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사이언스(Open Science)
  • 작성부서 국제교류홍보팀
  • 등록일 2018-08-14
  • 조회 2008
글자크기

공공연구 성과물을 디지털 형태로 공개하여 이들 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는 프로젝트



정의

정부에 의해 또는 공모를 통해 제공된 자금이 투입된 연구결과를 디지털화된 형식으로 공개함으로써, 연구성과에 대한 후속 검증 및 추가연구, 새로운 연구방법 개발에 활용하고 다양한 연구 협력 네트워크 형성을 가능하게 하여 연구개발을 가속하는 개방형 과학을 말한다. 연구 자료는 메타 데이터, 수치 데이터, 텍스트 기록, 이미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주요 개념

  • ⦁ 협업연구 플랫폼(Infrastructure School)
  • ⦁ 연구성과 공개 확대, 시민 과학(Public School)
  • ⦁ 연구성과 평가 혁신(Measurement School)
  • ⦁ 오픈 액세스, 공개 데이터, 공개 코드(Democratic School)
  • ⦁ 집단 지성 등 효율적인 지식 창출 지원(Pragmatic School)


국외 사례

법령이나 정책 정비를 통해 기관 리포지터리 및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영국 공적 연구자금을 지원하는 영국 연구회(Research Councils UK, RCUK)

2013년부터 RCUK의 지원을 받아 출판된 연구성과물은 제한 없이 즉시 온라인상에서 무료로 접근 및 재사용이 가능하다. Gateway to Research라는 연구 정보 검색 및 분석 웹사이트를 통해 RCUK 연구자금의 연구자, 연구기관, 과제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오픈 액세스와 데이터 리포지터리에서 연구생산물과 연구성과의 영향력에 관한 세부사항을 찾을 수 있다.


⦁ 미국 국립의학도서관(National Library of Medicine, NLM)의 펍메드 센트럴(PubMed Central, PMC)

의학 및 생명과학 학술지의 대표적인 리포지토리인 PMC는 2005년부터 미국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의 연구자금을 지원받은 동료심사 논문의 최종 버전을 출판 후 12개월 이내에 제출하는 리포지터리이다.


⦁ 일본 과학기술진흥기구(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JST)

JST가 운영하는 일본 오픈 액세스 전자저널 플랫폼 J-STAGE를 통해 JST가 지원한 모든 연구 과제로부터 생산된 학술 논문을 오픈 액세스화 하여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국내 사례

정부 3.0 정책에 따라 공공기관 중심으로 공공 데이터 개방 등 오픈 사이언스와 관련한 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공공연구의 성과물에 대한 일반인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국내 정보서비스 기관에서도 연구성과 공유 및 홍보에 적극적인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 국립중앙도서관 오픈액세스코리아(Open Access Korea, OAK)

국내 기관 리포지터리 통합검색 서비스로서 국립중앙도서관이 대학, 연구소 등에 공모를 통해 보급한 디지털 지식자산관리 리포지토리로서 국내 기관과 소속 연구자들이 생산한 연구 성과물을 등록·관리하고, 전 세계 이용자들이 자유롭게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국형 오픈액세스 아카이브이다.





참고자료

김순, 이보람, 김환민, 김혜선. (2017). 오픈 사이언스 시대를 위한 과학기술 연구지원 서비스 동향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4(3), 229-249.

신은정, 안형준, 정원교. (2016). 오픈 사이언스 정책의 최신 동향과 도전 과제.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114-128.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 국제교류홍보팀 (02-590-0797 )
위로