용해 본 것.”

“자기 주도형 학습, 우수한 자료와 정보”

“호주 상황에서의 실제 사례와 데이터, 정보를 통해 배운 것”

“강의 녹음자료가 매우 도움이 되었다. 제공된 자료들이 너무도 훌륭했다. 대화형 활동들이 재미있었다.”

다른 사람들에게 이 강좌를 어떻게 설명하시겠습니까?

“미디어를 보는 방식을 완전히 바꿔 주고, 안전하고 지적인 미디어 소비를 증진하는 업무에 도움이 되는 놀라운 학습 경험”

“미디어라는 맥락에서 이용자들이 디지털 세상을 이해하고 탐색하도록 돕는 사서들이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강좌”

“미디어 문해력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미디어 문해력을 공유하고 가르치는 방법을 이해하도록 돕는 매우 실용적인 강좌”

부록 5: 인터뷰 참가자

인터뷰

성별

도서관 유형

직책

ALIA 회원 여부

1

공공

사서

2

학술

디지털 전문가

3

공공

사서

4

공공

사서

5

학교

사서

6

공공

이용자 경험

7

공공

사서

8

공공

프로그램 사무국


부록 6: 패들렛 토론 사례



(원문출처)

https://medialiteracy.org.au/wp-content/uploads/2023/08/apo-nid322312.pdf

담당부서 : 국제교류홍보팀 (02-590-0797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